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 - 중세에서 근대의 별을 본 사람들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
주경철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 이상으로 재밌게 읽었다. 약간 시크하면서 무심한듯한 문체가 핵심이었다. 사실, '주경철의 유럽인 이야기 1'에서 전혀 들어본 적 없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알고 있는 얘기가 나온다는 것도 아니다. 그저 세계사 시간에 한번쯤 키워드로 밑줄 쳐봤음직한 인물이나, 주관식 답으로 나올 법한 사건들이 담겨져 있다. 그걸 그 때 외워봤다고 해서 사실 알고 있다는 것은 아니라는 걸 잘 알 것이다. 학생들이 선택과목으로 세계사를 넣었다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공부해야 할 내용인데 재밌게 읽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이미 공부와는 상관없어진 입장에서 흥미 위주로 읽어서 그렇게 느껴졌다면 미안.

 

 흥미로웠던 내용 중 하나는 합스부르크 턱. 근친결혼 때문에 나타난 유전병이라는 것도 흥미로운데 음식을 씹어 삼키는 것조차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데다가 갈수록 병약한 자식을 얻게 되는데도 혈통-권력-을 지키기 위해서 계속 근친결혼을 했다니. 지금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어려운 일이다. 근친결혼까지는 아니어도 서로의 이권을 살펴 관계를 맺는 경우는 지금까지도 있긴 하지만. 또 하나는 '꽃 전쟁'의 인신희생에 관한 내용이었다. 실제로 치첸잇사를 다녀와 본 적이 있었는데, 그 아름다운 유적지 같은 곳에서 인신희생 제물을 올렸다고 생각해보니...... 그 피라미드가 그 피라미드는 아니겠지......

 

 각 장의 첫머리에 앞으로 나오게 될 인물들 사이의 관계도가 항상 실려있는데, 그 관계도를 보면 앞으로 계속해서 이 책을 읽어나갈 수 있을지 망설이게 된다. 막상 읽으면 딱히 복잡하다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정신 건강을 위해 관계도는 매번 생략하고 읽었다. 내용을 다 읽고 관계도를 봐도 큰 위로가 되진 않는다. 뒷편에는 본격적인 계보도랑 연표도 있다. 참고적으로 알아두시길. 초반에 썼던 것처럼 유럽의 역사나 인물에 대해서 아는 게 거의 없는 교과서적 두뇌만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책을 읽었는데, 겉모습에 비해 폭력적으로 어렵거나 난감하게 읽기 힘들지 않다. 사건이 아니라 인물 위주로 풀어나간 점도 긍정적인 요건으로 작용한 것 같다. 재미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