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휴머니즘 - 스티븐 제이 굴드의 학문과 생애
리처드 요크.브렛 클라크 지음, 김동광 옮김 / 현암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나 자신의 부족함일 수 있지만... 문흥이망!!! 이 책을 읽기 전에 문과 출신인지 이과 출신인지 본인의 고교시절을 잘 떠올려보고 결정하기 바란다. 문과계열의 과목을 잘 해서가 아니라 이과계열의 과목을 피하기 위해서 문과를 선택한 나는 이 책을 앞에두고 무한한 좌절과 길잃음을 체험해야 했다. 자신의 혼이 어딘가로 빠져나가 나는 누구이고 여긴 어디며 하얀 것은 종이는데 까만 것은 무엇인고? 하는 맹한 생각을 계속해서 하게 된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면 그래도 조금은 통섭적 사고에 가까워진 문과생이 될 수 있으니 한 단계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더 틔울 수 있다-는 기분이 든다. 그래도 역시 문흥이망......

 

 이제와서는 이 책을 읽어보려고 한 시도가 나 자신에 대한 시험이라고 해보고 싶지만, 사실은 오만에 가까웠던 무지로부터 시작했다. 관심이 없던 분야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관점에 대해서도 매우 생소했고, 이미 널리 알려진 이론들에 대해 그런 의문들이 제기될수도 있다는 것 역시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진화는 '생물이 생명의 기원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현상'이라고 여과없이 믿고 있었다. 진화라는 것 자체가 더 나아가기 위해서 발전하는 것이고 진화와 도태를 통해 고등한 영장류인 인간의 등장은 필연적인 것이라고도 생각했지만, 일부 부분에서 굴드의 관점은 달랐던 것 같다. 진화를 두고 점진적인 발전 과정이라 단언할 수 없는, 다양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고 그 사이에는 개량되었고 아니고의 상하의 개념이 생길 수 없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처음에는 다 이해할 수 없던 내용들이 이런 맥락에 이르러서는 약간의 감이 온다고나 할까 싶다. 정말 얕은 읽기가 계속되는 시간이 이어지면서 어느 때는 낭독하며 읽었다. 보통은 소리내어 책을 읽지 않는데, 너무나 많이 길을 잃어서 소리를 내서 읽으면 조금 더 집중이 되고 생각이 다른 곳으로 퍼져나가지 않는데 도움을 주어 좋았다. 과학과 휴머니즘을 읽고 집중에 도움이 되는 독서법을 발견하였습니다....

 

 어려울 것을 예상하고 읽었지만 과학에 대해 알지 못하는 과알못이라 더 어렵고 힘겨운 노력이었다. 잘 모르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나만큼의 어려움을 겪지 않고 읽어낼 정도의 수준으로 쓰여져 있는 것 같다. 어떤 부분은 아, 이렇구나 싶게 읽히다가도 단어 하나가 생소하면 그 부분에서 막히곤 했는데, 예를들면 '메타 수렴' 같은 단어들. 사람은 평생 배우고 익혀야 합니다. 라는 좋은 교훈을 남기는 흥미로운 책이었다. 최소 3년 안에 이 책을 다시 읽거나 비슷한 분야의 책 읽기를 도전하는 사람이 되자고 다짐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