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의 등불이 너를 인도한다 - 장석주의 서재
장석주 지음 / 현암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책을 읽을 때, 그래 얼마나 재미있게 잘 쓰셨는지 감상해보겠습니다. 하는 마음가짐 - 곱게 말하면 기대를 안고 읽는다. 그런데 책을 읽을 때 교과서가 아님에도 한 수 '접고 들어가'는 저자들의 책이 있다. '불면의 등불이 너를 인도한다'의 저자 장석주가 그러하고, '세계가 두 번 진행되길 원한다면'의 저자 정혜윤이 그러하고 또, 팟캐스트 '빨간책방'을 방송하는 '밤은 책이다'의 저자 이동진이 그러하다. 다독을 하며 그것이 깊은 사유와 통섭의 경계로까지 이어지는 소양을 지닌 저자들이라는 것이 그 공통이다. 때문에 저자 장석주의 신간 소식을 현암사로부터 들었을때 기대가 많이 됐다. 더불어 걱정도 됐다. 배우면서 읽는 시간들이 얼마나 더디게 지나는지 예상이 되니까.

 

 신간은 총 네분류로 나뉘어져 있다. 사계절. 계절마다 부제가 달려있는데, 각기 [ 봄 : 고갈된 사색의 능력이 살아나다 - 여름 : 책 읽기는 독충이나 돌발사고도 없고 그리고 비행기 편으로 부친 수화물도 분실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 여행이다 - 가을 : 가슴이 뛰는 이유는 책상 위에 쌓인 책들로 인해 내 지고한 쾌락이 더 감미로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 겨울 : 정신적 침잠 속에서 사소한 기억들을 모아 잇고 철학하기에 좋은 시간이다 ]으로 되어 있다. 봄의 부제를 보는 순간부터 저릿하고 달려오는 환기에, 저도 모르게 책장을 넘기질 못한 채로 지난 몇 개월의 시간을 돌이켜봤다. 지난 몇 개월 동안 여가라 여겼던 독서나 영화감상 등에서 멀어져 있었다. 아무리 보고 읽어도 지겹지 않던 것들을 지속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 만으로도 버거웠던 시간. 멍하니 이런저런 생각을 하려해도 집중도 되지 않고 그저 말초적인 자극에만 의지하여 핸드폰만 만지작대던 시간이 떠올랐다. 필요한 것이 무엇이었을까 생각해봤는데 당장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 내려놓고 사색하는 것이 부족했던 것이었다. 지나치게 광신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이 부제들이 삶과 사유를 한단계 더 풍요롭게 하기 위한 과정을 한 해 살이로 구성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 사계를 다 거치고 나면 끝나서 텅 빈 것이 아니라 자신을 리프레쉬하기 위해 다져진 한 해를 완성하게 되는 것 같이.

 

 대부분 배우면서 읽었는데, - 책을 신주단지 모시듯이 읽는 버릇만 없었다면 밑줄이라도 치고 필기도 할 요량으로- 그 중에서 공감하면서 읽은 부분은 도서관에 대한 언급이 되어 있는 단락이었다. [도서관은 가슴을 뛰게 하는 공간 중의 하나다. 도서관이 각별한 것은 젊은 시절 한때 절망과 불안을 억누르며 하염없이 소일한 곳이기 때문이다. 도서관은 어떤 사람에게는 '비밀스러운 낭만의 공간'이고, 어떤 사람에게는 꿈을 잉태하고 키우는 모태 공간이기도 하다. ...중략... 왜 도서관들은 접근이 쉬운 도심 한가운데 있지 않고 변방의 녹지나 공원 귀퉁이에 있는 것일까? 첫째, 도서관들이 도시 중심부에 상업 업무 시설이 다 들어찬 다음에 지어졌기 때문이고, 둘째, 도서관이 이윤 창출이 없는 공공건물이기 때문이다. 도서관이 무슨 수로 도심 한가운데의 높은 지가를 감당할 수 있으랴! 도서관이 소음이 덜한 도심 외곽에 있는 것도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니다. 다만 더 다양한 작은 도서관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라는 내용인데, 이사오기 전 살던 지역이 작은 규모로 집중적으로 발달한 곳이라 중심부와 도서관이 멀지 않아 도보로 이동 가능하고 역사와 연계된 대여 서비스도 잘 운영하고 있어 정말 감사히 이용했던 기억이 있다. 즐겁게 사용했던 발달된 도서대여 시스템에 멀리서도 찬양과 감탄을 보내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눈에 많이 밟히는 내용이었다. 도서와 독서를 위해 마련된 도서관이 이윤 창출이 없는 건물이라는 이유로 외따른.. 곳에 지어져야 한다는 것 또한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그들의 가치라는 것이 이윤으로 상응되어야 하는 것일까, 하고.

 

 또 하나는 '미국이라는 타자'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장이었는데, 개봉으로 한동안 화제가 되었다 생각 이상으로 졸렬한 내용에 모두가 실망을 감추지 못했던 '인터뷰'라는 영화가 떠오르기도 했고 마이클 무어 감독의 '화씨 9/11'이나 '식코'같은 영화들도 떠올랐다. 어떤 내용이 인상깊게 여겨지거나 더 주의깊게 보게 되는 계기가 내가 가진 바탕에 따라 좌우하기 마련이니, 감상과 생각은 자신이 체득한 만큼의 경험과 배경에서 이루어진다는 확실한 증거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단 한 장을 읽어보라 추천해줄 것을 말한다면 '이 여름은 전대미문의 여름이다'를 꼽을 것 같다. [ 태어남과 죽음은 우주적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사건이다. 나방이 제가 이 세상에 태어나고 싶어 태어난 게 아니듯 나도 태어나고 싶어 태어난 게 아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존재의 일의성 앞에서 겸허하게 나의 태어남을 우주적 사건으로 받아들인다. 아울러 나는 정직한 방식으로 세계의 다채로운 삶에 참여하고 있다. ...중략... 나는 '영원성'에 대한 상념을 멈추지는 않지만, 오늘 여기에서의 하루가 결코 도무지 알 수 없는 추상적인 '영원성'에 견줘 하찮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내일은 또다시 황옥같은 해가 뜨고, 그 해가 내일의 삶을 비추리라. 이 여름이 내 생에게 단 한 번 나타나는 전대미문의 여름임을, 해가 뜨고 지는 이 평범한 하루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정금보다 더 값진 하루라는 사실을, 나는 알고 있다! ] 일상적이면서도 시간과 공간의 분위기가 글 안으로 녹아들어가 있는 듯한 흐름이 영상을 읽는 것 같은 아름다움을 준다. 더불어 '8월에는 휴업 중이니, 글쓰기도 사양합니다'도 좋았다.

 

 책을 읽으면서 무심결에 떠올려봤는데, 물론 다 실행하기 정말 힘들겠지만 각 장마다 나온 책들 중 한권 정도를 선택해 사계절에 맞춰 읽으며 보내면 어떨까 생각했다. 12권에서 13권 정도 되니까 계절마다 3개월 일주일에 한 권의 책 정도면 된다는 계산이 얼핏 나온다. 이런 생각을 꿈같이 하면서 한편으로는 무서워진다. 이러면 어떨까 하고 생각했던 뜬구름이 진짜 계획이 되어 산처럼 내려지는 아득함? 책을 고르는 일부터가 1개월치의 괴로움은 될 것이다. 벤야민의 책은 '일방통행로'가 되겠다, 아마도. '아케이드 프로젝트'도 개인적으로는 너무나 궁금하지만 1, 2권으로 나뉘어져 있기도 하고. 헤르만 헤세는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이다. 세번째부터는 롤랑 바르트의 책을 선택할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로 정하고 빼먹을지 선택의 연속이다. 이런저런 궁리를 책 덮기도 전에 시작하고 수많은 책들 중 읽은 것은 손에 꼽기도 어렵게 적다는 사실에 낙담하기도 한다. 사실 언급된 책들을 읽고 서평을 써보겠단 생각을 안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첫 장에서 이미 그 생각은 접게 되었으니, 떠올리며 읽을 수 있는 독자가 있다면 심히 부럽고 존경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