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의 노래 - 2013년 제4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이승우 지음 / 민음사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종교적인 색채를 띄고 있는 책은, 혹은 그 무엇은 나에게 그리 편안한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텍스트를 텍스트 자체의 것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다른 해석의 여지를 먼저 내어주는 통에 순수하게 감상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 책도 그런 우려가 있었다. 책의 소개를 읽으면서, 분명히 이 책이 주는 미스터리어스함이나 환상적인 느낌과 흥미진진함을 느꼈지만 그 감각적인 매력을 충분히 느끼기 전에 분명 종교적 색채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소양의 얕음에 대한 우려가 먼저 작용될 것이라는 염려가 들었다.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도 있는 법. 책을 읽기 전에 염려가 먼저 되었다면 책을 읽으면서는 그 염려에 보상하는 의외의 면도 발견하기 더 쉬워지나 보다. 책의 내용에 푹 빠져들어가기 앞서 이승우라는 작가에 대해 다소 생소하게 생각했었는데, 걱정했던 것보다 괜찮은 느낌으로 내용을 구성해놓아서 생각보다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올해 초에 낯선 작가의 책을 함부로 읽었다가 읽기에도 그렇고, 안 읽기에도 그런 상황에서 억지 독서를 했던 기억이 있고나서 증명되지 않은 작가의 책을 읽기가 꺼려졌었는데, 이 책은 그런 마음을 싹 사라지게 만들어주었다. 사실, 그 책과 이 책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미안하게 여겨질만큼.

 

물론 생소한 내용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모든 이야기가 모이게 되는 천산 수도원에 대한 이야기가 오래된 수도원의 한 벽서에서부터 시작되어 역사적인 내용과 연결되어 결국 인간의 죄의식과 개인의 삶의 파괴라는 사건이 어우러져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나열된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후가 라면에 대해 언급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던 과거의 상처에 대해 말하는 부분이었다. 라면과 사촌누나와의 사건에는 기실 큰 관련이 없으나 어째서인지 그 사건의 상징처럼 떠오르는 매개체가 되어 후의 이야기도 바로 그 라면에 대해 풀어내면서 시작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후는 그 라면으로 시작된 비극적 사건에 휘말리게 되면서 천산 수도원에 얽히게 되고 수도원 깊숙히 숨겨져있던 비밀은, 모든 비밀들이 그러하듯이 천천히 그 실체를 드러냄으로서 사람들의 가슴속에 또 다른 비밀과 고뇌를 남기게 된다. 차동연이라는 인물과 후의 모습이 시간을 뛰어넘어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그 두 인물이 서로 교차하는 그 부분이 이 소설에서 무릎을 치게 만드는 백미이지 않을까 싶다. 재미있으면서도 독자로 하여금 자신만의 감상을 만들어내도록 자극하는 소설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