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더 많은 세상이라면 라면 교양 시리즈 (시즌2) 1
박윤영.채준우 지음 / 뜨인돌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는 좀 더 알고 싶고 이해해보고 싶어서 시작했다. 솔직하자면 몇 십년을 살아와놓고도 장애를 가진 사람을 장애인으로 말해야할지, 장애우라고 말해야할지 모르겠다. 언제는 장애우란 표현을 쓰는게 좋다고 했다가 또 언제는 옳지 않은 표현이라고 해서 검색을 해봐도 결과가 답변 마다 갈리고 어디에 물어볼 데도 없어 때로는 얼버무렸다. 이밖에도 불쌍해서가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 있을까봐 시선을 두게 되는데 그게 상대방을 불편하게 만들지, 도움을 요청하지 않으면 약간의 친절이 도움이될만한 상황에서도 먼저 의사를 내보이는 것이 오지랖이고 무례일지 조심스럽기만 하다. 


 그래서 '장애인이 더 많은 세상이라면'이란 책을 보고는 한번 읽어볼까, 하는 마음이 들었다.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하고, 무엇을 바라는지 조금 더 알게 되면 이해의 폭도 그만큼 늘어나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그런데 그 마음이 얼마나 유지되나면, 바로 그 제목과 표지를 봤을때까지 정도였다. 막상 책을 읽기 시작하니 순식간에 마음이 불편해지고 갑자기 아무 말이나 변명하고 싶은 기분이 들었다. 책의 반의 반도 읽지 않은 순간이었다. 알고 싶다고 생각했던 것은 이해를 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던 것이 아니라 그저 호기심이었을까. 실망감과 당황, 복잡함이 뒤섞여서 책을 읽었다.


 생각해보니, 평소 내가 어떻게 해야하는지 '어디에 물어볼 데도 없'었다는 이 말이 그만큼 분리된 삶을 살고 있다는 의미였다. 나는 분명 인지하고 있지만 문제 삼지 않는 경사로가 구비되지 않은 계단과 이리저리 끊겨있는 점자블록.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에서 휠체어를 탄 사람을 만나게 될 확률이나 각종 제품들에 점자 표시가 되어있었던지 그 필요성 조차 생각해 본 적 없었던 날들이 그 증거이다. 특히 이 중 최근에 알게 되어 놀랐던 것이 시각장애인들이 가게에 가게 되면 상품을 복불복으로 골라야 하는 현실이라는 점이다. 책을 읽으며 생각 나 다시 찾아봤는데, 몇년전부터 문제제기가 되어 지금은 점차 점자표기를 늘려나가고 있다고 한다.


 함께 살기는 효율이란 항목 아래에서 타협을 하고 배제된다. 책에서도 나오는 이야기이지만(204) 지하철에서 진행됐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시위가 한창 뜨거운 감자일때 대부분의 목소리는 비난조였다.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손해를 겪었기 때문에 불만이 컸으리란 점도 이해한다. 한편으로는 온건한 방식으로 시위를 진행했다면 누가 알아주고 들어주었을까 하는 의문과 그때 겪었던 늦어짐과 불편을 필수적으로 감안하는 생활을 해야만 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생각이 한구석에 남았다. 두 입장을 모두 생각하면서 한쪽에 속해있는 자신의 편리함과 이익에서 좀처럼 눈길을 떼지 못하겠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다. 


 어쩌면 싸우는 모든 사람들은 이런 시선에 놓여져있는지 모른다.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알리고 변화를 요구하는 것을 다수의 기득권이 불편을 겪지 않고 이익을 조금이라도 뺏기지 않으며 양심이 찔려 기분 상하지 않는 선에서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기적이고 불편한 사회 통합의 반발세력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목소리를 낸다면 듣지도 신경쓰지도 않고 늘 그렇듯 묵살되고 배제될 것임에도, 지금껏 그랬던대로 있기를 압박한다. '장애인이 더 많은 세상이라면'을 다른 사람을 더 이해하고 싶어서 읽기 시작했는데, 내용에 공감하면서도 내 손에 들려진 이익이 얼만큼 되는지 헤아려보는 자신을 발견하는 시간이었다.


 다른 사람들의 감상이 궁금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