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 K. 본 지음, 민지현 옮김 / 책세상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후회하지 않느냐고?" 메이가 눈알을 굴리며 대신 말했다. "미안. 이제 더 이상 묻지 않을게." "내 대답은 여전히 후회하지 않는다야." 메이가 스티븐의 눈을 똑바로 보면서 단호하게 말했다. "후회하지 않아." "좋아." 스티븐이 키스를 한 다음 다시 몸을 눕히자 메이가 일어났다. 그러고는 물속에 반짝이는 생물체를 내려다보았다. 볼을 타고 흘러내리는 눈물을 감추기 위해서였다. 말하고 싶었지만 스티븐의 마음을 상하게 할까 봐 차마 말하지 못한 진실을 생각했다. 후회는 없지만 내 평생의 꿈을 잃어버린 아쉬움은 영원히 가시지 않을 것 같아.(318) "

 

 책을 읽으며 상상력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사실이 참 안타까웠다. 그동안 영화를 볼 때 스페이스 오페라 류를 그다지 챙겨보지 않았다. 자본이 많이 들어간 오락 영화를 좋아하는 우리나라에서 의외로 '스타워즈' 같은 우주 배경 미래 물이 힘을 못 쓴다는 얘기가 괜히 나오는게 아닌 것처럼, 어쩐지 쉽게 손이 가지 않는다고 할까. 최근 승리호를 비롯한 몇몇의 작품들은 즐겁게 봤지만 가지고 있는 배경으로 '갤럭시'의 공간을 설계해내기에는 어려웠다. 한정된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묘사되고 있기 때문에 우주선 공간을 잘 구현해낼 수 있는 바탕이 있다면 더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메리엄이 정신을 차리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2067년 12월이라는 숫자는 멀고도 가깝고 상상이 잘 되질 않지만 영 허무맹랑하지도 않다. 인공지능과 유로파 탐사 미션, 탐사선이라는 다소 미래적인 요소들이 어색하기는 하지만, 우리가 어린시절부터 보고 자란 2020 원더키디도 1989년의 상영작이었다. 그 사이에 원더키디의 미래 배경까지 30년의 시간이 있는데, 2021년인 지금, 갤럭시를 읽으며 약 40년 후의 미래도 상상해 볼 법 하다. 인공지능에게 이브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대화하며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메리엄의 모습을 보면, 빅스비나 시리와 대화를 시작해나가는 지금 상황이 자연스럽게 연상된다. 

 

 메이와 이브의 조각난 기억들을 통해서 탐사선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살펴보는 과정은 험난하다. 몸상태는 엉망이고, 탐사선은 파손되었다. 동료들의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 끊어진 기억들 속에서 남편인 스티브와 이혼 준비중이라는 사실과, 자신이 임신 중이라는 것, 그리고 탐사선 내의 모든 동료들이 사망했다는 것, 이 상황이 우연히 벌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차례로 알게 된다. 이대로 우주 미아가 되버릴 것만 같은 위기 상황에서 메이는 침착하고 유연한 대처를 보인다. 메이는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 보일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매력적인 인물이고, 메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힘이 이 소설의 가장 큰 포인트가 된다.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어떤 배우가 메이를 연기하게 될지 기대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읽으면서 풀리지 않는 부분들이 답답하기도 했는데 메이 이외의 생존자와 만나게 되는 부분부터 내용이 더욱 흥미로워졌다. 일의 전모를 알게 된 메이는, 그리고 그녀의 무사귀환을 도와야 하는 스티븐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그리고 깨어진 사이를 회복하고 두 사람은 새로운 생명을 지킬 수 있을까. 책의 출간과 함께 유니버설 스튜디오에서 영화화 확정을 했다는 소식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영화로 개봉하게 되면 꼭 보러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별이 박힌 우주 공간의 모습과 탐사선의 구조 등 상상으로 미흡했던 부분들을 잘 채워넣은 화면으로 보고 싶다. SF물을 좋아하거나, 특히 마션을 재밌게 봤다면 갤럭시도 마음에 들 것이니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