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 도키오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9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문승준 옮김 / 비채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들 도키오'를 읽기 전에 책장을 정리했었다. 벽 한쪽을 차지한 책장을 살펴보니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이 몇 권 있었다. 사실 있었는지도, 내가 샀었는지도 모르게 책의 존재를 잊어버리고 있었다. 하지만 유명한 이름값만큼이나 당연하다는 듯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이 있었고, 떠올려보니 그때도 재밌게 몰입해서 책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특히 '백야행'이 그랬다. '아들 도키오'는 이번에 처음 읽었는데, 어떤 내용인지 대략적으로 알고 있었어도 순식간에 책을 읽어버릴 정도로 재밌게 읽었다.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알면서 읽으면 이어질 내용을 예측하게 되거나 중간에 흥미를 잃을 수도 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그 다음 전개를 궁금해하며 읽었다. 대단한 사람이었다. 

 

 " 저 사람이 젊음 탓에 실수하는 모습을 보는 건 괴롭다 ... (327) " 는 도키오의 말처럼 다쿠미가 정말 싫은 느낌의 사람이라 나 역시도 읽는 동안 괴로웠다. 생판 남의 눈으로 봐도 보고 있기 괴로울정도로 철없는 모습을 보이는데, 도키오의 마음이 어땠을지 이해가 됐다. 도키오를 통해 다쿠미가 자신의 문제를 깨닫고 성장하기를 기대하며 읽었는데 아주 극적이지는 않아도 조금씩 선을 지키며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읽으면서는 아쉬웠지만 나중에는 납득이 되는 내용이었다. 답답한 상황에서 주인공이 '먼치킨'적인 능력을 발휘하고 '사이다' 결말을 내놓길 바라는 데에 익숙해졌었나보다.  

 

 책을 읽다보니 문득 마음이 서늘한 것이 어쩌면 미래의 누군가가 나에게도 찾아왔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허황된 생각이 진짜건 아니건 스스로 질문해보게 되는 것이다. 나는 어떤 사람이지? 누군가 내 모습을 지켜보는 일이 괴롭다고 생각하게 행동했던 적은 없었나? 미래인을 만났을지도 모른다고 상상하는 것이 좀 우스울지 모르지만 화들짝 자신에 대해서, 또 지금은 기억나지 않는 지난 인연들에 대해서 되돌아보았다. 반대로 만약에 나는 과거의 누군가에게 찾아갈 것인가 생각도 해봤다. 젊은 시절의 부모님을 만나러 간다면 어떨까, 무슨 말을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같은 생각들을 오래도록 해봤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게 가장 좋겠지만.

 

 소설은 미래에서 온 아이라는 타임슬립 소재만으로도 흥미로운데 그 안에 심각한 사건도 얽혀 있어서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이어진다. 갑자기 사라진 다쿠미의 (전)여자친구가 휘말린 사건과 다쿠미가 그동안 외면했던 뿌리찾기가 자연스럽게 한데 얽혀 전개된다. 제멋대로인 다쿠미가 도키오의 말만은 무시하지 못하고 따르게 되는 장면을 볼 때마다,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겠지만 핏줄의 운명적인 끌림!으로 미래에서 왔다는 도키오의 말을 믿어주기를 기대했다. 뻔한 신파는 싫다고 생각하면서 감동이 몰려오는 내용이 있지 않을까 미련을 가졌다. 이를테면 허생원이 '자네 왼손잡이인가'하는 것처럼. 그래서 좀 아쉽기도 했다.

 

 어떤 기억들이 살아가면서 잊혀지고 흐려진다는 것에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결과를 품고 있어서 지난 시간들을 자꾸 까먹는 나이가 된 것을 좀 덜 섭섭해하려고 마음먹었다. 적지 않는 분량의 책인데 한번 읽기 시작하니 쉴 틈 없이 쭉 읽혔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다쿠미를 두고 자신이 가장 아끼는 캐릭터라고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매력이 덜해서- 사실은 너무 별로라 끝까지 정이 가지는 않았는데 그래도 내용이 재미있어서 무리없이 읽었다. 한동안 잊고 있었는데 히가시노 게이고를 다시 만나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