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사람얼굴 토기가 나온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신라시대 기록이 정자체로 적힌 나무통 문서를 추가로 출토했다고 한다. 1600여년 전 신라 고대사를 가늠해볼만한 유산이 되리라 주목을 받고 있는 이 발견에 대한 기사를 공들여 읽었다. 긴 시간을 잠들어있었을 기록이 깨어나게 된 일이 어쩐지 안타깝지만 설레이는 일이다. 고대의 도시가 남겨놓은 아스라한 기록물이 비교적 온전히 1600년의 시간을 너머 우리의 손에 전해졌다니. 십수세기 전에 그 자리에 터전을 이루고 살았던 사람들 삶을 감싼 베일이 한장 걷어졌을 때 내 손에는 '도시 이야기'가 들려있었다. '도시 이야기'의 세번째 콘셉트가 기억과 기록이었다. 도시에 우리가 무엇을 기록하고 남길 수 있을까 막연한 의문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소월리 유적이 그 답을 자연스럽게 알려주었다.

 

 언젠가부터 사람들의 관심이 도시와 건축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느꼈다. 그 전에도 있어왔지만, 대중적으로 주목하게 된 것은 그리 길지 않은 때라 생각한다. 언제부터였을까 생각해보면 '밀고 지어내는 일'에 맞췄던 초점을 비교적 '조화롭게 의미를 두고' 만들어내는 것으로 옮겨가기 시작한 시기를 떠올려보자. 그리 길지 않은 때라는 말에 공감할 것이다. 요즘은 건축과 공간에 대한 책이 나오고 매체에도 건축가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소개된다. 그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우리 삶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그렇지 않다고 낯설게 생각한 때에도 익숙한 건축물과 유명한 도시를 통해 관심을 끌고 보는 이를 매료시켰다. '도시 이야기'의 저자 김진애도 '알쓸신잡'이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도 도시와 건축은 이제 막 관심을 갖게 된 분야인데다, 어쩐지 전문적이고 어려워보이는 느낌에 선뜻 유명한 책을 집어 읽기에 문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때 성공한 여성의 당당한 모습으로, 도시와 건축물을 접근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친근함으로, 다가온 그녀의 책이 반가웠다. 그녀가 제시한 12가지 도시에 대한 콘셉트는 도시가 안고 있는 의미들이 이렇게 많은가 싶을 정도로 다채로웠다. 12가지 콘셉트들은 도시에 이런 면이 있나 싶다가도 그곳이 사람이 사는 공간이라고 떠올리면 이내 수긍되기도 했다. 그리고 내가 알았던, 그리고 알아채지 못했던 도시의 여러 면모들을 좀 더 깊이 생각하며 책을 읽게 되었다. 좋지만도 나쁘지만도 않은 도시는 사람과 닮아있었다. 그 자체로 살아있는 무엇과 같이.

 

 제일 흥미롭게 읽은 부분은 첫번째 콘셉트였다. 가장 많이 다녀본 장소들이 나와서 공간을 익숙하게 그려볼 수 있었다. 서울시내와 광장, 흥미로운 건 사대문이라는 공간이 아직 통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도 미세먼지 관련 정책으로 사대문 안에 5등급 차량 운행 제한을 둔다는 기사가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다. 오래된 도시의 구획은 사람들로 인해 이어져 상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뒤에 이어진 권력의 공간, 청와대나 국회같은 곳도 자주, 매일같이 바라보던 시설이라 그 곳들을 보며 내가 자연스럽게 어떤 생각을 하고 감상을 가졌는가 떠올려보니 신기하고 재밌었다. 놀랍게도 나는 그 권력의 장소들을 내심 꽤나 상징적으로 여기고 있었다. 2호선을 타고 지나가며 보이는 한강과 국회의사당의 풍경을 매번 애써 눈에 담는 것처럼. 이런 감상은 그들이 원하는대로의 반응인 것일까, 사회구성원이 자연스럽게 가지는 애착인 것일까 궁금해졌다.

 

 우리나라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기록 덕후들의 나라인터라 개발이 어려울 정도로 '땅을 파면 뭐가 나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공룡 발자국부터 역사적 기록물의 발견까지, 기록과 보관의 DNA가 우리 유전자에 잘 새겨져 있음을 느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떨까. 가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볼 때면 가장 특징적인 풍경이 아주 현대적인 건물들과 전통적인 건물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다. 외국인들이 특별하게 생각하는 만큼 한국만의 이 풍경을 아끼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한때는 오래되고 낡은 것을 없애고 새로운 것으로 바꾸려는데 급급했던 때도 있었다. 이때 스러져간 것들에 대한 아쉬움탓인지 요즘은 컵 하나도 빈티지한 것을 찾아쓰고 일부러 오래된 공간을 찾아가는 흐름이 생겼다. 너무 가까운 과거의 향수에 빠져있는 것이 아닌가 우려하는 시선도 있고, 이또한 지나가는 유행일수도 있지만, 이런 기호가 무분별함을 막을 수 있는 숨통이 된다면 좋겠다는 저자의 생각에 크게 공감했다.

 

 개인적으로 여행가는 것을 좋아하는데, 왜 해외여행을 떠나는가에 대한 질문도 인상적이었다. 익명성을 위해서! 낯선 곳에서 일회적인 타인들 사이에서 느끼는 개방감은 확실히 특별하다. 유명한 사람이 아니어도 느낄 수 있는 이 개방감은, 하루를 구성하는 체험활동과 시간활용에 관대해지고 과감함해지게 만든다. 평소의 자신으로 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해외 여행이 주는 큰 매력 중 하나임에 분명하다. 책을 읽으면서 여행이 그래서 좋았구나, 그래서 편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한국인은 먹보니까, 그 나라에 가서 먹어봐야할 맛집 목록을 깨고와야 한다는 사명감도. 우리의 여행준비에는 필수적으로 먹을 것에 대한 검색목록이 있다. 왜 해외여행을 가는가에는 익명성도 있겠지만 그 위에 맛집이 있다. 이 핵심동기를 간과했다는 점이 크게 아쉬웠다. 많은 사람들이 동감하리라 생각하는데 이 책에서 가장 아쉬운 점이기도 했다.   

 

 읽는 이의 이목을 가장 집중시킬만한 것은 일곱번째와 아홉번째, 열한번째 콘셉트가 아닐까 생각했다. 차별, 차이, 혐오, 양극화같은 키워드는 최근 몇년을 관통하는 사회의 분위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에 나오는 '앉싸,서싸'같은 인싸 단어를 책을 보고 알았다는게 어색했다. 별걸 다 줄인다더니 진짜 쓰는걸까, 싶었다. 그리고 엘시티같은 초고층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는 부산은, 태풍에 유리가 깨졌는데 쉬쉬한다더라 하는 괴담과 경관을 해치는 흉물이다, 홍콩같이 마천루 랜드마크가 될 것이다같은 얘기만 건너듣다가 저자의 시각이 담긴 글을 읽어보니 이래저래 우리 사회의 구조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게 된다. 책에서 담아낸 콘셉트들에 대해서 겉핥기식이라도 한번쯤은 접해보고 생각해봤다는 점이 재밌었다. 도시라는 주제가 우리 삶에서 전혀 낯선 것이 아니라는 확인을 했다. 우리나라엔 왜 간판이 이리도 많은 것일까에 대한 의문, 불만까지도.

 

 '도시' 이 거대한 규모의 공간을 한 권의 책에 어떻게하면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담아낼 수 있을까 고민한 흔적이 전해지는 책이었다. 마치 우리가 어떤 낯선 도시에 막 도착했는데, 그 곳에 대한 안내판 앞에 서서 대략적으로 훑어보게 된 느낌이다. 낯선 주제일지도 모르지만 읽기 쉽고 재미있는만큼 부담없이 읽을 수 있었다. '도시 이야기'를 읽으며 키운 관심으로 더 깊은 도시와 건축에 대한 책들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초판 한정 부록으로 '도시는 여행 인생은 여행'이라는 작은 책을 함께 받았는데, 이 책은 저자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있어서 이 책을 먼저 읽고 '도시 이야기'를 읽으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초판 한정이니 빨리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