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등 고전읽기 혁명 - 내 아이가 고전에 빠져든다! 성장한다! ㅣ 초등 고전읽기 혁명
송재환 지음 / 글담출판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읽으며 생각을 키우는 활동의 소중함을 잘 알면서도 공부 때문에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틈만 나면 스마트폰을 들고 게임을 하거나 카카오톡으로 교신하는 일에 중독되어 사는 현대인들의 모습은 초등학생이라고 다를 바가 없다. 실시간 올라오는 가벼운 영상물에 탐닉하여 깊이 있는 내용을 담은 글은 기피하는 경향까지 낳으니 어떤 책을 선택하여 읽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등학교 입학한 아이들에게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며 학습만화 세트를 선물하는 경우가 있는데 옳은 선택인지 돌아보게 하는 <<초등고전 읽기 혁명>>은 흥미 위주의 독서에서 벗어나 생각하며 깊이를 쌓는 독서로 전환할 촉매로 작용한다. 많이 소유하는 것보다는 존재 가치를 높이는 정독을 독서법으로 삼아 책 한 권을 선정해 읽을 때도 신중히 가릴 필요가 있다.
서울 동산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저자는 전교생에게 고전을 읽게 함으로써 얻은 교육적 성과를 여과 없이 담았다. 재미있는 책에 젖은 학생들은 책을 대충 읽음으로써 진정한 독서에 이르지 못하는 병폐가 있음을 진단하고 내면적인 변화와 성숙을 도모할 독서법을 고전 읽기에서 찾았다. 수많은 책들 중에 양서를 선택하여 읽는 일은 가치관의 뼈대를 이루는 초등학교 때 이뤄져야 할 고전 읽기는 글이 선사하는 감동에 몸을 맡기고, 그 구절을 음미하며 깊은 생각에 빠져들 수 있는 고전 읽기로 모아지길 바라는 마음이 더한다. 인간의 마음을 전하는 문학 고전, 인간의 생각을 가르쳐 주는 철학 고전,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패턴을 소개하는 역사 고전을 읽음으로써 통찰력을 길러 난관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를 수가 있다. 온 나라의 국민이 <<토라>>와 <<탈무드>>를 읽어 질의응답으로 사고력을 확장하고 논리력을 신장해 온 유대인들의 고전 읽기의 힘을 가늠케 한다. 학부를 졸업하기까지 고전 100권 읽기 운동을 전개하여 책 속에 영원불변한 가치를 발견하여 자신의 모델을 정하고 그 가치에 따라 꿈과 비전을 품어 열정적으로 도전하는 삶의 원동력으로 삼은 일은 고전 읽기의 전형으로 보인다.
감정을 조절하며 타인과 잘 어울리는 아이들의 긍정적인 삶의 태도는 정서 발달에도 도움을 주고 사회성이 좋다는 평을 들으며 지낼 수가 있다. 여러 인물들의 삶의 형태를 담은 고전에는 다양한 군상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며 소통 능력을 길러주는 고전 읽기는 아이의 내면을 성장케 한다. 아는 만큼 느낀다는 말처럼 인문, 철학 고전을 읽고 고민을 물음으로 제시하고 스스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사고능력을 향상시켜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독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아이의 집중력, 독서력, 연령에 따라 읽는 시간을 조절해 매일 일정한 시간 고전을 읽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책 읽기를 즐기는 아이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동기 부여로 재미를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도서 대출 카드 만들기, 서점 나들이, 독서 이력 관리 등을 들었다. 소리기에 속하는 저학년 때는 <<사자소학>>, 중학년 때는 <<동몽선습>>, <<격몽요결>>, <<명심보감>>, <<소학>>을 읽고, 고학년 때는 <<논어>>, <<채근담>>을 반추하듯 음미하며 읽을 때 그 효과는 커 보인다. 마음의 여유와 삶의 지혜를 발견하여 지금보다 한 단계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가슴에 와 닿는 구절을 삶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암탉이 달걀을 부화시키기 위해 20일을 품듯이 한 책을 20일 정도 품으며 읽을 시간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중요한 읽기 능력 세 가지는 ‘상상하면서 읽기’, ‘배경지식을 활용하면 일기’, ‘질문하면서 읽기’의 과정이다. 대답보다는 질문을 평가하는 물음으로 그 질을 평가하여 세계를 장악하는 지도자로 키워냈다. 음독은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읽기 방법으로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에게 권하면 좋을 방법이다. 서너 번을 음미하며 읽고 정서를 독서록에 남기며 논리 정연한 글을 표현하는 일에 익숙해지도록 유도하며 한 권을 읽고 난 뒤 표현활동까지 그치면 축하연을 벌여 성취감을 높이는 활동으로 격려하는 방법이 있다. 현상에 매몰되어 성적 위주로만 아이들 능력을 평가하는 편견에서 벗어나 이면에 숨어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열어 주는 활동 중 하나가 통찰력을 길러주는 독서 활동이다. <<파우스트>>를 창작한 괴테의 어머니는 아들에게 밤마다 책을 읽어줘 상상력을 키워주었다니 음독의 효용 가치를 일깨운다. 거실에 있는 텔레비전부터 치우고 거실을 서재로 바꾸어 일정한 시간 온 가족이 모여 논어를 읽으며 타인을 배려하며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 길로 이끄는 혁명적인 실천은 식구들마다 성장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