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항상 이해할 수 없는 것에 강한 인상을 받는다. 그 속에는 아마 우리에게 이로운 것이 감추어져 있을 것이다. 논리적인 생각이다.˝
<그로칼랭>은 ˝로맹가리˝와 ˝에밀아자르˝가 동일 인물인지 몰랐다면 다른 작가의 작품이라고 속을 수 밖에 없는 작품이었다. (그로칼랭은 ‘열렬한 포옹‘ 이라는 뜻이다.)
도시속에서 고독하게 살아가는 ˝쿠쟁˝, 그에게 사람은 어렵고 사랑은 더 어렵다. 언제나 하고 싶은 말은 입안에서 맴돌고, 공상만이 그가 할 수 있는 전부였다. 용기내어 말을 건네고, 마음을 고백해 보지만 그에게 돌아오는건 냉소와 거절 뿐이었다.
그에게 유일한 위안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2미터가 넘는 거대한 비단뱀 ˝그로칼랭˝. 아무 조건없이 ˝쿠쟁˝을 좋아해주는 ˝그로칼랭˝과 함께 있을때에만 그는 행복을 느낀다.
[사람은 온전히 자기 입장이 될 수는 없다. 이미 자기 입장에 있을 뿐더러, 곧 불안과 마주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감이라는 방법을 통해 다른 이의 입장이 될 수는 있다.] P.98
그러나 자신의 전부인 ˝그로칼랭˝을 동물원에 보내고 난 후 그는 큰 상실감을 느낀다. 결국 ˝그로칼랭˝에 점점 동화되면서 그의 정신분열은 극대화된다. 외로운 대도시 한복판에서 그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 작품의 이야기는 절대 우울하지 않다. 오히려 기묘하고 유쾌하며, 예측불가능한 ˝쿠쟁˝과 ˝그로칼랭˝의 행동은 책을 읽는 내내 웃음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들이 오히려 ˝쿠쟁˝과 같은 사람이 가지는 외로움의 선명함을 더해준다. 왜 우리는 많은 사람들 속에 있으면서도 고독을 느끼는 걸까?
문장들은 생동감이 넘치고, 내용은 더없이 독창적인 <그로칼랭>, 나는 이 작품을 읽고나서 ˝로맹 가리˝는 문학의 천재라는 생각을 했다.
Ps. 지금까지 ˝로맹 가리(에밀 아자르)의 작품은 총 다섯편을 읽었는데(생각보다 얼마 안읽었다) 다 좋았고 작품마다 색깔이 뚜렷함을 느꼈다.
가장 독창적인 작품 : 그로칼랭
가장 감동적인 작품 : 자기만의 생
가장 좋아하는 작품 :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