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 - 소돔과 고모라 1
마르셀 프루스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민음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록 사랑도 어느 한계 안에 머물러야 한다는 게 내 견해지만 그래도 사랑은 사랑이니까.]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7>은 전체의 4번째 이야기-1편에 해당하며, 제목은 구약성서 창세기전에 기록되어 있는 악과 타락을 상징하는 도시인 ˝소돔˝과 ˝고모라˝에 서 따온 <소돔과 고모라> 이다.

평소에 ‘소돔‘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는데, 그냥 사악함을 나타낸 건 줄 알았다. 그런데 책을 읽어보니 그게 아니었다. 소돔과 고모라 모두 성적 타락 때문에 신에 의해 파괴된 도시인데, 이 책에서는 ˝소돔˝은 남성 동성애자를, ˝고모라˝는 여성 동성애자를 의미한다.

지난 3번째 이야기 까지는 그래도 소년과 소녀의 밝은 느낌이 어느정도 있었는데, 4번째 이야기 부터는 뭔가 분위기가 약간 침침한 기분이 든다.

<소돔과 고모라1>은 1부와 2부 1장, 2부 2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에서는 ˝샤를뤼스˝와 이와 관련된 동성애(소돔)가 다루어지고,

2부 1장은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1.게르망트 대공집으로의 초대와 그곳에서 스완과의 만남,
2.스완의 부인인 오데트와 베르뒤랭 부인에 관한 이야기들
3.집에서의 알베르틴과의 만남
4. 벨베크의 두번째 방문과 그곳에서의 지난 할머니에 대한 추억의 회상

등의 이야기가 진행되며,

2부 2장에서는 ˝알베르틴˝과 이와 관련된 동성애(고모라)가 다루어진다.



<가장 좋았던 부분>

7권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좋았던 부분은 ˝마르셀˝이 ‘발베크‘에서 돌아가신 할머니를 떠올리는 부분이었다. 평소에 연예와 사교생활(?) 등으로 인해 잊고 있었던 할머니에 대한 기억이, 할머니와 마지막을 보냈던 ‘발베크‘ 방문을 통해 되살아 난다.

[망자는 우리 마음속에만 존재하므로, 망자에게 가한 상처가 집요하게 기억 속에서 되살아나 때 그 상처가 쉬지 않고 아프게 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기 때문이다. 그 아픔이 아무리 가혹한 것이라 할 지라도, 나는 온 힘을 다해 거기에 매달렸다. 그 아픔은 할머니에 대해 내가 가진 추억의 결과이며, 할머니에 대한 추억이 분명히 내 마음속에 현존하는 증거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나는 할머니를 진정으로 고통에 의해서만 기억한다고 느꼈으며, 그리하여 할머니에 대한 기억을 고정시켜 놓은 그 못들이 더 단단하게 내 마음에 박히기를 희망했다.] 284페이지

너무나 좋아했던 사람이 떠난 후 시간이 흘러 매일 떠올리지는 않더라도 그 추억은  결코 사라진게 아니다. 특별한 장소 또는 잠시 생각하는 순간에 그 추억은 우리 마음속에 다시 떠오르는데, 이 책에서는 잃어버린 것을 추억하는 것에 대한 사람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까지 슬프하고 그리워할 수는 없다. 사람은 다시 그만의 인생을 살아야 하니까. 그래서 이 책에는 이에 대한 문장이 이렇게 쓰여있다.

[하지만 내 마음이 아마도 그 괴로움에 비해 지나치게 작았는지, 나는 그렇게나 큰 고통을 견딜 힘이 없었고, 나의 주의력은 고통 전체가 다시 형성되려는 순간 나에게서 빠져나갔으며...]  323페이지

그렇게 ˝마르셀‘은 아픈 기억을 마음속에 접어두고 다시 연예와 사교 생활에 집중한다.



<가장 재미있는 부분>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샤를뤼스˝와 ˝쥐피앵˝의 동성애를 암시하는 부분과 ˝샤를뤼스˝가 남성을 관심있게 관찰하고 은근슬적 접근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다소 충격적이면서도, 웃음을 자아냈다.

[샤를뤼스 씨는 쥐피앵을 바라볼 때마다 자신의 눈길에 어떤 말을 담으려고 애쓰는 것 같았고, 그 때문에 그 눈길은 평소에 그가 알거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보내는 것과 지극히 다른 빛을 띠었다.] 22페이지

왠지 느끼한 눈길이지 않을까? 란 생각이 들었는데, 평소 남성다움을 보여주는 ˝샤를뤼스˝가  아무도 없다고 생각되는 장소에서 ˝쥐피앵˝에게 이와 반대되는 성향을 보여주는 부분에서는 그가 그동안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에 대한 아픔이 암시되어 있다.

[저주를 받은 이 종족은 모든 피조물에게서 가장 큰 삶의 기쁨인 그들의 욕망이, 벌을 받아 마땅한 수치스럽고 고백할 수 없는 것임을 알기에 평생을 거짓말과 거짓 맹세 속에서 살아야 한다.] 39페이지

밝힐 수 없는 정체성을 가진 ˝소돔과 고모라˝들이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한 사실을 적은 이 문장은 저자인 ˝프루스트˝가 느꼈던 감정이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안타까운 부분>

가장 안타까운 부분은 2부 2장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분으로, ‘고모라‘ 성향을 보이는 ˝알베르틴˝과 이를 의심하고 괴로워하는 ˝마르셀˝의 이야기이다. 처음부터 뭔가 정상적인 연인이라 보기 힘들었던 둘의 관계는, ˝마르셀˝이 주변의 ‘소돔과 고모라‘를 목격하게 되면서 이에 대해 인식하게 되고,

우연한 기회에 목격한 ˝알베르틴˝의 고모라적인 행동에 큰 충격과 의심을 갖게 된다. 결국 그는 ˝알베르틴˝에게 이를 직접 추궁하게 되고 ˝알베르틴˝은 이를 부정하며, 그는 다시 그녀에게 사랑을 느낀다.

[그러나 질투란 우리 주장의 신빙성보다는 그 주장을 말하는 강력한 어조에 의해 더 쉽게 제거되는 그런 병적인 의혹의 범주에 속하므로, 내 마음을 가장 진정시켜 준것은 바로 그 말이었다. 게다가 우리로 하여금 불신하게 하는 동시에 믿게 하고, 사랑하는 여인으 다른 어느 여인보다 빨리 의심하는 동시에 그녀가 부인하는 말을 더 쉽게 믿도록 하는 것이 바로 사랑의 속성이다.] 408페이지

하지만 이 사랑도 잠시일 뿐, 마음속에 자리잡은 그의 의심은 커져만 가고 그는 결국 ˝알베르틴˝의 취향을 확신하게 된다. 그러면서 이야기 끝~!

이 부분이 안타까웠던 이유는 통상 남여간의 연인 관계에서 질투는 통상 남자는 여자의 주변 남자에게, 여자는 남자의 주변 여자에게 느끼지만, ˝마르셀˝이 겪는 상황은 ˝알베르틴˝ 주변 여자에게 질투를 느낀다. 그래서 ˝마르셀˝은 ˝알베르틴˝의 근처에 있는 여자 뿐만 아니라 새로 등장하는 여성 모두를 의심하게 된다. 뭔가 너무 특이한 상황 같아서 안타까웠다. 여기저기 들이대지만 계속 실패하는 ˝마르셀˝의 사랑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6권 리뷰를 안쓰고 쓰는 7권 리뷰여서 약간 찔리긴 하지만, 주말에 6권 리뷰(게르망트 쪽 1,2 종합 리뷰)를 써보도록 해야겠다. 8권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완전 기대가 된다.

구약성서 상 ˝소돔과 고모라˝는 파괴된 도시인데, 그렇다면 <잃시찾>의 ‘소돔과 고모라‘ 들은 모두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는 걸 암시하는 걸까? 라는 추측을 해본다. 답은 언젠가 나오게 될 13권에 들어있겠지~!

감성적인 이야기와 충격적인 이야기가 섞여있는 7권은 읽는 재미가 상당했다.

댓글(26)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6-25 18:3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1등찜ㅋㅋ😊

새파랑 2021-06-25 18:53   좋아요 4 | URL
😀 제 글은 이렇게 등수할 정도는 아닌데 민망하군요 ㅎㅎ

미미 2021-06-25 19:33   좋아요 4 | URL
새파랑님이 정리해주신 글 읽으면서 다시 한번 저도 정리가 되네요!ㅋㅋㅋ영화로 치면 제겐 씬스틸러인 샤를뤼스!! 읽다가 몇번이나 뿜게 됐는지 모릅니다ㅠㅇㅠ;;
영화도 아주 예전 꺼지만(1999) 있긴 있더라구요. 막 존 말코비치랑 뱅상페레,엠마누엘 베아르등 화려한 출연진! 근데 존 말코비치가 샤를뤼스같은데 영화정보에 역할이 안나와서 확실치는 않아요. 다 읽음 유튭 토막 영상으로라도 보려구요😊

새파랑 2021-06-25 19:45   좋아요 4 | URL
와 이책이 영화로도 있군요~ 미미님의 화려한 영화감상평이 기대가 됩니다 ^^ 저 책 다읽고 미미님 리뷰 찾아봤어요 😀 상호 기억을 환기시켜주네요 ^^

scott 2021-06-25 22:31   좋아요 3 | URL
존 말코비치-뱅상페레-엠마누엘 베아르
이모든 연기자들 제가 좋아하고 ??
화려한 연기자들이지만
이영화보다
아주 오래전 다큐인데 마르셀의 하녀의 시선으로 마르셀의 일상(죙일 누워서 글만 쓰는 병약하고 심약한)과 잃시찾을 연결 시킨 3부작이 있는데
작품 속 인물들과 가장 비슷 !

새파랑 2021-06-25 22:40   좋아요 3 | URL
프랑수아즈가 주인공인가보네요. 책에서는 너무 웃기던데 ㅋ 다큐까지도 많이 아시는 스콧님은 👍

미미 2021-06-25 22:48   좋아요 3 | URL
아 역시역시!!! 스콧님 저 쫌 예상했지요! 진정한 마니아이시니깐요😆
유튭에 있을지 뒤져봐야겠어요!슝~3

scott 2021-06-25 18:3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2등 예약 ㅎ●^^●

새파랑 2021-06-25 18:54   좋아요 3 | URL
스콧님의 예약이라니~!! 퇴근전에 급하게 리뷰를 썼어요. 그래서 상태가 영 그렇습니다 😔

scott 2021-06-25 22:34   좋아요 3 | URL
이제 새파랑님은 꿈속에서
마르셀 옹을 만나실것 같은 예감이 사알짝 !

╭ ⁀ ⁀ ╮
( ʕ ´ ل͜ ´ ʔ  
╰ ‿ ‿ ╯
새파랑님의 리뷰는 잃시찾을 읽다가 잃어버린 기억을 소환 시켜주쉼

새파랑 2021-06-25 22:37   좋아요 2 | URL
이 이모티콘은 🐑 인가요? 😊

미미 2021-06-25 22:45   좋아요 2 | URL
정답!🤚말 풍선(생각 풍선?)에 들어있는 얼굴 아닌가요?
아 스콧님 특수이모티콘 지존이쉼!😳😊

scott 2021-06-25 22:48   좋아요 3 | URL
역쉬! 미미님 정답!!!
마르셀옹 얼굴 그리다가
하관은 완성 못함요 ㅎㅎㅎ
미미님이 읽으신 스테판외 그림
따라함 ( ´●◡●`*)

scott 2021-06-25 22:49   좋아요 2 | URL
우와 ! 새파랑님
1871년생 마르셀옹
양띠인걸 알아차리쉼 (=‘▼‘=)

새파랑 2021-06-25 23:02   좋아요 2 | URL
전 정말 양으로 봤어요 ㅎㅎ 그리다만 마르셀옹 못알아봐서 죄송해요 ㅎㅎ

붕붕툐툐 2021-06-25 20:5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럼 제가 3등 가나요~~ㅎㅎ
읽다보면 엄청 상당히 재밌게 읽을 수 있다는 희망을 주시는군요!!

새파랑 2021-06-25 21:04   좋아요 3 | URL
희곡보다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툐툐님도 2권부터 읽기 시작하세요😊

레삭매냐 2021-06-25 21: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대단하십니다 고저.

그나저나 전 언제나 -

새파랑 2021-06-25 22:17   좋아요 2 | URL
레삭매냐님이 더 대단하신데 어디 제가 ^^

페넬로페 2021-06-25 22:08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일.사.찾 전문가가 되셔서 이제 체계적인, 머리에 확 들어오는 리뷰를 쓰시네요^^
점점 끝이 보이기 시작하는 새파랑님의 잃.사.찾 읽기~~완주를 위하여 화이팅**

새파랑 2021-06-25 22:19   좋아요 5 | URL
이젠 잃시찾은 1주일에 1권씩만 읽어야 할거 같아요 ^^ 7월에는 완주 하겠습니다~!!

희선 2021-06-26 01:2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여기에 나오는 소돔과 고모라는 그런 뜻이었군요 말은 들어봤지만 잘 알지는 못했던 거기도 하네요 마르셀이 살았을 때는 동성애를 더 안 좋게 여기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군요 동성애 금지법은 영국에만 있었을까요 법은 없었다 해도 사회 분위기는 안 된다였을지도...


희선

새파랑 2021-06-26 08:55   좋아요 4 | URL
사회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내적으로는 동성애가 많았던 것 같더라구요. 마르셀이 우연히 비슷한 장면을 목격한 후의 내적 갈등이 잘 표현되어 있어요~!

mini74 2021-06-26 09:1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ㅠㅠ 새파랑님이랑 미미님 글 읽으면 이렇게 쉽고 재미난데 ㅎㅎㅎ 새파랑님 파이팅!

새파랑 2021-06-26 09:33   좋아요 4 | URL
까만건 글이요 하얀건 종이라고 생각하면서 읽고 있어요 ^^

모나리자 2021-06-28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요즘 잃시찾 손도 못댔어요.ㅎ
새파랑님은 비행기 속도, 아니 로케트 수준이네요!!!
ㅋㅋㅋ
맞아요. 그냥 활자만 모두 읽는다해도 대단할 것 같아요.
쭉~일사천리로 완독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