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이야기는 살아 있는 존재라고 한다.......

  ......이야기꾼들에게 치메그웨츠Chi megwech(고맙습니다).(007)

 


이야기만큼 본성이다. 본성만큼 사건이다. 사건만큼 네트워킹이다. 네트워킹만큼 창조다. 창조만큼 의미/재미다. 의미/재미만큼 이야기다. 그 이야기가 태초에 있었다. 태초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하기가 종말 이야기다. 종말 이야기는 회복과 치유 이야기다.

 

우리는 '다시 이야기하기re-story-ation' 없이는 회복restoration을, 의미 있는 치유를 해나갈 수 없다.......하지만 누가 이야기를 들려줄까?”(025)

 

내가 생애 마지막 풍경화로 곡진히 낭/풀 이야기를 그려 넣는 까닭은 인류 마지막 풍경화와 포개지기 때문이며, 마지막 풍경화에 꼭 똑 필요한 이야기 색채는 회복/치유이기 때문이다. 같은 말로 반복해 강조하면, 회복/치유는 오직 낭/풀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풀 이야기는 살아 움직이는 생명 운동 원리며 지혜기에 생명이 겪는 아픔과 슬픔에서/을 회복/치유한다. /풀 이야기가 이끌어 인간이 낭/풀 목숨 거둬 제 목숨 되게 하면 낭/풀은 생명 운동 구조며 에너지로 물화한다. /풀 이야기가 서사 의/약학을 낳는 이치다.

 

서사 의/약학이 내게 올 때, 그 이름은 서사 한의/본초학이다. 서사 한의/본초학은 동아시아 의학 전승에 어느 정도 구축되어 있다미비·흠결된 서사, 특히 영성 서사가 내 몫이다.

 

백색의/약학인 현대 서구의/약학이 서사 의/약학을 구축하는 일은 아마도 불가능에 가깝지 싶다. 저들에게 이야기는 과학이 아니니까. 과학은 수식이니까. 수식은 영을 담지 못하니까. 나는 저들을 설득할 생각이 없다. 나는 성가대에게 설교’(리베카 솔닛)하고 있다.

 

거의 20년 전, 나는 가난한 10가족에게 매주 방문 진료 봉사를 했다. 하나둘씩 떠나가더니 이제 딱 한 가족만 남아 인연을 이어간다. 이 가족은 이야기꾼들이다. 치메그웨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향모를 땋으며 - 토박이 지혜와 과학 그리고 식물이 가르쳐준 것들
로빈 월 키머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80세 노인이 압박골절 통증으로 눈조차 제대로 뜨지 못하는 상태에서 침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 나흘째 되는 날 보니 제법 원기도 회복되고 눈동자가 맑아졌다. 시침 중간 뚜벅 이렇게 말한다. “수지침하고 똑 같구먼!”

 

매판 지배세력이 여전히 준동하는 세상에 길들여진 대중은 한의사를 의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침쟁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경로당에서 경험한 수지침이나 한의사가 놓는 침이나 침이긴 매일반이라고 여길 만하다. 누구든 자기 코로 세계 냄새를 맡기 마련이다. 거기 취하는 사람이 있고, 거기서 번져 가는 사람이 있다는 차이뿐.

 

우리 낭/풀 전승에서 그리 중요하지 않았으므로 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한 한참 뒤에도 향모를 알지 못했다. 읽어 나아가면 책 속에 그 설명이 있으리라 막연히 기대할 뿐이었다. 이 책 구성원리를 먼저 검토하고 읽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착오였다. 이 책 구성원리가 여느 책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차린 뒤에야 향모를 더듬어보기 시작했다.

 

저자는 향모에서 바닐라 향이 난다고 했지만 내가 찾은 자료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레몬그라스였다. 레몬이란 말을 이상히 여기면서 나는 레몬그라스를 구해 향을 맡아보았다. 레몬 향과 같기 때문에 레몬그라스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 코와 다른 코가 내게 있었으므로 나는 그 냄새가 살아 있는 벼 대궁에서 나는 냄새와 본질이 같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물론 바닐라 향도 또 다른 사람 코로 맡은 향이다. 완전히 동일한 풀이 아니어서 각각 자기 코가 더 정확할 수 있다. 내 코로 맡은 향모 향은 모름지기 레몬만도 아니고 바닐라만도 아닌 경계 냄새다. 아직 미지 생명으로 내 밖에 있지만 향모, 정확히는 향모라는 생명 장은 이미 소중하고 각별한 향으로 내 안에 들어와 있다. 고마운 일이다.

 

내게는 향모를 땋는 전승이 없다. 구태여 그 형식 자체에 참여할 필요는 없다. 저자 전승에서 향모를 심고, 키우고, 뽑고, 땋고, 태우는 과정이 건네는 은유를 내 전승에 맞는 생생한 물질의미로 받아들여 따르는 길을 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달 전 이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문제는 인간 본성과 나무 본성 사이에 존재하는 격절이다. 본성 간 격절은 어떻게 얼마나 극복할 수 있는가?.......나무삼매경이 내 무엇을 변화시켰는지 내가 지금 아는 만큼으로서는 그다지 큰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닌가? 질문을 더 다지려 나무처럼 생각하기앞에 있는가?”

 

마지막 질문에 그렇다분명히 대답할 수 있다는 사실 하나가 확실하고 나머지는 여전히 질문인 채로다. 이 질문들에 유효하게 답하려 애쓰는 동안 나는 로빈 월 키머러 이야기 둘을 천천히 음미했다. 향모를 땋으며. 이끼와 함께. 통렬한 자성이 일갈한다. “섣부르구나!”

 

필경 내 섣부름은 시생대 touching 누락에서 발원해 평생 글 쓰고 말하는 일을 해온 삶이 강을 이루며 야전에 서투른 인간으로 흐른 탓이리라. 몸의 오감과 제6감을 총동원해 영으로 깃들어가는 들사람이 지닌 탱맑은 살 냄새가 없어서 나무 영을 매혹하지 못하는 탓이리라.

 

내 팔 길이 안에 있는 나무들에 여태 써온 말로는 표현할 수 없이 차지게 가 닿아야 한다. 언제든 거기 있어온 나무지만 이제야 나타난 새로운 인연으로 각별히 생명을 섞어야 한다. 간절함이야 애를 녹이지만 닿고 섞는 일은 손으로 허공을 휘젓듯 잡히지 않으니 어찌 할까.

 

다시 정좌한다. 나는 누군가. 나는 경계 사람이다. 영 세계와 과학 세계 사이를 흐르며 가로지르는 사건이다. 나는 그 경계 방식으로 나무에게 다가가고 나무가 이끄는 길을 간다. 떨림 없는 감지, 그 고요함을 데면데면하게 보지 않는다. 오늘 아침 나는 버드나무를 똑 따랐다.

 

나는 사람을 사랑해 사람이 된 나무다. 그뿐이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팎 구분이 없고 정해진 경계도 없이 열린 나무 마음이 얼마나 인간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훌륭한 존재방식을 일깨워주는지.......(189)

 

나무가 깊은 감동이며 훌륭한 존재방식인 까닭은 안팎 구분이 없고 정해진 경계도 없이 열린존재기 때문이다. 안팎 구분이 없음을 인간 관지로 표현하면 무아無我. 정해진 경계가 없음을 인간 관지로 표현하면 무상無常이다. 여기다가 역경과 화쟁하며 미완성으로 영속하는 나무 삶을 인간 관지로 표현한 를 더하면 삼법인三法印이 된다. 그렇다. 불교는 나무에서 발원했다. 붓다가 보리수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었다는 전승은 통속한 이해 너머 영적 진실을 머금고 있음에 틀림없다. 붓다도 그를 따르는 자들도 이를 통찰하지 못했기 때문에 불교 사상은 심오하다는 누명을 쓰게 되었다. 이 심오함은 도리어 안팎을 구분하는 빌미가 된다. 허접한 중들이 자꾸 참나眞我 운운하는 까닭이 여기 있다. 불교는 심오하지 않다. 아니. 심오해서는 안 된다. 오직. 나무南無나무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