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처럼 생각하기 - 나무처럼 자연의 질서 속에서 다시 살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자크 타상 지음, 구영옥 옮김 / 더숲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달 전 이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문제는 인간 본성과 나무 본성 사이에 존재하는 격절이다. 본성 간 격절은 어떻게 얼마나 극복할 수 있는가?.......나무삼매경이 내 무엇을 변화시켰는지 내가 지금 아는 만큼으로서는 그다지 큰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닌가? 질문을 더 다지려 나무처럼 생각하기앞에 있는가?”

 

마지막 질문에 그렇다분명히 대답할 수 있다는 사실 하나가 확실하고 나머지는 여전히 질문인 채로다. 이 질문들에 유효하게 답하려 애쓰는 동안 나는 로빈 월 키머러 이야기 둘을 천천히 음미했다. 향모를 땋으며. 이끼와 함께. 통렬한 자성이 일갈한다. “섣부르구나!”

 

필경 내 섣부름은 시생대 touching 누락에서 발원해 평생 글 쓰고 말하는 일을 해온 삶이 강을 이루며 야전에 서투른 인간으로 흐른 탓이리라. 몸의 오감과 제6감을 총동원해 영으로 깃들어가는 들사람이 지닌 탱맑은 살 냄새가 없어서 나무 영을 매혹하지 못하는 탓이리라.

 

내 팔 길이 안에 있는 나무들에 여태 써온 말로는 표현할 수 없이 차지게 가 닿아야 한다. 언제든 거기 있어온 나무지만 이제야 나타난 새로운 인연으로 각별히 생명을 섞어야 한다. 간절함이야 애를 녹이지만 닿고 섞는 일은 손으로 허공을 휘젓듯 잡히지 않으니 어찌 할까.

 

다시 정좌한다. 나는 누군가. 나는 경계 사람이다. 영 세계와 과학 세계 사이를 흐르며 가로지르는 사건이다. 나는 그 경계 방식으로 나무에게 다가가고 나무가 이끄는 길을 간다. 떨림 없는 감지, 그 고요함을 데면데면하게 보지 않는다. 오늘 아침 나는 버드나무를 똑 따랐다.

 

나는 사람을 사랑해 사람이 된 나무다. 그뿐이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