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의 죽음 펭귄클래식 28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은정 옮김, 앤서니 브릭스 서문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수 년전, 엘리자베스 퀴블로 로스의 책을 읽고 죽음을 대하는 자세를 배웠다.

병든 노인들을 어떤 마음과 자세로 돌보고 보살펴 드려야 할 것인가를, 또한 그들의

죽음을 어떤 마음가짐으로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을 그녀의 책들로 

부터 배웠다. 이후 내게 두렵던 '죽음'은 다소 편안해지긴 했으나, 전제가 있었다.

그 '죽음'에 '나'는 없는 것으로!  표트르 이바노비치처럼.


<세상에, 사흘 밤낮을 끔찍한 고통에 시달리고 나서야 겨우 숨을 거두다니!
사실 언제든, 아니 지금 당장이라도 나한테 똑같이 닥칠 수 있는 일이잖아.

이건 이반 일리치에게 일어난 일이지 나한테 일어난 일이 아니야.
나는 이런 일을 겪을 리도 없고 또 나한테 일어날 리도 없어.

침울한 분위기에 눌려 괜히 쓸데없는 생각이 들었을 뿐이야.>


나도 그랬던 거지. 엘리자베스 퀴블로 로스의 이야기는 병든 노인들이거나, 어떤 환자들에 

국한 되는 것이었고, 그것을 '나'에 접목 시키기에는 너무 두려웠지.

그러다 <롭상 람파의 가르침>을 읽으니 죽음은 두렵고 무서운 것이 아닐 것 같더라.


<그는 오랫동안 자신에게 머물러 친숙해진 죽음의 공포를 찾아보았지만 찾을 수가
없었다. 죽음은 어디로 갔을까? 그런데 무슨 죽음? 죽음이 사라진 지금, 공포 따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죽음 대신 빛이 있었다.
(...)
아! 이렇게 기쁠 수가!
(...)
죽음은 끝났어.
(...)
죽음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아.
(...)
그는 숨을 깊이 들이 마셨다. 하지만 들이마신 숨을 미처 내뱉기도 전에 온몸을 쭉 뻗더니
그대로 숨을 거두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이 마지막 부분이 압권이다. 거듭거듭 읽게 된다.

<롭상 람파의 가르침>에서 말하는 죽음과 겹쳐진다. 죽음은 빛이다. 죽음은 빛이다.

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세 죽음>, <습격> 이 함께 이 책에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6-10-04 2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Grace님,
책을 읽고 나서 그 여운이 이렇게 오래가는 경우도 드물다 싶은 책 중 한권이랍니다.
여운이라고 해야하나, 충격이라고 해야하나...죽음으로 인해 삶을 더 진지하게 보는 계기로 만들려고 노력합니다. 한번 더 읽고 싶은 마음과, 그러기를 주저하는 마음이 동시에 존재해요.

Grace 2016-10-05 00:25   좋아요 0 | URL
아, hnine님^^
그러잖아도 hnine님의 이 책 독후감을 반갑게 읽었어요.
전 아마데우스를 아직 못봐서 보고 싶은 영화 목록에 추가해 두고는
상당히 기대하고 있어요.

˝당연히 해야 할 일들을 하면서 살았을 뿐인데 어떻게 잘못 살 수가 있지?˝
라는 생각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지막에 `용서해 줘`라고 합니다.
`용기를 가져.`라고 뱉어지긴 했으나.
당연히 해야 할 일들을 하면서 살았는데 그는 뭘 용서 받아야 하는 걸까요?
그러면서 오는 평안은 뭘까요?
내내 그 물음에 골몰합니다.

한번 더 읽고 싶은 마음, 그러기를 주저하는 마음...
아~ 과연 톨스토이 입니다.
 
여름에 내린 눈
우 조티카 사야도 지음, 최순용 옮김 / 한언출판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세 번째 읽었고, 두 번째 독후감이군.

같은 책이라도 내 상황에 따라 전혀 다르게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을 <공부하다 죽어라>에서

보았고, 이 책, 제목이 너무나 근사한 <여름에 내린 눈>에서 다시 보게 된다.

내 평안한 일상이었을때는 이 책이 어렵더라. 두 번을 읽어도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많더라.

평안하지 않은 지금은, 아니면 금강경 이하 여러 불교 서적을 접하고 난 뒤의 지금은 몰입이

되네. 한문장 한문장이 그대로, 온전히 들어온다. 

차분한 어투로 내 바로 옆에서 하나하나 일러주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쓰여진 책이다. 

읽는 내내 내 마음은 고요하다. 고요한 어투가 느껴지니 나도 고요하다. 

생각이나 느낌이 일어나면 지켜보라 한다. 많은 책에서 그저 지켜보라 한다. 그 지켜보는 것에

대한 것을 좀더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었던 책, 

 

근사한 제목의 <여름에 내린 눈Snow in the summer>.

이 책은 도서관서 빌린 것이 아니고 내 것이어서 참 좋다. 






*실제로 생각을 알아차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비난하거나 판단하지 말고 당신 마음을
그저 지켜 보십시오. 생각을 당신이라고 여기거나 당신 것이라고 여기지 말고, 있는 그대로
보십시오.

*마음을 '내 마음'이라 여기지 말고, 그저 '마음' 이라고 보십시오. 건전한 마음이든, 부건전한 
마음이든 무아로 보십시오. 마음은 그것이 일어날 만한 충분한 조건이 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지 스스로 일어난 것이 아니란 것을 보십시오. 그것은 실재하는 것도 아니고, 나도, 나의
것도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랑랑별 때때롱 (양장) 개똥이네 책방 1
권정생 지음, 정승희 그림 / 보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랑랑별 때때롱> 이야기를 다시 읽어 보니 재미있다가, 없다가, 어쨌든 그다지 잘 쓴
동화 같지는 않습니다. 죄송합니다. 2007년 5월 권정생"


책 머리말의 마지막 부분이다. 죄송합니다란 말에 작가의 순진무구함까지 느껴져 미소

가 지어졌는데, 가만! 작가는 2007년 5월 17일 돌아가셨는데, 그럼 이 머리말은 바로 그

직전에 쓰신 것이란 말이잖아! 미소가 당장에 날아가 버린다. 슬픔만 둥둥하니 뜬다.

이 책이 작가의 마지막 책이라 얼마나 힘겹게 쓰셨을까 싶었는데, 죽음 바로 그 직전이라니!

너무나 숙연해져서 마음이 자꾸자꾸 가라앉는다.


"사람들이 언제부터인가 과학을 잘못 알고 과학을 마음대로 어지럽히고 있습니다. (...) 앞으로
사람도 복제하려는 과학자가 생기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 갑자기
사람이 마음대로 생명의 질서를 깨뜨린다면 앞으로 큰 재앙이 닥칠 것입니다."

작가는 이를 경고하고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아이들을 위한 <랑랑별 때때롱>을 적으셨다.

발전이 극에 달해 결국 다시 농경시대로 돌아간 랑랑별. 언젠가 나도 그런 생각을 했었다.

이 발전의 끄트머리엔 원시시대가 턱하니 있는 것 아닐까 하는. 차라리 그리되면 좀 좋아!

더이상 발견 그만, 발명 그만하라던 고은의 시가 생각난다. 또 누구던가? 건축도, 개발도 제발 

그만 하라던! 

'우 조티카 사야도'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는데, 그럼 이 큰 재앙을 어찌할꼬?


권정생 작가의 책에선 유독 잘못 된 삽화를 많이 보았는데, 이 책의 그림들은 책의 내용과도 

잘 맞으며 그림 보는 즐거움도 크다. 책의 재질도 내가 본 권정생 작가의 책 중에서는 단연 

최고구만. 살아계셨으면 아이들 보는 책인데 책값 비싸진다고 싫어라 하셨을지도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콤베리 2016-10-23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너무 좋네용
권정생 작가님이 죽기 직전에 온 힘을 다해서 쓰신 책이라니.....
이 책을 저도 한 번 읽어보고 싶습니다.

Grace 2016-10-23 20:51   좋아요 0 | URL
이 책은 그림이 좋아서 그림만 따로 보기도 했어요.
그의 생전 마지막 책이라 의미가 깊기도 했지요.^^
 
고든박골 가는 길
이오덕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대부분 2001년에 적은 시들 모음집이다.

시 마다 날짜가 적혀 있어 하루에도 몇 편씩 쓰신 걸 알 수 있다.

이오덕 선생님 책을 읽을 때마다 드는 생각, 아, 글이란 이렇게 쓰야하는 거구나!

읽는 사람이 그 글에는 거짓이 없다는 걸 그냥 알아진다. 그 글이 곧 자신의 생활이겠구나도

그냥 알겠으며, 모두를 사랑하는 마음도 그냥 그렇게 알아진다. 나도 그렇게 살아야 하는구나도

그냥 깨달아지고 반성하게 된다. 훌륭한 글이란 이런 것인가 보다. 

전우익, 권정생, 이오덕, 이 세분을 소설가 김영현은 영남삼현이라 일컫는단다.

첫 장에 선생님의 큰 사진이 있어 오래도록 바라본다.

<일하는 아이들이 그린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백석현 학생이 그린 선생님 얼굴이 생각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오, 나의 미오 힘찬문고 29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 우리교육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덮고 나면 미오는 머나먼 나라에서건 우플란츠에서건 훨씬 더 늠름한 모습과 
따뜻한 마음으로 살아나갈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나도 미오처럼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을 하나쯤 품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이처럼 아름다운 환상을 품게 해 줄 수 있다면 현실이 조금은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 싶어
지기까지 합니다. 

이것이 바로 좋은 이야기의 힘입니다. 현실을 이기게 해 주는 힘 말이지요. >


번역자의 말이다. 

아름다운 환상을 품게 해 줄 수 있다면 현실이 조금은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라니,

너무 가볍게 뱉은 말은 아닌지, 분명 이 번역자는 힘겨운 현실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일

것 같다.

입양된 미오가 수 백번  "아빠가..."가 아니라, "임금님인 우리 아빠가..."로,

 

"미오야~"가 아니라 "미오, 나의 미오!"로 말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면 미오의 간절함이 

 

얼마나 애절한가를 볼 수 있으며, 그래서 더욱 나는 이 이야기는 결국 미오의 상상이겠구

 

나를 짐작하고, "임금님인 우리 아빠"뿐만 아니라 그냥 "아빠"도 없는 이 가엾은 아이의 

 

상상이 끝나는 것을 두려워 한다. 

이런 가엾은 아이에게 좀더 풍성한 상상과 환상을 위해 현실이 여기서 조금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라니! 아마도 내 생각엔 지워야 할 문장이지 싶다.

나는 위의 맘에 걸리는 문장을 이렇게 바꾸고 싶다.

<나도 미오처럼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을 하나쯤 품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현실이 힘들어도 이처럼 아름다운 환상을 품을 수 있다면, 견디어 낼 수 있는 힘이 조금씩
자랄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 그건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