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오, 나의 미오 힘찬문고 29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 우리교육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덮고 나면 미오는 머나먼 나라에서건 우플란츠에서건 훨씬 더 늠름한 모습과 
따뜻한 마음으로 살아나갈 거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나도 미오처럼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을 하나쯤 품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이처럼 아름다운 환상을 품게 해 줄 수 있다면 현실이 조금은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 싶어
지기까지 합니다. 

이것이 바로 좋은 이야기의 힘입니다. 현실을 이기게 해 주는 힘 말이지요. >


번역자의 말이다. 

아름다운 환상을 품게 해 줄 수 있다면 현실이 조금은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라니,

너무 가볍게 뱉은 말은 아닌지, 분명 이 번역자는 힘겨운 현실을 경험해 보지 못한 사람일

것 같다.

입양된 미오가 수 백번  "아빠가..."가 아니라, "임금님인 우리 아빠가..."로,

 

"미오야~"가 아니라 "미오, 나의 미오!"로 말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면 미오의 간절함이 

 

얼마나 애절한가를 볼 수 있으며, 그래서 더욱 나는 이 이야기는 결국 미오의 상상이겠구

 

나를 짐작하고, "임금님인 우리 아빠"뿐만 아니라 그냥 "아빠"도 없는 이 가엾은 아이의 

 

상상이 끝나는 것을 두려워 한다. 

이런 가엾은 아이에게 좀더 풍성한 상상과 환상을 위해 현실이 여기서 조금 더 힘겨워도 

괜찮겠다라니! 아마도 내 생각엔 지워야 할 문장이지 싶다.

나는 위의 맘에 걸리는 문장을 이렇게 바꾸고 싶다.

<나도 미오처럼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을 하나쯤 품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요?
현실이 힘들어도 이처럼 아름다운 환상을 품을 수 있다면, 견디어 낼 수 있는 힘이 조금씩
자랄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 현실을 달래 줄 수 있는 환상, 그건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