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저녁 메뉴 ~

ㅡ시간의 입장에서 ㅡ
박 형 서

아이와 서울 살때 비둘기는 어느 창가고 겁이 없이 내려 앉고는 했다.
우리 집 베란다도 여지없어서 멍하니 있다가 비둘기 똥의 세례를 받는
것은 사람의 잘못이지 비둘기의 잘못이 아니었다.
하필 왜 거기 서 있느냔 말이지...하고 구구구
그만큼 서울 한 복판에 비둘기가 많았다. 또 그만큼 많은게 치킨 집이
었다. 한 블럭 에도 두어집 건너 하나씩은 있는 듯 했으니까.
나는 그 즈음 늘 윤˝에게 하던 농담이 있었는데
그건 다름 아닌 우리가 늘 시켜먹는 치킨이 사실은 비둘기 고기 라는 것.
`봐, 비둘기가 이렇게나 많잖아 . 너 닭은 이만큼 봤어? 쟤 봐라~
쟤는 무거워 날지도 못한다. 엄마 말이 맞지? 우리가 먹는 건 닭둘기
라니깐!^^`
하면 아이는
`그럼, 오늘 저녁에 닭둘기볶음탕 해줘!`
하는 식으로 반격을 해오곤 했다.
나는 내친김에
`그래 , 어느 걸로 잡아갈까...흰 둘기? 회색둘기? 쟤는 살 통통하네~
털은 할아버지한테 손질해 달라고 하자`
여기까지 가면 게임 끝 ~일곱살 겁쟁이는 두손들고..
`엄마 ,너무해~`

늘 , 농담이었지. 설마 ~!
이 많은 치킨 집의 닭들이 실은 개체 변형된 닭고기맛 나는 단백질 일
뿐이라는 상상을 과연 누가 할까...?
이미 알을 낳는 닭장의 저 닭들도 실은 엄연히 따지면 닭의 종이 아니라니...

시간의 입장에서 , 는 ......왜?! ~ 그간 인간도 서서히 알게 모르게 변화
아니다...진화와 퇴보 랄까..그걸 해왔노라며 ,
그것은 지당한 일이라는 걸 변하는게 인간만의 이치가 아니라고
우리만 모른채 시간을 영원히 살듯 군다는 걸 비웃기라도 하듯...
그런 이야기 였다는...
이...
에잇~그러니 오늘은 메뉴로 비둘기맛 ? 아님 치킨 맛?! 너겟 으로
한다고...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2-07 2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장소] 2016-02-07 23:10   좋아요 1 | URL
요즘은 ㅡ그 비둘기도 어쩐지 안보입니다.
그래서 진짜...더 허걱~!니들..내안에 있냐?!
묻...묻고 싶어지곤 ...한다고!^^;;;
일부 학자들은 도심의 비둘기는 먹을 수 없노라
하겠지만 ㅡ그런걸로 따지면 인간만큼 독종은 또
없는 셈이 되버린다는걸...그들은 모르는지..싶어서...이 오염도 최고치의 서울을 그
런데로 가장 친환경으로 여기며 사는 게 인간이란
존재임을...ㅎㅎㅎ (이거 장르가 ..대체 뭐임?!)

2016-02-07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장소] 2016-02-08 01:05   좋아요 1 | URL
음 ㅡ저도 비둘기 퇴치 까지는 아니고 다른 곳으로
모두 보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집도 지어놓고 서식지가 될 만한 곳으로 옳겼노라고..하지만 비둘기도 제 날개가 있는데 , 철망을 쳐서 하늘을 막지 않는 한 여지없이 이곳저곳 둥지를 틀겠죠.
아무렴 ㅡ이전보다 개체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풍부한 시대임에도 저 가난한 나라의 난민들은 여전히 배를 곯죠. 그렇듯 이 땅에도 여전히 배가 고픈 사람은 배가 고플겁니다. 사회가 전반적으로
좋아진 것 뿐 ㅡ 영영 가난 자체가 사라진것은 아니라서요.^^

왜 인지 못느낀다는 것 자체는 죄랄 수없지만, 알고 난 후엔 변화도 모색도 필요하죠..아무래도

해피북 2016-02-08 07: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닭둘기 볶음탕이라니 ㅎ 예전에 무한도전 박명수씨가 닭둘기 잡아서 한다고 농담처럼 이야기했는데요 ㅎㅎㅎ

[그장소] 2016-02-08 09:06   좋아요 1 | URL
아..명수옹이 ㅋㅋㅋ생각외로 (응?)예리 하죠!^^

곰곰생각하는발 2016-02-08 09: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장소 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인사 남기고 갑니다.

[그장소] 2016-02-08 09:23   좋아요 1 | URL
저~질질 끌려나가는건 아니겠죠?
설날 부터 신소리한다고~^^ㅋㅋ
곰곰생각하는발 님도 설날 뜨건 떡국
드시고 복많이 받으세요!^^

cyrus 2016-02-08 18: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김승옥의 소설 ‘서울 1964년 겨울’ 대사 중에 ‘참새고기’가 나옵니다. 학창 시절 문학 시간에 이 소설을 배웠는데, ‘참새고기’를 맨 처음 듣고 충격적이었습니다. 참새고기 자체를 생소하게 느꼈거든요. 그래서 선생님에게 참새고기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만드는 건지 물어본 적이 있었어요. 요즘에 보기 드문 추억의 음식이라고 하더군요.

남은 설 연휴 즐겁게 보내세요.

[그장소] 2016-02-08 18:46   좋아요 1 | URL
저는 참새 ㅡ(실은 맷새 라고 해야 옳다고 하던데)
잡는 법도 압니다.직접 구워본 적은 없지만 ..참새고기 먹어봤어요.^^어릴때요.
80년대초반만해도 참새고기 먹었는걸요.
도룡뇽알도 개구리도 메뚜기도 먹던 시절인데..
저야..참새고기까지만 ..가봤네요. ^^
초등학교땐 반에서 만두소엔 고기를 전부 참새고기로 넣는다는 녀석도 있었어요. 능력있네..했었죠. 그때까지 참새를 잡을줄 몰랐으니깐.ㅎㅎㅎ

cyrus 2016-02-08 19:08   좋아요 1 | URL
믿지 않으시겠지만, 저는 청서(청솔모) 고기도 먹어봤습니다. ㅎㅎㅎ

[그장소] 2016-02-08 19:18   좋아요 0 | URL
아..고 귀연 녀석을.....ㅋㅋㅋ
하긴 참새나..청설모나...^^
믿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