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쿠라노소시
세이쇼나곤 지음, 정순분 옮김 / 갑인공방(갑인미디어)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어느 책에선가 잠시 언급된 마쿠라노소시를 보고 한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에 시작.

짧은 단가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해설이 달려있는 형태.

일본의 고전에 대한 호기심이랄까. 그런게 있었다.

겐지 이야기를 읽어볼까 하던 중에 10권이라는 분량에 이미 사들여 놓은 전집류도 좀처럼 손에 못대고 있는 현실을 자각하고 그 호기심 조용히 접어놓고 있던 참이었다.

천년 전의 궁중문학 마쿠라노소시는 겐지이야기와 비교해 훨씬 간결하고 선명한 감정이 드러나 있다고 마음이 동했다.

이 글을 쓴 세이쇼나곤(데이시 후궁, 11세기 초 헤이안 시대)은 집안이 몰락하고, 권력에서도 한참을 밀려 입지가 위태로운 상황이었다는데, 이토록 밝은 기운으로 쓴 책이라니 아무래도 자신의 초라함을 잊기 위한 수단이어었던 것 같다.

데이시 후궁은 지방 귀족의 딸로 고위직 궁녀인 여방으로 발탁되어 궁중으로 출사를 했다가 후궁이 되었는데, 당시 일본 귀족 여성의 사회 활동의 일면을 볼 수 있고, 당시 남녀의 연애, 결혼 풍습도 엿볼 수 있어 좋다.

미추, 상하계층에 대한 호불호가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신분사회가 가지는 세계관의 한계가 보이기는 하지만,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일본인을 가정하고 본다면, 매우 도전적이기까지한 표현력이라고 생각된다.

은밀한 곳의 멋(70단)
사람 눈을 피해 간 곳에서는 여름이 가장 운치 있다. 밤이 짧아서 한숨도 못 잔 채 새벽을 맞이하노라면 서서히 날이 밝아오면서 주변이 약간 서늘하게 보인다. 밤새 못 다한 얘기를 계속하고 있으면 갑자기 파드득 머리 위로 까마귀가 높이 날아가, 혹시 들키는 것은 아닐까하고 가슴이 두근두근한다.
또한 겨울 밤 아주 추울 때 사랑하는 사람과 이불 속에 파묻혀서, 저 멀리서 그윽하게 들려오는 종소리를 듣는 것도 정취가 있다. 그런 때면 닭이 처음에는 부리를 날개 속에 처박고 울어서 그 울음소리가 아주 멀리서 들리다가, 날이 밝아옴에 따라 점점 가깝게 들려온다. -p. 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 개국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왕조 실록의 시작은 이성계의 고조부인 이안사로 시작한다.

왕조의 실록이라는 것이, 나라의 역사이기도 하지만, 좀 삐딱하게 보면 그냥 남의 집안 이야기.ㅋ

그 집안은 이렇게 까지 까발려지니 왕이란 것도 못해먹을 짓이구나 싶은 마음이 잠깐 든다.

고려 말기의 우울한 동북아 정세와 극복되지 않는 있는자들의 욕망이 버무려져

조선이 세워졌겠으나, 여러 측면에서 조선의 등장이 결국 현재 이 나라의 가장 큰 폐해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하는 나는

고려의 초라한 내리막길이 아쉽기만 하다.

뭐 그래서 어쩔수 있는 것은 아니니 허망한 감정일 뿐이지만..

지루할 틈 없이 재미있는 이야기이고, 잘 풀어서 그려낸 책이다.

공민왕, 공양왕, 정도전, 이성계 ....

사극을 좋아하기도 해서 만화 이미지 보다는 배우의 얼굴이 떠오르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2015.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인, 재욱, 재훈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5
정세랑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정세랑 작가의 신작이라서 믿고 읽었다.

전작인 이만큼 가까이는 조금 더 말랑말랑한 분위기. 신작 재재재는 아무래도 좀 더 블록 버스터의 느낌이다.

무려 초능력자들이 주인공이니까.

그 초능력이란게 좀 써먹기 애매해서 그렇지, 뭐라도 특별한 능력이 있다는 것은 나쁜일은 아니잖아.ㅋㅋ

작가에 대해서는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아마 착한 사람에 대한 믿음이 단단한 사람이 아닐까 한다.

나 하나의 존재를 감당하기도 힘들 시절에, 누군가를 구하는 경험에 대해 말한다는 점도 그렇지만,

등장인물의 면면도 어쩔 수 없이 착하기 때문이다.

다만 거칠어지고, 삐뚤어지는 구석이 있기는 해도 그건 다 삶이 팍팍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정세랑 작가의 이야기를 좋아하지만,

어쩔수 없이 어두운 구석이 있는 독자에게는 이런 긍정이 금방 시시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잠깐 해본다.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고 해서 모든 걸 내가 다 할 수는 없어. 뻣뻣해진 손가락으로 운전대를 쥐고 제인은 생각했다. 모든 걸 내가 다 하다가는 성격이 나빠지고 말 거야. -p. 8

인생에 구질구질하게 난입하기 시작하면 결코 할 수 없다는 걸 그런 식으로 깨달았다. -p.21

울음을 그칠 기미가 없는 엄마를 내려주고 대전으로 돌아가며 재인은 생각했다. 이십 대 내내 가장 힘들게 배운 것은 불안을 숨기는 법이었다고 말이다. 불안을 들키면 사람들이 도망간다. 불안하다고 해서 사방팔방에 자기 불안을 던져서는 진짜 어른이 될 수 없다. 가방 안에서도 쏟아지지 않는 텀블러처럼 꽉 다물어야 한다. 삼시 대 초입의 재인은 자주 마음속의 잠금장치들을 확인했다. -p.2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5-01-04 2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시선으로 소설쓰는건 쉽지 않을듯해요.

hellas 2015-01-04 21:15   좋아요 1 | URL
일단은 세상이 너무 엉망이니까요. 선한마음은 보상받기 힘든 덕목이 되버려서:0 그래도 정세랑의 이야기는 재밌습니다
 

1. 신간이 밀려 책장에 오래 머문 구간들을 신경써서 찾아 읽자. 2. 리뷰는 바로바로 정리 3 작년 299권으로 마감. 올해는 300권 이상 목표로. 4. 동시에 읽는 책은 다섯권을 넘기지 말자 5. 책 후반부를 읽을때 조급해지는 습관을 이기고 천천히.. 6. 주변에 책 소개를 더 자주 많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 개국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015.1.1. End. 재미지다. 이런저런 드라마의 배우들의 얼굴이 계속 떠오름 :)

공민왕. 최영. 이성계. 정도전. 공양왕.

눈물과 은근한 예의, 법도와 야망. 의지. 이런것들의 홍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