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기완을 만났다
조해진 지음 / 창비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전에 읽은 `빛의 호위`에서도 르포 같은 느낌으로 잘 쌓은 이야기를 보여주어 매우 호감이었는데,

먼저 출간된 책이지만, 나는 뒤이어 읽은 로기완을 만났다 역시. 촘촘하니 꽉 채운 느낌의 이야기다.

분명 제목은 ~ 만났다 인데 난 왜 자꾸 ~ 만나다로 읽는지.

이야기의 후반부 까지 만나기 위해 로기완의 흔적을 따라가며 그의 감정을 고스란히 느껴 보려는 주인공의 심리 상태 때문일까.

아무래도 만났다라는 완결의 의미 보다는 그의 흔적을 만나다 라는 현상의 의미로 다가왔나보다.

탈북자 신분으로 중국에서 숨어지내던 로기완은 사고를 당한 어머니의 시신을 판 돈으로 아무런 기약도 없는 유럽의 나라 벨기에로 떠난다.

이 단순한 설명이 주는 막막함이 그냥 훅 다가왔다.

이 세상은 요지경이어서, 이 세계 어느 곳에서 어떤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이 소설에서와 같은 현실을 꽤나 자주 접할수 있는 나라가 얼마나 되겠는가 싶고.



우리의 삶과 정체성을 증명할 수 있는 단서들이란 어쩌면 생각보다 지나치게 허술하거나 혹은 실재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의도와 관계없이 맺어지는 사회적 관계들, 관습 혹은 단순한 호감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많은 커뮤니티, 실체도 없이 우리 삶의 테두리를 제한하고 경계짓는 국적이나 호적 같은 것들은 혼자가 아니라는 위로는 줄 수 있겠지만 그 위로는 영원하지도 않고 진실하지도 않다. -p.10

연민이란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어떻게 만들어져서 어떻게 진보하다가 어떤 방식으로 소멸되는 것인가. 태생적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그 감정이 거짓 없는 진심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이 포기되어야 하는 것일까. -p. 48

그러나 내가 지금 알 수 있는 것은 없다. 타인의 고통이란 실체를 모르기에 짐작만 할 수 있는, 늘 결핍된 대상이다. 누군가 나를 가장 필요로 할 때 나는 무력했고 아무것도 몰랐으며 항상 너무 늦게 현장에 도착했다. 그들의 고통이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느 지점에서 고조되어 어디로 흘러가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 삶 속으로 유입되어 그들의 깨어 있는 시간을 아프게 점령하는 것인지, 나는 영원히 정확하게 알아내지 못할 것이다. 누구의 위로나 체온도 없이 가까스로 그 시간을 지나온 후에야 조금은 지친 모습으로 그가 이렇게 말했을 때, 그러므로 나는 어디에도 없는 사람이었다. -p.124

자세한 것을 묻지도 않고 섣부른 판단도 하지 않는다. 박은 그저 묵묵히 들어준다. 내 이야기가 다 끝난 후에야 박은 조심스럽게 말 할 뿐이다. ˝때로는 미안한 마음만으로도 한 생애는 잘 마무리 됩니다.˝ 출국시간이 가까워지고 있었다. -p.183

믿고 싶다. 결국엔 위로의 언어로 기억되기 위해 쓰여지는 이야기도 있다는 것을. 이 이야기가 그들의 삶 너머의 누군가에게도 살아가는 한 방식으로서 읽힌다면 나는 행복할 것이다. - 작가의 말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 플러스 원 - 가족이라는 기적
조조 모예스 지음, 오정아 옮김 / 살림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조 모예스의 이 전 작품이 술술 재밌게 읽혔던 기분에, 신작도 보았다.

뭐 그랬다. 그 정도의 느낌. 그 이상도 아니도 아주 별로도 아니고.

고난속에 있는 한 가족이 곤경에 처한 한 남자를 만나 어쩌구 저쩌구.

유쾌하기도 하고 유치하기도 한 헐리웃 영화같은 이야기다.

뭐 그렇다.

엄마는 선량한 사람들에게는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아왔다. 그런데 엄마는 이제 그 말을 하지 않는다. -p.478

2014.de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도하는 미술 - 죽음을 이야기하는 98개의 이미지
박영택 지음 / 마음산책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작가들의 작업에 항상 촉각을 곤두세우고 부지런히 글을 써내는 선생님.

글말과 입말이 매우 똑 닮은 사람이다. 그래서 그의 책을 읽다보면 바로 앞에 앉아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도 든다.

이번에는 죽음에 관한 이야기다.

죽음을 이야기 하는 방식이 꽤 여러가지 생각이 들게 한다.

98개의 이미지를 내놓은 각각의 작가들의 이야기가 그렇다.

죽음에서 나는 얼마나 먼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원래 없던 내가 다시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 그것이 죽음이다. 나는 사실 부재였다. 완전한 무였다. 그러니 무로 돌아가는 죽음이란 결코 탓할 일도 아니고 밑질 일도 아니다. 태어나기 이전의 상태로 회귀하는 것이 바로 죽음이다.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죽는다. 죽음은 애써 외면하더라도 결국 모든 존재가 감당해야 할 몫이다. - 책머리 중.

2014.de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격의 탄생 - 뇌과학, 진화심리학이 들려주는 성격의 모든 것
대니얼 네틀 지음, 김상우 옮김 / 와이즈북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뇌과학, 진화심리학이 들려주는 성격의 모든 것. 이라는 부제가 달려있다.

사실 읽는 책의 대다수가 문학과 예술분야에 치중되어 있는 매우 편향적 독서를 하는 편이라,

과학분야의 책은 거의 읽지 않는데, 어쩌다 골랐는지는 모르겠다.

남의 성격에 크게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고, 내 성격이 어떤 형태인지 모르는 바도 아니니...ㅋㅋ

일단 지루하지는 않다. 이 책을 관통하는 큰 명제는 ˝모든 성격에는 혜택과 비용이 있다˝는 점이다.

좋은 점과 나쁜 점이 공존하는 것이 성격이라는 설명인데,

뭐 이걸 구지 이렇게 300여 페이지를 읽어야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대체 왜 이 책을 읽고 있나 하는 의문이 계속되는 가운데.....

아... 하는 깨달음은 책의 서두 프롤로그에 나와있구나..

이곳저곳을 돌아다녀도 자기 자신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프롤로그 중

그러니까 자신 혹은 누군가의 성격이 이렇다면 절대 도망칠 수 없다. 그저 알고 살아갈 뿐...

이었나보다.

2014. de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험한 관계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공경희 옮김 / 밝은세상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흠... 더글라스 케네디

더 이상은 안 읽게 될듯.

책장 구석 어딘가에 안읽은 책이 있어 그 책은 읽어야 하겠지만, 신간을 사게 될 것 같진 않다.

독신의 훌륭한 커리어를 가진 여성이 불같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그 과정에 심리적인 불안을 겪다가 사랑하던 남자에게 배신당해 아이를 뺐기고 되찾는 과정인데, 흥미 진진하기 보다는 지지부진하고 짜증스러운 감정이 먼저 올라온다.

우선은 그 의뭉스러운 남자가 매우 싫은데다, 주인공의 심리를 표현하는데 아무래도 수긍되지 않는 지점이 몇 있고... 등등의 이유.

어쨌거나 읽었으니, 리뷰는 간단히 남기는 걸로.

2014. de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