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밭 걷기 문학동네 시인선 214
안희연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의지가 아닌 흐름에 흘러가고 있는 '이' 삶에 대해.
휩쓸리지 않으려 순리대로 최대한 무탈하게 생존하고 싶다라는 마음이 보인다.

무덤덤하게 시작한 독서지만, 조금 마음의 위안을 받은 것 같기도 한 다독이는 시들.

슬픔과 위로가 노골적이지 않아 더 그렇게 느껴졌다.

나 아닌 존재, 혹은 비존재 조차도 가혹하게 바라보지 않는 따뜻함.

- 나는 너의 왼팔을 가져다 엉터리 한의사처럼 진맥을 짚는다. 나는 이 소리가 세상에서 가장 슬픈 것 같아. 이 소리는 후시녹음도 할 수 없거든. 그러니까 계속 걷자. 당근의 비밀을 함께 듣자. 펼쳐진 것과 펼쳐질 것들 사이에서, 물잔을 건네는 마음으로 - 시인의 말

- 실온에 두면 금세 썩는다고 했다. 알면서도 그대로 두었다. 여름이 상하게 한 것이 나만은 아니라는 확신이 필요해서. - 터트리기 중

- <당근밭 걷기>
여기서부터 저기까지가 모두 나의 땅이라 했다. 이렇게 큰 땅은 가져본 적이 없어서. 나는 눈을 감았다 뜬다. 있다.

무엇을 심어볼까. 그게 뭐든 무해한 것이었으면 좋겠다. 눈을 감았다 뜨면, 무언가 자라기 시작하고. 나는 기르는 사람이 된다.

주황은 난색이에요. 약동과 활력을 주는 색. 그는 머잖아 내가 당근을 수확하게 될 거라 했다. 나는 내가 바라온 것이 당근이었는지 생각하느라 잠시 휘청했으나

아무도 눈치채지 못할 만큼 미세한 쏟아짐이라 믿었다.

하지만 당근은 보고 있었네. 나의 눈빛. 번뜩이며 나를 가르고 간 것.

나의 당근들, 흙을 파고 두더지를 들였다. 눈을 가졌다.

자루를 나눠드릴게요. 원하는 만큼 담아 가셔도 좋아요. 혼자 먹기 아까운 당근들, 수확의 기쁨을 누리며 떠나보낸 땅 위에서

이제 내가 마주하는 것은
두더지의 눈

나는 있다

달빛 아래 펼쳐지는
당근밭

짧은 이야기가 끝난 뒤
비로소 시작되는 긴 이야기로서

- 중환자실 병상에서 할아버지는
면회 온 가족들 손을 한 번씩 꽉 쥐었다
악력이 엄청났기에
이제 됐다 살았다 꽃놀이 갔다
한 사람을 떠나보내는 우주의 마지막 인사였음을
그때는 알지 못했다
온 세상이 밀가루 밭으로 변한 뒤에야 보이지 않는 기차를 본다 - 북극진동 중

- 이곳은 완전히 나를 버려야만 도착할 수 있는 세계. 한 아이가 가던 길을 되돌아와 내 눈을 감겨주고 간다. 나는 잠시 슬퍼할 자격이 있는 사람처럼 굴어보았다. - 확대경 중

- 겨우, 기껏, 고작, 간신히, 가까스로......
내가 사랑하는 부사들을 연달아 적으며
그것들의 겨움을 또한 생각한다 - 야광운 중

- <굉장한 삶>

계단을 허겁지겁 뛰어내려왔는데
발목을 삐끗하지 않았다
오늘은 이런 것이 신기하다

불행이 어디 쉬운 줄 아니
버스는 제시간에 도착했지만
또 늦은 건 나다
하필 그때 크래커와 비스킷을 차이를 검색하느라

두 번의 여름을 흘려보냈다
사실은 비 오는 날만 골라 방류했다
다 들킬 거면서
정거장의 마음 같은 건 왜 궁금한지
지척과 기척은 서로의 존재를 알고 있을지

장작을 태우면 장작이 탄다는 사실이 신기해서
오래 불을 바라보던 저녁이 있다

그 불이 장작만 태웠더라면 좋았을걸
바람이 불을 돕지 않았더라면 좋았을걸
솥이 끓고
솥이 끓고

세상 모든 펄펄의 리듬 앞에서
나는 자꾸 버스를 놓치는 사람이 된다

신비로워, 딱따구리의 부리
쌀을 세는 단위가 하필 '톨'인 이유
잔물결이라는 말

솥 안에 무엇이 들었는지는 모른다
다만 신기를 신비로 바꿔 말하는 연습을 하며 솥을 지킨다
떠나지 않는 사람이 된다는 것
내겐 그것이 중요하다

2025. feb.

#당근밭걷기 #안희연 #문학동네시인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