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하나는 거짓말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8월
평점 :
품절


오랜만의 장편. 김애란 작가가 돌아왔다.
코멘터리 북을 보니 개인적인 건강 문제도 좀 있었나 보다, 같이 나이 들고 있다는 감각의 작가라서 마음에 걸렸다. 건강 잘 챙기세요 작가님.:)

이야기는 조금 평범한 지점에서 출발한다. 특유의 잔잔한 위로와 안정감이 존재한다.
세 주인공이 결국엔 평안함에 이르렀으면,
불안하고 흔들리는 그런 시간들을 지나야 하는 것이 삶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알게 되었으면,
그러니 크게 상심 말고 행복한 순간들을 조금 더 누렸으면 하는 마음이 드는 이야기다.

주인공이 미성년 학생이라 그들의 가족에 더 심적으로 기울었다는 점이 평이한 이야기라고 느끼는 요인인 것 같다.

그러나 무엇보다 역시 장편이 읽는 즐거움이 훨씬 크다.

장편을 자주 만나고 싶다.

- 가정 시간에 인간의 발달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다 "인간은 기기 시작할 무렵 비로소 깊이에 공포를 갖는다"는 말을 듣고 놀란 기억이 났다. 채운은 깊이나 높이에 대한 공포처럼 단순한 감각도 날 때부터 절로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작은 충격을 받았다. 그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인간은 앉는 법과 서는 법, 물 삼키는 법까지 일일이 배워야 하는 존재였다. 어느 건 배워도 안 지키고, 알고도 실천 못하는. - 23

- 지우가 잠시 숨을 가눈 뒤 천천히 입을 열었다.
가난이란......
지우는 문득 교실 안이 조용해지는 걸 느꼈다.
가난이란 하늘에서 떨어지는 작은 눈송이 하나에도 머리통이 깨지는 것.
지우는 여전히 떨리는 목소리로, 그렇지만 조금 의연해진 투로 다음 문장을 읽어나갔다.
작은 사건이 큰 재난이 되는 것. 복구가 잘 안 되는 것...... - 85

- 소리는 가끔 엄마가 어떻게 그렇게 자기 꿈과 깨끗이 작별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다. 엄마는 '그저 다음 단계로 간 것뿐"이라며, '작별한 건 맞지만 깨끗이 헤어진 건 아니'라고 했다. '대부분의 어른이 그렇게 사는데 그건 꼭 나쁜 일도 좋은 일도 아니'라면서. 그땐 그게 무슨 말인지 잘 몰랐는데 요즘에는 어렴풋이 알 것 같았다. 자신에게 재능은 있되 그게 압도적인 재능은 아님을 깨달아서였다. - 129

- '반면에, 그리고, 그래서, 그런데, 한편으로는......'
채운은 앞으로 자기 삶에 이어질 접속사를 생각했다. 하지만 그 어떤 것도 한 사건과 다음 사건 사이에 놓일 말로 적절치 않아 보였다.- 172

- 삶은 가차없고 우리에게 계속 상처를 입힐 테지만 그럼에도 우리 모두 마지막에 좋은 이야기를 남기고, 의미 있는 이야기 속에 머물다 떠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노력하겠습니다. - 작가의 말


2024. aug.

#이중하나는거짓말 #김애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