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에서의 일 년
이창래 지음, 강동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창래 작가의 전작들을 정말 재밌게 읽었고, 오랜만의 신작이라 엄청 기대하며 읽기 시작.

그런데 뭐를, 어떤 인생을 말하고 싶은 걸까 싶은 생각이 계속 들었다.

누군가 유혹하기 쉬운, 뿌리를 확실히 내리지 않은 청년의 모험담 정도일까.

퐁의 대범하고 관대한 제안에 휩쓸려 이런 저런 경험을 하고 돌아오는 탕아.

정말이지 지루하게 읽어내고 말았다. 혹시 내가 놓친 무엇이 튀어나올지도 몰라...라고 생각하면서.

세상으로, 세계를 향해 튕겨져 나온 청년의 이야기는 딱히 끌리지 않았고,
위험한 냄새를 피우는 그럴싸하게 포장된 비지니스의 세계, 섹스, 그리고 도처에서 만나는 유사가족이 그려진다.
결국 이건 한 청년의 환타지 충족 스토리인가 싶은 감상만 남았다.


- 누가 내게 가르쳐 준 건데, 대부분의 상황에서 중요한 건 탈출보다 그 상황에 진입하는 방식이다. - 22

- 상대가 퐁이었기에 나는 그를 믿었다. 희망이 솟았다. 누군가는 그것이 진부한 중국 분위기에 혹한 것이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또는 조화를 생각하라는 서구의 헛소리에 대한 옹호라거나, 아니면 그냥 한심할 정도로 결핍된 나의 핵심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실, 내가 퐁에게 쉽게 동조한 건 그가 건넨 말이 자기 그룹에 속한 우리 모두를 향해 보이는 뿌리 깊은 어떤 경향, 근본적으로 너그러운 어떤 경향의 표현이었기 때문이다. 퐁은 관대했지만 그건 도덕 때문에, 혹은 상업적 기어에 기름을 치기 위해, 혹은 정신적 편의나 안락함을 위해서 그런 게 아니었다. 간단히 말해, 퐁이 관대한 이유는 무수히 많은 인간이라는 가족에 대해 끝 모를 경이감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를 영원히 음미하고 있었기에.
어쩌면 가능할지 몰랐다. 그렇게 될지 몰랐다.
아마 이걸로 내가, 어느 모로 보나 '그냥저냥' 괜찮은 인간인 틸러 바드먼이 퐁의 초대에 응한 이유가 설명될 지 모르겠다. 보통 나는 누군가가 내게 관심을 가지면 의심한다. 나의 평범함에, 나여서는 안되는 모든 이유에 집중한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그러지 않았다. - 97

2024. mar.

#타국에서의일년 #이창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