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왕국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80
알레호 카르펜티에르 지음, 조구호 옮김 / 문학동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어떤 이슈가 있었던 상황에서 식민 상황의 아이티 독립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자 했던 것 같다.

그런 의지가 사라진 후에야 이 책을 읽게 되었는데, 마술적 사실주의라는 것을 꽤나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조금 심드렁하게 읽게 되었다.

그리고 정작 작가는 아이티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프랑스와 러시아계라는 사실이 조금 더 심드렁함의 원인이었던 것 같다.

부두교 사제 마캉달의 봉기, 부크만의 반란, 독립 이후 앙리 크리스토프와 지배층인 물라토의 수탈 등은 식민 역사들이 가지고 있는 비슷한 형태와 흐름을 보여준다.

티 노엘의 삶이 노예해방 후에도 크게 나아지지 않은 점은 수탈 계층이 존재하는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백인들의 하느님은 범죄를 명령합니다. 우리의 신들은 우리에게 복수를 요구합니다. 우리의 신들이 우리 팔을 이끌어 우리에게 도움을 줄 겁니다. 우리 눈물에 목말라하는 백인들 하느님의 상을 부숴버리세요! 우리, 우리 내부에서 자유를 위한 외침을 들어봅시다! - 64

- 티 노엘은 비록 유산을 다 써버려 최우에는 빈곤에 이르긴 했으나, 자신이 받은 것과 동일한 유산을 남겼다. 참으로 많은 것을 겪은 육신이었다. 이제야 그는, 인간은 자신이 누구를 위해 고통을 받고 희망을 품는지 결코 모른다는 사실을 이해했다. 인간은 자신이 전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고통받고 희망을 품은 채 일하며, 그 모르는 사람들 역시 행복하지 않을 다른 사람들을 위해 고통받고 희망을 품은 채 일을 할 것인데, 그들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자신에게 부여된 행복 저 너머에 있는 행복을 늘 열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의 위대함은 분명 현재의 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 있다. 스스로에게 여러 과제를 부과하는 데 있다. 하늘의 황국에는 쟁취해야 할 만큼 위대한 것이 없는데, 그곳에는 모든 것의 위계가 정해져 있고, 알 수 없는 것이 없고, 존재가 무한하고, 희생이 불가능하고, 휴식과 기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온갖 고생과 의무로 힘들어하고 불행을 겪으면서도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재앙을 겪으면서도 사랑할 수 있는 인간만이 이 세상의 왕국에서 자신의 위대함, 최상의 길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 160

- 1804년에 라틴아메리카 최초로 에스파냐로부터 독립한 아이티는 1492년에 콜럼버스에게 '발견'되어 최초의 식민지가 건설된 이래, 에스파냐와 프랑스의 침탈, 영국, 네덜란드 같은 나라에서 온 해적들의 노략질까지 모든 종류의 제국주의적 약탈을 겪음으로써 카리브해 지역이 가진 모든 문제를 대변할 수 있는 상징적인 국가가 된다. 또한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전쟁 등으로 압축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이르는 세계사의 격동기에 라틴아메리카 최초로 독립과 노예해방을 이뤄낸 혁명의 땅이기도 하다. (...) 1834년, 프랑스는 아이티의 독립을 인정하지만 그 대가로 아이티 노예주들에 대한 거액의 배상금을 요구한다. 아이티는 독립을 인정받기 위해, 그리고 경제적 봉쇄를 풀기 위해 배상금을 지불할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백 년 동안 아이티 경제의 발목을 잡는다. 아이티의 혁명은 다른 국가의 노예해방에도 영향을 미친다. 많은 국가의 노예들이 아이티 혁명에서 영감을 받아 혁명을 시도하고, 영국은 1807년에 노예무역을, 1834년에 노예제를 폐지한다. 하지만 흑인의 대부분이 농민이고 물라토가 사회적 자본과 토지를 독점하는 식민지의 계층구조는 변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다. 아이티 독립 후에도 이들의 갈등은 지속되어 두 파벌로 나뉘어 싸움을 지속한 것이다. - 해설 중

2024. jan.

#이세상의왕국 #알레호카르펜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