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사람
최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물림 되는 능력. 단 한 사람만을 살릴 수 있는 꿈.
스스로 그 단 한 사람을 선택할 수도, 모든 꿈을 거부할 수도 없는 숙명을 짊어진 여러 세대의 여성들 이야기.

감당하기 어려운 능력을 지닌 인물들에 대해 생각하다 그 막막한 죽음들을 생각하며 마음이 무척 우울해진다.

- 두 나무 근처까지 그들이 왔다. 두 나무는 기다렸다. 사람은 날카로운 도구로 한 나무의 줄기를 찍었다. 찍고 또 찍었다. 나무는 점점 기울었다. 나무는 나무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나무가 쓰러졌다. 강렬한 고통의 냄새가 나무를 에워쌌다. 사람들은 쓰러진 나무의 가지와 잎을 대충 잘라 낸 뒤 줄기를 수레에 싣고 떠났다.
홀로 남은 나무 주변을 뒹구는 푸른 이파리와 나뭇가지.
수수께끼처럼 남은 그루터기.
그와 같은 죽음은 처음이었다.
그처럼 강제적인 죽음은.
세월에 순응해 쓰러지거나 비바람에 뿌리째 뽑히거나 속부터 썩어 마침내 부러지는 나무는 숱했다. 쓰러지고 뽑힌 뒤에도 나무는 그 자리에서 숲이 되었다. 그루터기만 남기고 줄기는 통째로 사라져버리는 기괴한 죽음은 300년이 몇 번씩 거듭되는 동안 단 한 번도 없었다. 숲에서 보고 들은 죽음과 완전히 달랐다. 그러므로 그것은 죽음이 아니었다. 이별 또한 아니었다. 훼손이었다. 파괴였다. 폭발이자 비극이었다. - 18

- 저렇게 많은 사람이 죽는데 어째서 나는 살아 있지? 수많은 죽음 앞에서는 살아 있음 자체가 비정상이었다. - 65

- 미수는 단 한 사람만 살릴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고통스러워했다. 천자는 그것을 기적이라고 했다. 목화가 보기에 모두 감정이 섞인 해석이었다. 감정에 치우치는 것을 경계하는 목화는 자기 역할을 중개인이라고 정의했다. 나무와 사람 사이의 중개. 나무가 사람을 살리려고 해도 목화 없이는 살릴 수 없다는 점이 중요했다. 목화는 자기 몫을 잊지 않으려고 했다. 그렇게 건조하고 냉정하게 생각하려고 아무리 애써도 사람이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는 일은 고통이었다. - 99

- 처음에는 목화가 직접 기록하려고 했지만 이내 포기했다. 중개에서 깨자마자 기록할 힘이 없기도 했고, 말하는 것과 글자로 적는 것은 무척 달랐으니까. 글자는 확연했다. 기억을 선명하게 덧칠하고 감정을 증폭시켰다. 때로 목화는 “많이 죽었어”라는 말 외에는 꺼내지 못했다. 그럴 때 목수는 “한 명을 살렸다”라고 기록했다. - 100

- 중개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뭔지 알아?
목수는 짐작하여 대답했다.
글쎄, 살려달라는 말?
목화는 천천히 고개를 저으며 대답했다.
사랑한다는 말.
그날 목수는 그 말을 기록했다. - 104

2023. nov.

#단한사람 #최진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