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와 벌 - 상 을유세계문학전집 55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을유문화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벽돌책을 언젠가는 도전해보겠다고 마음만 먹었는데, <인간실격>을 읽던중에 등장한책이라 읽어보고 싶어졌다. 혼자서는 안읽을것 같아서 모임까지 진행하게 됐는데, 생각보다 더 읽기 힘든책이었다.

작품은 좋았지만 생각보다 더 시간에 쫓겨서 읽어 아쉬웠다. 이름이 헷갈려서 읽는부분을 읽고 또읽어 오래걸렸다.


러시아문학은 이름이 큰 장벽인듯 싶다. 부칭,애칭.... 정신을 붙잡고 읽지 않으면 누가 누군지 헷갈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스토엡스키의 장황한 문체도 한몫한다고 들었다.

(모임분 이야기로는 러시아 친구가있는데 원래 러시아 말이 좀 그런편이라고. 영어는 너무 직관적인 표현들이라 러시아 만큼 낭만이 있는 언어가 아니라고 했다고 한다)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점은 책에서 던지는 철학적 질문들이었다.

매춘,살인등을 통해 윤리와 법에 대해서 다룬다. 

매춘은 이 시대에 러시아에서 합법이다. 하지만 윤리적으로는 어긋나는 일이다.

윤리으로 어긋나는 행동이 정당화 될 수 있는지 계속 생각하게 만든다.

중요한것은 의도일까? 행동일까? 답이없는 문제인것같다. 나는 의도가 더 중요하다고는 생각한다. 하지만 의도는 명확한기준도 없고 관용이라는것은 한도 끝도 없다. 정확히 답을 내리기 어렵다. 


살인의 경우  법, 윤리 모두 어긋난다

하지만 살인도 죽어 마땅한 사람을 죽였다면, 또 그로 인해 다수의 사람을 구할 수 있다면

그건 정당화 될 수 있을지. 공리주의에 관해서도 생각해보게 됐다.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화될 수 있을까? 나는 정당화 하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위험하다고 본다. 다수결이 어쩔수 없이 최선인 경우도 많겠지만, 내가 소수의 입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수에 대한 존중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고민들은 재미있다.


그리고 흥미진진했던 부분은 살인에 대한 계획과 취조 하는 과정에서의 심리묘사였다.

내가 살인자가 된것 같은 몰입감이랄까. 흠칫흠칫 긴장하면서 읽게된다. 

발소리 하나, 조금의 문소리에도 예민해지는 모습들을 표현한부분을 가장 몰입해서 읽었다.

취조하는 과정도 흥미롭고 오히려 자기가 범인이라고 도발하는 부분에서 내가 더 긴장하며 읽었다. 


하권은 이제 읽어야되는데 기대된다. 어렵지만 읽는 보람이 있다.


아 그리고 내가 출판사 을유로 정했던게 모임사람들한테 미안해진다.

번역이 어디꺼가 좋을까 찾다가 을유가 좋다는평이 많아 을유로 정했다.

그러나 주석을 간과했다. 전자책으로 읽어서 뒤로 넘기기가 너무 힘들고 귀찮은일이다.

그래서 대충 유추해서 읽을떄가 많았다.

을유의 미주를 이해할 수 없다. 제발!!!!! 제발 각주로 만들어주세요.... 제발... ㅠㅜㅠ

다음번부터는 주석이 많은 책은 을유를 피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기힘들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4-05-11 07: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스토예프스키 장편 소설을 읽을때는
일단 등장인물 소개 페이지를 출력해서 따로 보면서 읽으면 좋습니다 ㅋ

도스토예프스키 특유의 비정상적인 인물들과 장황한 묘사가 낯설긴 한데 읽다보면 은근 빠져듭니다ㅎㅎ

책친놈 2024-05-16 14:20   좋아요 0 | URL
맞아요 낯설긴한데 빠져드네요 ㅋㅋㅋ 하권도 재밌게 읽는중이요 ㅎㅎㅎ 등장인물 캡쳐해놓고 보니까 좀 괜찮네요 ㅎㅎㅎ

cyrus 2024-05-13 06: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주석이 뒤에 나오는 책을 잘 안 봐요. 주석을 편안하게 볼 수 있게 가름끈 하나 더 달아 주면 좋겠어요. ^^;;

책친놈 2024-05-16 14:22   좋아요 0 | URL
맞아요 ㅜ ㅋㅋㅋㅋ 주석이 뒤에 나오면 손이 안가더라구요 종이책일때도 손이 안갔는데 전자책은 더 심하네요 ㅠㅋㅋㅋㅋ 되돌아오기 힘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