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대체로 어두운 소설이 좋다. 그래서 전부터 읽고 싶은 책이었다.
알고 봤지만 기분이 달갑지 않다.

근래에 책을 읽고 이렇게 기분이 가라앉기는 처음이었다.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이라는 것을 알고 봐서 더 그렇게 느꼈던 것 같다.
작가의 죽음으로 이 소설이 완성된 것 같아 기분이 씁쓸하다. 
 
이 책을 다 읽은 날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다른 책을 읽어 보려 했지만, 활자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조금은 생각을 덜하고 싶어 영화를 봤다. 그래도 썩 즐겁지는 않았다.
정말 유난히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날이었다.
그럴수록 나 자신이 요조와 닮았다고 느껴져 더 기분이 가라 앉았던 것 같다.

서론이 길었다. 
그만큼 몰입해서 읽었던 소설이다.

인생은 한 순간에 망가지지 않는다. 서서히 조금씩 꼬여간다.
그 모든것이 쌓여 가속도가 붙고, 빠져나올 수 없는 늪으로 빨려 들어 가는것 같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들었던 생각이다.

요조에게 지나쳤던 많은 기회들이 있었다.
그 기회들을 알아보지 못한 것은, 쉽게 얻은 것이 많아서 였을까.
부유한 집안 환경, 잘생긴 외모. 지나치게 빠른 눈치까지.
돈은 집에서 보내주고, 가만히 있어도 여자가 꼬인다.
사람의 마음을 얻기 위한 노력도 필요 없었다. 어릴 때부터 모든이의 행동이 눈에 읽혔다.
어쩌면 그래서 외로웠고, 마음을 기댈 사람이 없었는지도 모른다.
부모도,연인도,친구도 그가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사람은 찾아 볼 수 없는게 안타깝다.
그가 안타깝게 보이는 것은 나도 비슷한 감정을 느껴봤기 때문이다.
그가 썼던 "익살"이라는 가면, 기대에 못 미치던 나에 대한 실망과 좌절에서 비슷한 구석을 느껴 공감이 됐다.

하지만 그를 연민의 감정으로만 보고 싶지는 않다.
요조는 회피형 인간이었다. 겁탈 당했던 아내를 내버려두고, 오히려 아내를 죄인 취급했다.
자기 스스로를 3류 만화가 취급을 했다. 만족스럽지 않은 자신의 삶을 피해 약에 빠지기까지 했다. 끝내 "인간실격"이라고 칭하며 자신의 인생조차 외면했다. 

"인간실격"의 기준을 내가 정하는 것 이라면. 절대 "인간실격"이라고 생각하지 말자. 매일매일이 힘들더라도. 하루를 버텨내기가 힘들어도. 스스로에게는 수고했다고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자.


신에게 묻겠습니다,신뢰는 죄인가요?

과연 무구한 신뢰심은 죄의 원천인가요?

무구한 신뢰심은 죄인가? - P116

신에게 묻겠습니다. 무저항은 죄입니까? - P13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4-04-16 14: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좀 많이 우울하기는 하죠... 다자이 오사무 작품이 전반적으로 그렇더라구요. 이 작품 읽으셨으니 <만년> 하고 <사양> 읽으시면 되겠네요~!!

책친놈 2024-04-16 15:06   좋아요 1 | URL
맞아요 우울하지만 이렇게 우울하게 만들다니..! 싶어서 좋더라구요.
<만년>,<사양>도 꼭 읽어봐야겠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