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잠 - 이보다 더 확실한 행복은 없다 아무튼 시리즈 53
정희재 지음 / 제철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면의 황금기가 곧 인생의 황금기임을 모르는 젊은이는 상상도 하지 못한다. 새벽에 세 번, 네 번 깨느라 통잠을 못 자는 시절이 온다는 것을. 그뿐인가. 부모나 조부모가 새벽에 깬 이후에 다시 잠들지 못한다고 호소해도 그게 얼마나 막막하고 몸에 무리가 되는 일인지 구체적인 실감이 없다. 그래서 어른들의 아픔에 진심으로 공감하기 힘든 나이. 젊은이란 그런 것이다. 인생의 이런 면모를 미국의 소설가 코맥 매카시는 이렇게 정리했다.

그는 텅 빈 식당 창가에 서서 광장에 모인 사람들을 바라보다가, 신께서 젊은이들에게 인생을 시작할 때 삶의 진실을 모르게 하신 것은 정말 옳은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그렇지 않았다면 젊은이들은 아예 인생을 시작할 엄두도 못 낼 것이기 때문이었다.(모두 다 예쁜 말들. 코맥 매카시. 민음사. 2008) (44~45페이지)


엄마가 잠이 안 온다며 새벽 3시부터 깨어있기도 했는데, 그냥 엄마가 그런 건가 보다 싶었다. 코맥 매카시가 그의 작품 속에서 했던 말처럼, 엄마의 그 말을 들었을 때는 몰랐다. 수면에도 황금기가 있다는 것을, 잠들지 못하는 시간의 막막함이 얼마나 몸을 힘들게 하는지를. 어떤 날은 미친 듯이 잠이 오고, 어떤 날은 아무리 애써도 잠이 오지 않고. 어젯밤이 그랬다. 밤에 잠을 설치고 너무 일찍 일어났나? 준비하고 나가려던 시간이 애매해졌다. 피곤한데, 밖은 추운데, 그냥 나갈까, 조금 더 누워있다 나갈까. 고민하다가 10분의 꿀잠을 선택했다. 분명 알람을 맞춰놓고 누웠는데, 왜 알람 소리가 안 났던 건지. 10분의 꿀잠은 10분의 지각을 만들었다.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이다. 이상하다. 그 잠깐의 잠은 왜 이렇게 맛이 있을까. 왜 새벽에 일어날 시간의 잠이 더 달콤할까.


저자가 수시로 잠을 비축하며 살아왔던 날들. 잠을 자다가 날짜도 착각하고 중요한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했던 일이 일어나다니. 믿을 수가 없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하는 순간, 나의 어린 시절이 생각났다. 자세한 상황은 말하기 어려운데, 새벽에 모든 식구가 큰집에 가게 된 일이 있었다. 아침에 눈을 뜬 나는 텅 빈 집이 당황스러웠다. 모두 어딜 간 거지? 오늘은 운동회 날인데? 아침도 못 먹고 체육복을 입고 학교에 갔는데, 이미 학교에 엄마와 동생들이 와 있었다. 이른 새벽에 식구들 모두 큰집에 가야 했는데, 나를 아무리 깨워도 일어나지 않아서 한참을 깨우다 그냥 가버렸단다. 내 기억에는 없는 일이다. 누구도 나를 깨웠던 적이 없단 말이다.


잠에 진심이라고, 잠을 자는 것 자체를 사랑한다고 말하는 저자의 마음을, 조금은 알 것 같다. 특히 요즘처럼 잠이 고픈 날에는 더욱 그러하다. 배고픔도 이기고야 마는 잠이, 절실히 필요한 날들이다. ? 머리가 맑지 않은 시간이 많아져서 그렇다. 잠이 내 몸에 하는 일을 내가 막고 있는 기분이다. 충분한 수면이 뇌를 건강하게 만들 테고, 기억력도 좋게 한다. 숙면은 나를 기분 좋게 하니, 화가 나려는 순간에도 한 번쯤 나를 릴렉스하게 하는 듯하다. 고된 현실에 자극하는 자아의 활동이 자는 동안 휴업에 들어가면서 정화 작업을 거친다는 표현이 딱 어울렸다. 저자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잠이 보약이라는 옛 어른들 말씀이 하나도 틀린 게 없다는 걸 알겠더라.


그렇다고 잠이 한없이 긍정적인 순간만을 만들어주는 건 아니다. 어렵고 두려운 순간을 잠으로 잠깐 달아날 수는 있지만, 언젠가 잠으로 외면했던 진실과 대면해야 한다는 것도 잊으면 안 된다. 하긴, 그걸 꼭 말해야 하는 건 아니다. 이미 여러 번 경험했기에, 자면서 잠깐 미뤄둘 수는 있어도 잠으로 아주 안 보고 끝낼 수는 없다. 언젠가 마주해야 할 진실, 그 시간을 잠깐 유예할 뿐이다. 시험 공부도 마찬가지. 지금 이 시간에 공부하지 않으면, 다가올 시험 시간은 공포가 될 것이다. 공부에 집중하기에 앞서 졸리지 않아야 하는데, 이놈의 잠은 밀어내도 끝까지 밀고 들어온다. 그래서 문제의 타이밍이라는 약에 접근한다. 졸리지 말아라, 말아라 기도하면서 먹었던 그 약. 저자의 그 시간에 공감하게 되는 약 이름이었다. 그 시절의 필수품처럼, 누구나 한 번쯤 접해봤을 그 약을 이 책에서 마주하니 반가움도 잠시, 씁쓸했다. 잠만 줄이면 공부를 잘 할 것 같은 믿음이 바로 사라졌던 기억도 같이 떠올라서 말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커피를 달고 달았던 시절의 연속. 글쎄, 커피가 정말 잠을 달아나게 할까 싶었는데, 엄마도 잠을 못 잔다면서 오후에는 커피를 마시지 않더라만. 나는 아침이든 오후든 저녁이든, 커피를 마시는 게 나의 수면 시간을 좌우하지는 않는다. 커피를 마시든 안 마시든 별 상관이 없었다.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인데, 나의 잠 성향은 극과 극을 달리긴 한다. 조그만 소리에도 화들짝 놀라서 잠을 깨거나, 시체처럼 꼼짝 않고 깨울 때까지 자거나. 주변에서는 성격대로 잔다고 하던데, 내 성격이 극과 극을 달리나? 저자의 잠 수행 경험, 수행자를 만나 잠깐의 접촉(?)이 끝나면, 또 다른 진실이 남는다. 수행자의 매끄럽고 반짝이는 피부로 잠과 피부의 상관관계를 깨닫게 된다. 꿀잠은 꿀피부를 만든다. 이건 잠깐의 경험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어느 날이었던가. 오랜만에 푹 자고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화장실 거울을 보고 화들짝 놀란 적이 있다. 어머나, 이렇게 뽀송뽀송(?)하고 피부가 뿌연 얼굴이 내 거야?!(미안, 피부가 검은 편인 내가 이렇게 뽀샤시한 얼굴을 보는 건 극히 드문 일이라 너무 놀라서 말이야)


학교 문예부실에서 도둑잠을 자고, 대학 기숙사에서 내내 잠을 자고, 히말라야 계곡에서도 잠을 잤다는 저자의 잠 세계는 놀랍기도 했다. 어떤 순간에는 나와 같아서 놀라고, 때로는 어쩜 이렇게까지 잠을 잘 수 있는지 놀라고. 저자가 마주한 잠의 얼굴은, 그냥 잠이었다. 잠을 줄이면서 해내야 할 일상의 많은 것이 있기에, 늘 잠에게 있었던 죄책감은 지워버려도 된다고. 그저 잠이 오면 자고 눈이 떠지면 그냥 일어나면 되는 간단한 일이었는데, 왜 그렇게 밀려오는 잠에게 안달복달하면서 살아왔는지 모르겠다. 그때는 그래야 했고, 잠을 쫓아야 가능한 일이 있었기에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겠지만, 자는 동안 지나가는 것들이 있다는 생각까지 하지 못했다. 안 되는 것만 떠올리며 살았다. 지금 붙잡아야 하는 것만 보였다. 이상하게도, 지금의 내가 과거의 그 시간으로 돌아간 것만 같아서, 이 책에서 말하는 잠의 시간이 온전히 와 닿지 않아서, 또 다른 방식의 수행이 필요한 건 아닌지 고민이 된다.


지나고 보니 잘 생각이 안 나는데, 올해가 참 바쁘게 흘러갔다. 뭔가를 했고, 뭔가가 남아 있기도 하다. 잠을 밀어내며 했던 일들이 보람되기도 했고, 차라리 그 시간에 잠을 잘 것을 하며 아쉬워하기도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지나온 1년을 생각하니, 왜 많은 것을 해내는데 잠이 중심에 서 있을까 궁금하기도 하다. 하지만 이 궁금증은 잠시만 더 뒤로 미뤄두어야겠다. 지금은 그냥, 잠이 오면 자고, 눈이 떠지면 일어나는, 그 자체를 받아들이며, 잠에 예민하게 굴지 않기로 한다. 잠이 안 온다고 이런 저런 방법을 찾느라 애쓰지 않게, 그냥 이대로 오늘은 일찍 자기로.



#아무튼잠 #정희재 #제철소 #문학 #한국문학 #에세이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