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 너희를 갈라놓을 때까지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29
김희선 지음 / 현대문학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늙지 않고 살 방법이 없을까 하는 허무맹랑한 상상을 가끔 하던 때가 있다. 늙지 않은 채로,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그냥 적당한 나이까지 살다가 생을 마감할 수 있는 선택이 가능한 인생을 가질 수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말이다. 그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기에 상상에서만 멈출 수 있는 듯하다. 혹시나 그 상상이 현실로 가능하다면,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 두렵기도 하다. 지금도 100세 시대라고,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실감한다. 하지만 오래 산다는 것 자체가 좋기만 한 일일까? 오래 살아도, 건강하게 먹고 살 경제력이 바탕이 되어야 장수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 아니겠나. 나이 먹고 병들고 가난에 허덕이는 삶이라면, 오래 사는 일이 꼭 즐겁지만은 아닐 것 같다. 그렇다고 살아가는 목숨 강제로 어떻게 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지 않은가.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이제 초고령 사회로 들어가는 건 시간문제가 되었다. 곧 노인이 될 나의 삶도 어떻게 그려질지...


"한 사람을 죽이면 살인이지만 백만 명을 죽이면 혁명이 된다." (10페이지)


이토록 서늘한 이야기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이 소설은 우리가 염려하는 고령 사회의 문제와 고통을 생생하게 그렸다. 섬은 아니지만 섬으로 볼 정도로 고립된 팔곡마을. 전체 가구 수가 여덟, 인구수가 열. 그 열 명도 모두 노인이다. 일주일에 두어 번 팔곡마을로 들어가는 우체부가 노인들이 모두 사라졌다면서 파출소에 신고한다. 파출소장 박 경위는 우체부의 말이 근거 없다고 생각하며 귀찮아하지만, 일단 팔곡마을로 들어간다. 반쯤 잘못된 신고로 여기던 박 경위는 너무 고요한 팔곡마을의 어둠에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아챈다. 집마다 전기는 내려져 있고, 노인들 모두 집을 비웠다. 하루 이틀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집에 머문 흔적이 없다. 한두 명도 아니고 열 명의 노인 전체가 사라지는 일이 가능할까? 어떻게? 왜? 박 경위는 이상하게 언젠가 와본 적이 있는 것처럼 이 마을에 기시감을 느끼기도 한다. 하나씩 소환되는 그의 기억에서 이 마을에 닥친 사건을 읽는다. 그래, 그건 사건이다.

박 경위의 기시감은 현재의 마을 분위기와 사뭇 다른 과거의 한 장면이었다. 팔곡마을은 전국에서도 장수하는 노인이 많기로 유명한 곳이었다. 방송국에서도 장수의 비결을 취재할 정도였다. 박 경위가 기억하는 그날도 어느 노인의 장수 축하연이었다. 사람들 모두 모여서 노인의 장수를 축하해주고 같이 즐겼다. 집안에서 진동하는 음식 냄새와 노인들이 가득했던 마루, 마냥 즐겁게 웃고 떠들고 즐기던 사람들까지. 그리고 누가 초대했는지도 모르게 잔치에 참석해있던 회색 옷의 사람들과 이상한 영상의 과거와 '웰다잉협회'의 우편물의 현재는 노인들의 실종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추적하는 과정이 펼쳐진다.


여기까지만 보면 이 소설이 무슨 추리소설 같겠지만, 사라진 노인들의 흔적을 추적하는 과정이 추리소설의 맛을 느끼게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노인들이 사라진 이유를 찾으면서 생각하는 노인의 삶, 우리가 노인을 바라보는 시선에 초점이 맞춰진다. 깊게 알려고 하지 않는 노인의 자살률까지 다시 들여다보게 한다. 노인의 자살률이 OECD 국가 중에서 1위라는데, 이 비극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소설 속 단체인 웰다잉협회는 '뉴 제너레이션'을 꿈꾼다면서 노인의 자살을 유도한다. 분명 사라지는 노인들은 자살로 발견되거나 실종 상태로 머물겠지만, 그들이 노인들을 자살로 이끈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노인들이 사라지기를 바라는 것인가. 여기에서 보이는 또 하나의 시선은 노인 혐오가 아닐까 싶다. 소설에서도 말하고 있다. '세상이 점점 늙어가고 있다면서, 노인들이 지구 전체를 뒤덮어서 결국은 모두를 쇠락과 소멸로 내몰고 말 거라는(108페이지)' 공포가 '뉴 제너레이션'을 기획하기에 이르렀다. '노인들이 맛이 가서 일으킨다는 교통사고. 노인들 때문에 젊은이들의 연금 부담이 커진다는 뉴스. 노인들의 만성질환 덕분에 파탄 나게 생긴 의료 재정.(115페이지)' 같은 피부에 와 닿는 문제의 원인을 노인으로 바라본 적은 없는지 묻는다. 웰다잉협회는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하고 세대를 바꾸어야 한다는 의무로 노인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게 하는 일을 감행하는 것이다. 자기 손에 피 한 방울 묻히지 않고, 세상을 바꾸는 일에 일조하고 있다는 자부심에 넘쳐서 말이다.


노인 혐오 시선을 가진 적 없는지 생각하면서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소설 속 노인들은 다행히(?)도 강경에 젓갈을 사러 단체관광 다녀온 것이었다. 열 명의 노인은 무사히 돌아왔는데, 관광버스 안에서 내리던 것은 열 명의 노인보다 더 많은 포장된 젓갈이었다. 평생 먹어도 다 못 먹을 것 같은 양의 젓갈은 왜 샀을까 궁금하던 차에 한 노인이 하는 말이 낯설지 않다. '자기도 모르게 젓갈을 이렇게나 많이 사지 않았는가. 나중에 아들 내외나 딸이 오면 또 얼마나 잔소리를 할 것인가. 하긴, 그런 소리를 들어도 할 말은 없다. 확실히 이런 걸 노망이라고 하는 거겠지. 김장할 것도 아니면서 이걸 다 사다니.(147페이지)' 뉴스에서도 종종 보던, 노인을 상대로 하는 다단계 업체의 사기 같은 거 말이다. 노인들은 노래 불러주고 즐겁게 해준다고 그들의 초대에 기꺼이 응하고, 돌아올 때는 두 손에 가득 뭔가를 들고 왔다. 소소한 생필품에서부터 고가의 제품들까지. 일반적인 판매 가격보다 비싼데도 마치 뭐에 홀린 것처럼 물건을 사서 집안에 쟁여놓는다. 원재료가 제대로 확인도 안 되는 건강식품, 어디 제품인지도 모를 전기레인지, 화장품 가게에서 2천 원에 파는 피부 세안제를 만원이 넘게 사서 오는 일들. 직접 눈으로 보고 들은 일들에 왜 저러나 싶을 때가 많았다. 그렇게 쌓아놓은 물건들은 당연하게 자식들의 잔소리가 되었고, 싸움이 되고, 혐오의 시선을 만든다. 인간이기에 실수하고 그럴 수 있는 일이, 노인이니까 그렇게 행동하는 것으로 보는 건 아닐까 묻고 싶기도 하다.


그만그만한 거리에 적당히 모여 있던 작은 섬들의 노인이 계속 사라지면서 섬 세 개는 아무도 살지 않는 곳이 되었다. 나머지 두 개의 섬 중 하나가 팔곡마을이었다. 팔곡마을 노인이 사라지는 사건은 그냥 하룻밤의 해프닝이 되었지만, 며칠 후 마을의 노인 한 명의 시체가 호수 위로 떠 오른다. 이래도 그냥 웃고 넘길 하룻밤의 착각일까?


노인의 시체가 호수 위로 떠 오른 것으로 이야기는 끝났지만,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야기로 남을 수밖에 없다. 노인 한 명의 시신이 발견된 것으로 끝나지 않을 것 같아서다. 이렇게 사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어서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는 노인이 더 생기지는 않을지, 다른 세대에게 짐 덩어리처럼 여겨지느니 우아한 마지막을 선택하겠다는 다짐이라도 할 것 같아서 말이다. 여전히 세대 갈등은 계속 있을 것이고, 시선이 어긋날 때마다 그 혐오는 짙어질 것이다. 변화하는 세상에 금방 적응하지 못하면 스스로 도태하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에 자존감이 떨어질 테지. 이 세상에 자기 존재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타인에게 민폐가 되는 인생이라고 여긴다면 삶에 대한 애착마저 사라질지도 모른다. 그 대상이 내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나도 이제 '노인'이라 부르는 인생으로 들어갈 테니까. 대립이나 갈등이 아니라,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살아가는 방법을 같이 찾아야 하는 문제로 남은 듯하다. 그들(노인)이 선택한 죽음이 개인의 선택에서 머물지 않음을 강조할 수밖에 없는, 현대 사회의 민낯을 비추는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