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쎄...... 왜 좋았지? 음, 그래, 뭐 그런 적은 있어. 한 날 대수가학교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해서 내가 왜 그러냐고 물었어. 대수말이 하도 맞아서 그렇다고 하더라. 선생이 패고, 선배가 때리고. 늦으면 늦는다고 맞고, 진지하면 인상 쓴다 맞고, 쾌활하면 까분다고 맞고, 잘하면 건방지다 맞고, 못하면 형편없다 맞고, 그냥 그렇게 많이 맞았다. 그러다 어느날, 시합에서 심판한테 대든 뒤 선배들한테 엄청 맞았다나봐. 너 때문에 자기들도 앞으로 대회에서 불리하게 됐다고. 체고에서도 원래 얼굴은 잘 안 때리잖아? 근데 그날 대수 얼굴이 멍들고 피나고 장난 아니었던 거지." - P87

뭔가 물으면 아버지는 사건 위주로 짧게 대답하고, 어머니는 자신의 감상을 구구절절 보탰다. 두 사람의 이야기는 겹치고 어긋나고 어그러져 내 안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폭발 직전의 우주가스처럼 아스라이 출렁였다. 나는 그걸로 뭔가 만들어볼 요량이었다. 물론 그것이 무엇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게. 나조차 모르게. 아름다움이 아름다워질 수 있게. 사람 손을 타, 태어나자마자 죽는 새끼 강아지의 운명이 되지 않게. 아름다움이 잘 태어날 수 있도록 말이다. 나는 부모님의 추억담을 들으며 어서 이야기가 끝나기를 바랐고, 그러면서도 그게 정말 끝날까봐 조바심쳤다. 그래서요? 진짜요? 그게 뭔데요? 왜요? 우와! 지저귀며 흥을 돋우었다. 늙으면 듣는 것보다 말하기를 좋아한다던데, 이렇듯 부모님을 채근하는 걸보니, 나는 분명 소년인 게 틀림없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은 재능이나마 한번이라도 인정을 받아본 사람의 자긍심, 그리고 그 재능이 운동인 이가 지닌 미묘한 열등감과 순박함이 그것이었다. - P18

외할아버지의 얼굴에는 여름의 무성함을 숨기고 있는 겨울의 엄정함이 서려 있었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세기 경제사 - 우리는 유토피아로 가고 있는가
브래드퍼드 들롱 지음, 홍기빈 옮김, 김두얼 감수 / 생각의힘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의 고용 구조가 제조업 조립라인에서 건설, 서비스, 돌봄 산업 등으로 전환된 것은 전반적인 소득분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분배에는 큰 영향을 미쳤다. 없어진 일자리는 압도적으로 남자 일자리였고,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는 남성 일자리가 아니었다.

_ 재세계화, 정보기술, 초세계화 중 - P600

하지만 초세계화 시대에는 국경을 넘나드는 연결의 폭, 특히 다른 나라 사람들이 내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을 통제하는 범위가 크게 늘어났다. 과거에는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의 기업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다. 이제는 가능하다. 과거에는 조직 형태를 이전하여 본국에서의 생산성 수준을 외국에서의 생산 활동을 통해 달성할 수 없었다. 이제는 가능하다. 과거에는 한 나라에서 설계하고 다른 나라에서 생산하는 식으로 기업 활동을 통합할 수 없었다. 이제는 가능하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초국적 혹은 다국적 기업이 비난을 뒤집어쓰기에 좋은 후보가 될 것이다.

_ 재세계화, 정보기술, 초세계화 중 - P603

2007년 이후가 되면 트랜지스터가 너무 작아지다 보니 전류 누출이 늘어나 이 ‘데너드 스케일링 Dennard Scaling‘(소자의 크기가 줄면 전력소모도 줄어든다는 개념옮긴이)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_ 대침체와 빈약한 회복 중 - P6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세기 경제사 - 우리는 유토피아로 가고 있는가
브래드퍼드 들롱 지음, 홍기빈 옮김, 김두얼 감수 / 생각의힘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70년에 시작된 부의 폭발적 증가가 20세기의 잔인하고 야만적인 폭정을 배가시킨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인종차별과 성차별이라는 더 오래 지속되고 있는 폭정은 서서히, 마지못해, 부분적으로 굴복하고 있다. 한편으로 이러한 진보는 비록 그 속도는 빠르지 않았지만, 얼마나 빨리 인류가 유토피아를 향해 웅크리고 나아가야 하는가 그리고 진보가 느려지면 변화에 대한 강력한요구가 얼마나 커지는가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을 크게 위로 올려놓았다. 다른 측면으로, 사회에서의 신분이란 비록 완전히는 아니어도 제로섬 게임에 가깝다. 포용의 물결에 의해 젠더, 인종, 신분의 특권을 침식당한 사람들은 특권 상실 dérogeance 을 어떻게 감내할수 있었을까? 그 대답은 (북방세계의 2차 대전 이후의 첫 세대 동안 진행된) 전례 없이 빠른 소득 증대, 기회, 상향 이동에 있었다.

_ 포용 중 - P498

케인스와 프리드먼의 실질적인 차이점은 단 하나다. 프리드먼은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을 통해 금리를 적절히 ‘중립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이 모든 일을 혼자서 해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 케인스는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즉 기업이 투자를 하고 가계가저축을 하도록 장려하려면 정부 자신의 지출과 과세라는 두 가지인센티브가 필요했다. 게다가 이 인센티브들만으로는 충분치 않았다. "완전고용에 근접하도록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상당히포괄적인 투자의 사회화일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공공 당국이 민간의 기획과 협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타협과 방법들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

_ 사회민주주의의 영광의 30년 중 - P507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 정부는 당연히 무능한 정부이다. 1970년대 후반에 사회민주주의를 비판하는 이들은 인플레이션을가리키면서 이렇게 묻기만 하면 됐다. ‘제대로 기능하는 정치경제시스템이라면 이런 일을 초래했을까? 답은 당연히 ‘노‘였으니까.

_ 사회민주주의와 영광의 30년 중 - P535

굴뚝과 안개는 이제 번영의 증표가 아니라 깨끗한 공기를 위해 없애야 하는 골칫거리로 여겨졌다. 미국을 녹색으로 The Greening of America 라는 구호가 울려 퍼졌고, 인류의 의식이 확장되는 시대였다.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기 위해 열심히 성실하게 일하고 절약하는 부르주아적 미덕에는 의문을 던지고, 대신 "의식을 켜고, 내면의 소리에 주파수를 맞추고, 이 세계에서 탈출하라urn on, tune in, drop out"(LSD와 같은 향정신성 약물을 사용하여 정신의 자유와 의식의 확장을 꾀하라고 촉구했던 심리학 교수 티모시 리어리 Timothy Leahry 가 1966년 샌프란시스코에 모인 3만 명의 히피들에게 행한 연설의 첫 문장으로 알려져있다-옮긴이)고 외치는 시대이기도 했다.

_ 신자유주의로의 전환 중 - P539

이 인플레이션은 정부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골칫거리였다. 사람들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상쇄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노동자와 기업을 모두 겁주는 것뿐이었다. 즉 일자리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노동자들이 기대인플레이션만큼 임금 인상을 요구하지 못하도록 노동수요를 충분히 약화시키는 것, 기업들도 기대인플레이션만큼 가격을 올리지 못하도록 경제 전반의 지출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인플레이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약한, 수익성이낮은, 실업률이 높은 경제가 필요했다.

_ 신자유주의로의 전환 중 - P544

그리고 이렇게 잃어버린 기반중 일부는 다시 회복할 수 없었다. 레이건 정부의 감세 정책은 미국중서부의 제조업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고, 오늘날 ‘러스트 벨트Rust Belt‘로 알려진 지역을 만들어냈다.

_ 신자유주의의 전환 중 - P5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세기 경제사 - 우리는 유토피아로 가고 있는가
브래드퍼드 들롱 지음, 홍기빈 옮김, 김두얼 감수 / 생각의힘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덩샤오핑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것보다 유능한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가 종파 분자로 몰려서 당에서 숙청되고 지도자 자리를 잃었다.

_ 남방세계의 경제 발전 중 - P459

경제학자 랜트 프리챗LantPritchett 이 즐겨 말하는 것처럼, "반발전국가가 주도하는 국가 주도형 발전보다 더 나쁜 것은 이 세상에 거의 없다."22 독립한 이후 너무나 많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 그리고 너무나 많은 2차 대전이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그러고 말았다

_ 남방세계의 경제 발전 중 - P470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채널로 소통을해야 하는 21세기의 공론장에서 합리적인 토론을 수행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그런 소통 채널의 비즈니스 모델은 독자들의불안과 공포를 자극해서 화면에 그들의 시선을 붙들어놓고, 가짜당뇨병 치료제나 가상화폐를 팔거나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_ 포용 중 - P4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