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반할 꽃시 - 한시로 읽는 우리 꽃 이야기 알고 보면 반할 시리즈
성범중.안순태.노경희 지음 / 태학사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중국에서는 회화나무꽃이 누렇게 변할 무렵인 음력 7월에 과거 시험을 보았기에 회화나무꽃은 과거 시험을 뜻하는 꽃이기도 했다. 또 『주례周禮』에 따르면 궁궐에서 삼공三公, 즉 세 정승의 자리에 회화나무를 심어 특석임을 나타내는 표지로 삼았다. 그만큼 고위 관직을 뜻하기도 하는 나무여서 궁궐 곳곳에 심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궁궐 안에 회화나무를 많이 심었는데 지금도 창덕궁 돈화문안에 회화나무가 세 그루 있다. 과거 시험이나 고위 관직을 뜻하는 나무여서 ‘학자수學者樹‘라고도 한다.

_ 회화나무꽃 중 - P278

콩은 밥에 넣어 먹는 것만이 아닌, 두부와 콩국도 만들어 먹고, 무엇보다 콩으로 메주를 쑤어 우리 음식에서 빠질 수 없는 간장과 된장을 만든다. 조선 백성의 삶에서 가장 친근하고 없어서는 안 되는 곡물것이다. 옛사람들에게 콩꽃은 그런 꽃이다. 피었을 때 그 아름다움을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닌, 오히려 진 이후를 떠올리며 반가워할 수있는.

_ 콩꽃 중 - P282

예전부터 능소화가 피면 장마가 온다고 하였다. 그래서 ‘장마꽃‘이라고도 하였다. 능소화는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피어 장마가 끝나고도 제법 오래피어 있는 데다 높은 곳에 피어 사람들 눈에도 잘 띈다. 그 덕에 이처럼 해마다 변함없이 오래오래 피어나는 꽃으로 인식되었던 것이 아닌가 한다.

_ 능소화 중 - P292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3-12-22 15: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꽃을 좋아하는 나이기에 감사하게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