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 창비시선 237
김태정 지음 / 창비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인들에게 앞으로 주저없이 이 책으로 시집을 선물할 예정이다. 이런 시집을 지금에 만난 것이 미안할 뿐이다. 정호승선생의 시들을 좋아 했으나, 이제 최고의 시집은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이다. 이 시집 한권만을 남긴채 떠나야했던 시인 김태정, 한두 편이 좋은 것이 아니라 이 시집 전체가 아름답다. 아동작가 권정생선생의 느낌이 시 언어속에서 연상되기도 하지만, 서울을 떠나 땅끝 해남에서 자유로운 모습이 그려진다. 이 시집의 주제어는 물푸레나무, 미황사 를 들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한 단어를 고르라면 <뒤란>이다. 시인들의 정서적인 고향 미황사를 이번 겨울 다시 걸어보고 싶다. 그리고 시인이 환생한 동백나무 곁을 천천히 걸어도 보고 미황사에서 내려본 평야와 들판에서 살았던 그 시절을 회상해 볼 작정이다.

함께 겪었던 민중을 껴안으려는 마음과 고독과 슬픔도 외면하지 않고,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를 시인답게 풀어내고 있다. 어쩌면 그 동안 중단했던 필사를 이 시집으로 할까 고민중이다.

미황사

차마 다 터뜨리지 못한 울음처럼
늙은 달이 온몸을 밀어올리고 있었습니다.

그의 필생의 호흡이 빛이 되어
대웅전 주춧돌이 환해지는 밤
오리, 다람쥐가 돌 속에서 합장하고
게와 물고기가 땅끝 파도를 부르는
생의 한때가 잠시 슬픈 듯 즐거웠습니다
열반을 기다리는 달이여
그의 필생의 울음이 빛이 되어
미황사는 빛과 어둠의 경계에서 홀로 충만했습니다

아래 사진은 21년 늦가을 미황사 대웅전 전경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4-11-30 07: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황사가 엄청 단장했군요. 그저 대웅전과 요사체 딱 두 동이 있었을 뿐인데요. 대웅전도 지금 대웅전 말고 거기서 한 100미터 떨어진 곳에 작은 절집이었습니다. 부처님 흰 광배가 아주 특색있었던...
이 시집을 읽으셨다는데 왜 제가 반갑지요? ㅋㅋㅋㅋ

mailbird 2024-11-30 09:24   좋아요 1 | URL
21년에도 1년간 수리할 예정이었으니, 어떻게 변해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 방문 당시 시인의 존재를 알지 못했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