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부글부글 끓었다.
칭찬을 받으리라 잔뜩 흥분해 있던 나는
화도 못 내고
억울한 마음에 방안을 멤돌았다.
아직은 목을 보호해야할 때라 밖에 싸돌아 다니지도 못한다.
당신 눈에는 고작이겠지만
나는
나는
아픈 와중에도
당장 해야할 일조차 미루며
그일에만 매달렸다구.
그런데 이게 다야. 이게 다냐구? (꽥!)
방안에서 소리나지 않게
고래고래 고함을 치다가 얌전히 의자에 앉아서 책을 폈다.
달이라..
몇일 전
내게 약주를 선물한 분과 같이
하늘의 달을 봤다.
누군가와 같이 하늘의 달을 보는 기분
오랜만이다.
그리운 사람과 같이
사방이 확 트인 너른 곳에서
하늘에 무수히 박힌 별과 달을 보며
공간의 흐름 속에 같이 흐르자 했던
오랜 약속이 떠올라 울컥했지만 웃으며 말했다.
"달이네요"
신경숙의 글은 처음 읽는다.
장편소설도 아니고, 단편소설도 아니고, 그저 짧은 소설이다.
신경숙의 글은 마치 약국에서 할머니들이 들려주는 이야기같다. 이빨 빠진 할머니가 말하기 전부터 당신이 먼저 웃으며 들려주는 이야기는 몇 마디 만으로 어떤 내용일지 다 알겠고, 뒤에 하는 말들은 그저 맞춰주기 위해 들어줄 뿐이지만 그래도 열심히 듣다보면 웃음이 비어져 나온다. 박장대소의 웃음이 터지진 않지만, 뒷이야기가 궁금해서 귀를 쫑긋 세우며 듣게 되진 않지만, 어디에서 웃어야할지 몰라 머뭇거리기도 하지만, 이야기를 하는 사람의 그 선한 얼굴을 대하면 그만 어떤 이야기라도 좋아, 라고 생각되고 마는 것이다.
신경숙이 쪽지처럼 숨겨둔 유머는 찾지 못했지만(반 개 정도는 찾기도 한 듯), 어쩜 할머니들은 잘 찾을 수 있을 것도 같다. 아니, 내가 할머니가 되면 그때는 금방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지금은 그저 달에게 힌트를 구할 뿐이다.
오늘처럼 신경질이 나는 날엔
나도 달에게 내 이야기를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