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두 명은 줄곧 창밖 어둠을 응시했다. 어둠 속에서 그들이 보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무엇인가를 보기는 하는 것일까. 어둠 속에 볼만한 무언가가 있다는 사실을 나는 의심하지 않는다. 어둠은 늘 자기 속에 무엇인가를 담고 있었다. 어둠이 어두운 것은 그 안에 담고 있는 무엇을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나는 생각했다.
그러나 그들의 눈은 무엇인가를 보기 위해 열려 있는 것 같지 않았다. 군인들이 지어 보이는 침울하고 완고한 표정은 그들과 같은 목적지를 향하고 있는 나에게 모종의 불안을 불러일으켰다. 불러일으키다니! 나는 무의식중에 불러낸 하나의 단어에 움찔했다. '불러일으켰다'고 하는 것은 그것이 내 안에 웅크리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불러내진 것들은 불러내질 때까지 누군가 불러 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아주 작은 부름에도 즉각 반응하는 것이다. 심지어 불안은 누군가 불러 주지 않을까 봐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퇴근 무렵 약국은 갑자기 바빠졌다. 약속 시간이 빠듯한데 장기 처방전이 왔다. 카톡도 자꾸 띠링띠링 울린다. 몇 십 분의 시간이 흐른 뒤에야 약국 문을 닫고 불을 끈 후 정리를 하기 위해 의자에 앉았다. 폰을 열었다. 여러 개의 문자 중 짧은 문자가 눈에 들어온다.
처방 프로그램을 끄고 컴퓨터를 끄려던 내 손이 멈칫했다. 내 마음보다 머리 속 뉴런이 보다 빨리 내 손에 정보를 전달했다. 컴퓨터 끄지마.
나는 여기저기를 클릭하면서 음악을 찾아 헤매고 글을 찾아 헤맸다. 컴컴한 어둠 속에서 홀로 밝은 컴퓨터는 조용한 음악을 들려주었다. 두둑. 눈물이 자판 위의 두 손등에 떨어진다. 애써 참으며 눈 안에 감추려던 눈물이 어느새 넘쳐 흘러버렸다. 짤막한 일상의 문자였지만 그 속엔 말하지 않은 것들, 말하지 못하는 것들을 가득 담고 있었다. 나 역시, 입 밖에 내지 못하는 말들을 삼켰고 그 말들은 속절없이 눈물이 되어 떨어졌다.
문득, 조용한 어둠이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 혼자 만의 공간에 있을 수 있는 잠시의 이 시간이 한때는 얼마나 진저리났던 시간인지는 더이상 떠오르지 않는다. 어둠이 무서워 밤에 불을 끄면 아침까지 절대로 눈을 뜨지 않았던 어린 시절은 저 만치 가버리고 이제는 어둠의 위로에 안식의 한숨을 내쉰다. 한때는 눈물 조차 말라버려 퍼석거리는 감정의 시기도 있었다. 울고 싶을 때 눈물이 나오지 않는 그 갑갑함은, 이산화탄소로 가득한 공간에 입에만 산소 마스크가 물려져 있어 겨우 숨만 쉴 뿐, 온몸의 모공이 막혀 그야 말로 기막힌 상황이랄까.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 이렇게 눈물이 흐르고 마음이 어지러운 상황이 나쁜 것 만은 아니다. 그래. 또 기운 내보자. 힘겨움이 다가오면 다시 흘러갈 때까지 지켜봐야지.
문단속을 다 마치고 퉁퉁 부은 눈을 가리기 위해 모자를 쓰고 마스크를 쓰고 거리를 나섰다. 번화가에 접어드니 책정리를 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승우 리스트를 만들자 해놓고 몇 달째 그대로다. 집에 가면 이승우 책이 도대체 몇 권이나 있는지 좀 찾아보자. 한 번 읽고 나서도 자꾸자꾸 읽고 싶어지는 책을 쓰는 사람.
집에 와서 책을 찾으니 제법 높이가 쌓인다. 그중 한 권을 대충 집었다. <한낮의 시선>이다.
.
.
.
내..불안을..책에게 들켜버린 걸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