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
정호승.안도현.장석남.하응백 지음 / 공감의기쁨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한때 애송하는 시 몇 편이 없었던 사람들이 있을까?

마음속에 자리잡는 시는 그 시를 읽는 순간 그냥 좋아서 가슴 속에 담겨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학창시절 국어 시간은 즐거운 시간이었지만, 그 중에서도 시를 배우는 시간을 더 좋아했다.

시 속에 시인의 마음이 담겨 있기에 좋았고, 직설적인 표현보다는 내둘러서 마음을 표현하는 은유의 표현이 더 좋았다.

이 책 속의 저자들은 난해한 시는 전문가용으로 생각하고 그들이 연구하도록 내버려 두라고 말하지만, 그래도, 학창시절에 배우던 난해한 시도 시라는 것만으로도 좋았었던 것이다.

그래서, 지금은 거의 사라져 버린 손편지를 쓸 때에는 꼭 사연과 함께 한 페이지 정도는 내가 좋아하는 시를 담아 보내곤 했다.

그런 편지를 받았던 제자들 중에는 내가 시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아끼고 아낀 용돈으로 시집을 사서 선물로 건네 주던 학생들도 있었다.

그 시집 중의 3권은 아직도 책장 속에서 먼지를 뽀얗게 뒤집어 쓰고 퇴색한 모습으로 얼굴을 내밀고 있다.

이번에 이사를 하면서 책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버릴까 말까 많은 고민을 했다. 쓰레기통까지 갔다가 차마 버릴 수가 없어서 다시 가지고 왔지만....

그 시집 속에는 지금은 연락은 안되지만, 그래도 그 학생의 이름을 기억하고 있고, 그 시집을 나에게 주던 그 수줍은 모습이 생생하게 기억되는 것이다. 그러니 차마 버릴 수 없었던 것이다.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는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푸근해지는 시인, 안도현, 정호승, 장석남 그리고 평론가 하응백이 그들이 시와 사랑에 빠졌던 날들의 기억을 더듬어 가는 이야기들이다.

그들은 시를 사랑하고 시에 빠지게 되면 시인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아마도 나는 시를 사랑하기는 했지만, 그 이상은 아니었는가 보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도 자신의 학생들을 모두 시인으로 만들지 않았던가.

물론, 등단한 시인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시를 지을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진 어린이들로 자랄 수 있게 하지 않았던가.

" 시를 사랑하게 되는 계기는 다양하다. 시를 완전히 이해해야 시를 사랑하는 것도 아니다. 우연한 계기로 남자가 여자를, 여자가 남자를 불꽃처럼 사랑하듯이 시도 우연히 다가올 때가 있다. 굉음을 내며 몰려 올 때도 있고, 고양이처럼 소리 없이 다가올 때도 있다. 둔중한 아픔으로 올 때도 있고, 스치는 바람처럼 가볍게 올 때도 있다. " (p. 6)

이 책의 저자 중에 정호승의 작품으로는 동화 <연인>, < 항아리>를,

안도현의 작품으로는 <연어>를 읽었다.

그들의 동화가 순수하고 아름답기에 그들이 시인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세상을 바라보는 눈, 그것이 시인의 눈과 일치하는 것이 아닐까.

정호승, 안도현, 장석남, 하응백은 각자 오랫동안 그들이 사랑했던 시에 대한 사랑고백을 이 책 속에 담아 낸다. 그리고 그 시들에 얽힌 사연들을 소개한다.

가난했던 시절의 이야기, 암울했던 시절의 이야기, 학창시절의 이야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친구에 대한 이야기가 진솔하게 펼쳐진다. 물론, 시와 함께~~

시인 정호승 고향은 하동이다. 그래서 섬진강에 대한 기억이 있다.

 

어느날 곽재구 시인의 사평역이란 시를 읽으며 마치 자신이 쓴 듯한 착각을 일을킬 정도로 공감을 했다고 하니...

기차역은 그리움의 장소, 눈물이 많은 곳, 그래서 우리 인생을 기차에 비유하곤한다. 인생이란 기차를 타고 거쳐 가야하는 역.

" 기차역은 늘 그리움의 장소다. 삶의 웃음보다 눈물이 더 많은 곳이다. 어쩌면 우리는 인생이라는 기차를 타고 각자 거쳐가야 할 역을 거쳐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 (p. 29)

 

그리고 김지하 시인을 생각한다. 그가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누릴 수 있는 것이 무엇이던가?

시인 안도현 문학청년 시절 그에게 " 문학은 끊을 수 없는 마약. 구원의 종교, 삶의 모든 것"이었다고 술회한다.

재미있는 이야기는 시에 자주 쓰이는 나무와 꽃이름에 대한 이야기이다.

'박용래'의 <구절초>를 읽으면서 그 꽃을 알지 못했단다. 어느 초가을날 산비탈에 무리지어 핀 구절초.

그동안 안도현은 그의 시에 알지도 못하는 꽃이름을 집어 넣었기도 했는데, 그때부터 그는 꽃이나 나무 이름은 식물도감을 찾아 보고 시 속에 담아 놓는다고 한다.

그래서 쓴 참회의 시가 <무식한 놈>이라고 한다.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

이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

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다!" (안도현의 사 <무식한 놈 > p.82 )

 

(사진검색: 네이버 누군가의 블로그에서 - 죄송합니다)

 

시인 장석남이야기 속에 나오는 시인의 장례식이야기.

대학교 1학년때인가 어느 겨울날 우연히 신문에서 김종삼 시인의 죽음을 읽게 된다. 잘 알지도 못하는 시인이었건만, 그는 그날의 그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분에 비쩍 마른 몸에 헌혈을 하고, 책방에 들러 <북치는 소년>이란 책을 구입한다. 그리고 훗날 황동규의 <점박이 눈>이란 시를 발견하게 되는데, 그 시는 김종삼의 장례식에 관한 시였다고 한다.

시인의 기억에도 그날은 눈이 내렸는데, 황동규 시인은 그 눈마저 까만 눈으로 표현을 했던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시인이란 원래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은 시와 사랑에 빠졌을 때에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한다.

시인이란 어떤 사람들일까?

우선은 문인 중에서도 돈벌이 안되는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생각하게 되지만, 그래도 시인들의 삶이 궁금하기도 했고, 시인이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도 궁금했다.

그리고 그들이 시에 심취하게 된 동기나 시인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느꼈던 생각들이 궁금하기도 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시인의 시 사랑의 마음을 엿 볼 수 있었다.

" 시인은 '낙엽이 지고 사람들이 죽어가는 일'마저 먼 일처럼 생각된다. 낙엽이 진다는 것은 세월이 흐르는 것, 사람들이 죽어가는 일이란 인간에게는 절대적인 것. 세월과 죽음보다 인간에게 중요한 것이 얼마나 더 있단 말인가. (...) " (p. 189)

 

 

한때는 그리도 좋아했던 시.

그러나 언제부턴가 차츰 삶 속에서 잊혀져 가는 시.

이 책을 읽으면서 주마등처럼 떠오르는 시들이 있었고, 그 시들에는 내 젊은 날의 추억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