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과 혀 - 제7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권정현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만적이군요? 음식의 맛을 느끼지 못하고 단순히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위장에 강제로 집어넣는 행위라니. 음식을 먹는다는 건 배를 채우려는 목적도 있지만 요리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풍미를 느끼는 시간이기도 한데, 혀가 안내하는 그 깊고 오묘한 세계를 광둥인들은 잠자리에서까지 찬양합니다."

"굶는 사람들이 도처에 널린 한 식욕에 아름다움 따위가 끼어들 수 없다."

광둥 제일의 요리사였던 아버지에게 어릴 때부터 요리를 배운 천재 요리사 첸, 전쟁의 중심에 있지만 그것보다는 궁극의 맛에 집착하는 일본 관동군 사령관 모리, 전쟁 통에 일본군 위안부로 떠돌다 첸의 집에 숨어들어 목숨을 구한 조선인 여인 길순. 이들 세 명이 1945년 일제 패망 직전의 붉은 땅 만주를 배경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첸은 요리사이자 비밀 자경단원으로 자신의 주무기인 요리로 일본군들을 독살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그는 모리의 테스트를 목숨을 걸고 통과해 그를 위해 요리를 만들게 된다. 장교식당 취사병이 된 첸은 만주족 전통 축제인 반진제의 음식을 준비하면서 남몰래 독을 넣지만, 여러 음식들의 재료가 어우러져 해독 작용을 해서 아무도 죽이지 못하고 실패하고 만다. 가족들을 취조하기 위해 데려오지만 노모는 도중 자살해버리고, 조선인 아내 길순은 끌려와 갖은 고문을 당한다. 모리는 첸을 죽이지 않고 혀를 일부 자른 뒤 장교식당 주방에 쇠사슬로 묶어두고 자신을 위해 요리를 하도록 한다.

애써 독을 쓰지 않아도 되는, 누구도 만들 수 없는 가장 완벽한 맛, 그것이 녀석의 복수가 되어야 한다. 내가 녀석의 요리에 취하여 접시 아래 무릎을 꿇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혀를 전부 빼앗지 않은 건 그런 이유 때문이다. 완전히 맛보지 않아도 맛을 가늠할 수 있는 능력, 녀석의 혀는 새롭게 진화할 것이다.

전시에 음식에 독을 넣는 것으로 누군가를 암살하려는 시도라는 플롯은 사실 시시하다. 그런데 이 작품이 특별한 것은, 그것을 이야기의 중심이 아니라 시작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첸의 계획은 제대로 피어보지도 못하고 꺾인 꽃처럼 갑작스럽게 발각되고, 갑작스럽게 끝나 버린다. 그러니까, , .. 그리고 전이 되어야 하는데 그냥 거기서 멈춰 버리고는, 다시 이야기가 시작된다는 느낌으로. 첸은 독이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자신의 죄를 자백하고, 마땅히 그의 목숨을 거두어야 할 사령관 모리는 그에게 다시 화덕을 맡기겠다고 말한다. 목숨을 걸고 만드는 그의 요리를 매일 기꺼이 먹어주겠다고 말이다. 그렇게 1부가 끝나고 시작되는 2부에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유사한 시기를 배경으로 다루고 있는 숱한 여타의 작품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완전히 도발적이고도 새로운 이야기가 이어진다.

 

전쟁은 반복된다. 두려움은 간부나 사병이나 민간인이나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받기 싫은 선물처럼 진주해 있다. 그 속에서도 인간은 부지런히 먹고 마신다. 두려움 속에서도 매일 세끼의 식사를 할 수 있다는 건 얼마나 축복인가. 매일 아침저녁 장교식당을 찾는 머릿수는 여전히 줄어들지 않는다. 그들은 잘 먹어야 잘 싸울 수 있다고 자위한다. 사령부가 적들에 둘러싸일 때, 과연 저 머저리들 가운데 몇 명이나 착검을 하고 적을 향해 돌격할 수 있을까?

길순은 한달 가까이 고문을 받고 나서 관사로 옮겨지고는 한 사내에게 극진한 대접을 받게 된다. 상처를 소독하고 약을 발라주고, 맛있는 음식을 먹여주는 그는 바로 사령관 모리이다. 그녀의 아름다움에 사로잡힌 그는 그녀의 몸을 끝없이 탐하고, 그와의 시간을 보내며 길순은 첸이 만들어 올리는 음식도 함께 먹는다. 흥미로운 것은 본 관동군 사령관 모리(야마다 오토조)가 실존 인물이라는 점이다. 실제로 그는 실제 야마다 오토조가 백만 관동군을 지휘하지 못하고 소련군에게 모두 항복시켜 칠십만 관동군을 포로로 잡히게 한 역사적 기록이 있다. 적을 앞에 두고 음식에 집착하는 사내라는 설정이 독특하다 생각했는데, 실존 인물의 기록에 상상력을 더해 탄생한 캐릭터라고 하니 더욱 그럴듯하게 느껴졌다. 

썩어가는 것들일수록 더 깊은 맛을 풍기지. 인생도 그렇다. 너의 무엇이 너를 간절하게 하느냐? 그것이 없다면 요리는 겉치레일 뿐이다.

이들 모두칼과 혀와 밀착된 삶을 살고 있다. 음식을 먹는 시간은 최대한 줄이고, 낭비는 허락되지 않으며, 음식이 곧 목숨이었던 나라와 음식을 먹는다는 건 배를 채우려는 목적도 있지만, 요리 자체가 가지고 있는 풍미를 혀로 느끼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는 나라라니. 애초에 너무도 완벽하게 다르지 않은가. 굶는 사람들이 도처에 널린 상황에서 식욕에 아름다움 따위가 끼어들 수 없는 것이 당연할 텐데, 그 와중에 먹는다는 걸로 잠시나마 전쟁과 자신의 직위를 잊곤 하는 일본군 사령관도 있다. 모리가 음식을 먹으면서 그에 대해 생각하고, 품평하는 대목들은 단순히 음식에 대한 찬양을 넘어서 굉장히 아름다웠다. 그래서 이 작품을 읽는 내내 '세상에 없는 요리'를 맛보는 듯한 기분마저 들었다. 첸과 길순은 물론 허구의 인물이지만, 어쩌면 당시 민족 간 싸우는 광경 속에서 거리 어디서나 실제 했을 법한 인물들이기도 하다. 그렇게 첸과 모리, 길순은 한중일 각 나라를 대변하는 인물로 등장해, 증오의 역사를 보여줌과 동시에 한중일 민중 사이의 소통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혼불문학상 7년 만의 심사위원 만장일치 수상작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럴 만큼 신선하고, 독창적이면서도 매우 아름다운 묘사와 흡입력 있는 드라마가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