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임당 빛의 일기 - 하
박은령 원작, 손현경 각색 / 비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강산도>를 보겠다며 담을 넘어 들어왔던 당찬 소녀.....당신이 그려내는 그림들을 다시 볼 수만 있다면...나는 무슨 짓이든 할 것이오."

그 말을 끝으로 이겸은 까무룩 잠이 든다. 사임당은 그제야 참았던 눈물을 주르륵 흘린다. 가슴이 저릿하다. 자신의 전부를 내걸고 달려오는 이 남자를 어쩌면 좋단 말인가. 갚을 길 없고, 마주 볼 수 없는 마음이 아닌가. 하늘이 제아무리 높고, 땅이 제아무리 넓다 한들, 목숨을 내건 사랑만큼 높고 넓을 것인가.

<사임당 빛의 일기> 그 두 번째 이야기는 이겸이 사임당을 위해 자신의 삶을 어떻게 희생했는지, 그 전모를 알게 되면서 시작한다. 그는 왜 갑작스레 사임당이 자신과의 혼인을 파기하고 다른 남자와의 삶을 선택했는지 알 수 없어 괴로웠는데, 비로소 전모를 알게 된다. 그 모든 일들의 배후에 전하께서 내린 시가 있었다는 것. 그 시를 본 사람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이가 바로 사임당이라는 것도. 예정대로 두 사람이 혼인을 했다면 목숨을 부지할 수 없었다는 것도 말이다.

'미안하오! 미안하오! 당신의 희생으로 내가 살아왔소! 이제부턴 내가 당신을 위해 살 차례요. 조선에서 제일 힘 센 사내가 될 것이오. 당신을 위해..... 아무 걱정 없이 오롯이 화가 사임당으로만 살아갈 수 있도록!

한편, 사임당은 종이공방에서 아주 오래 전 세상을 떠난 유민들을 위한 제사를 이십 년째 지내고 있다. 그 동안 겪어온 양반들과는 전혀 다른 사임당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았던 종이 공방의 대장은 그들을 귀한 사람들이라 지칭하는 그녀의 말에 당황한다. 그러다 팔봉의 고백에 의해 운평사 유민들이 몰살당한 것이 그녀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의 그림과는 상관없이 애초에 놈들은 고려지 비법만 챙기면 죄다 쓸어버릴 심산이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된 것이다. 죄책감과 울분이 숨통을 조이던 이십 년 세월 앞에 사임당은 무릎에 힘이 풀리고 만다. 그 와중에 종이공방의 유민들이 포교에 의해 줄줄이 잡혀 들어간다. 그 동안 어마어마하게 밀린 조세 때문에 구속이 되고 만 것이다. 사임당은 남편 이원수에게 그들을 구하기 위해 땅문서와 집문서를 담보로 속전을 구해야겠다고 말한다. 어떻게든 나머지 금액을 구해오겠으니 사람들을 풀어달라고. 부서질 듯 여리고 작은 모습 어디에 대장부보다 더 큰 배포가 숨어 있는지, 유민들은 감격한다.

"그 소녀는 이제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지금 공 앞에 있는 저는 보잘것없는 아낙일 뿐입니다. 단 한 번뿐인 인생, 지나간 인연을 위해 공의 인생을 허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현명한 사랑이란 게 있소? 사랑은......어리석은 자들이 하는 것이오."

"............"

"그저.......마음이 시키는 대로 할 수밖에."

사임당과 유민들은 나머지 돈을 구하기 위해 운평사 고려지를 만들어내기로 하지만 수월치 않다.  그 과정에서 민치형과 휘음당은 더욱 악독한 방법들로 그것을 방해하고, 이겸은 묵묵히 뒤에 서서 그녀를 보호하고 도와주기 위해 애쓴다. 휘음당의 계책에 의해 결국 사임당의 아들 현룡은 자진 출재하는 걸로 중부학당을 나오게 된다. 그 와중에도 '아이보단 그 아비의 권세와 재물을 더 중시하고, 나라의 근간이 되는 백성들마저 우습게 여기면서까지, 오로지 과거공부만을 강요하는 이곳에선 더는 배울 것이 없기 때문'이라고 당당히 말하는 그녀의 모습은 쫓겨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나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중부학당 자모회 수장 자리가 다른 이를 짓밟으면서까지 그토록 지켜내야 하는 것이라면, 댁은 계속 그리 사시오."

화가 머리끝까지 솟구쳐 온몸이 타 들어갈 것만 같은 휘음당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이렇듯 선과 악의 대비, 쫓기는 자와 괴롭히는 자, 음모를 꾸미는 자와 그것을 빠져 나오는 자의 대비로 이야기는 시종일관 흘러간다. 어찌 보면 우리 나라 사극의 거의 모든 드라마가 이런 방식일 것이다. 하지만 지루하거나 뻔하지 않다. 아마도 사임당과 이겸이라는 독보적인 캐릭터 때문이 아닐 까 싶다. 그들이 실존 인물이고 우리 역사 속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라서가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마음이 그대로 독자들에게도 전달이 되어서 일 것이다. 바위처럼 단단하고, 횃불처럼 뜨거운 남자 이겸, 그리고 삶이 어떤 고통과 역경을 주더라도 넘어질지언정 무너지지는 않는 여자 사임당. 다만 아쉬운 점은 타임슬립이라는 장치가 아닐까 싶다. 한국미술사를 전공하는 강사 지윤이 미술사학계의 실세인 민정학 교수에 의해 위기를 겪고, 그녀가 우연히 발견한 고서를 복원해서 과거 사임당의 일상을 담은 일기로 교차 진행되는 스토리는 상권보다 하권에서 더 몰입을 방해한다. 사임당과 이겸의 스토리에 푹 빠져들려고 하면 갑작스레 등장한 현재의 이야기가 그 흐름을 끊어낸다고 할까. 타임슬립이라는 장치를 빼고 그냥 정통 사극으로 풀어냈다면 드라마도 더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살다 보면, 어느 순간 삶이라는 덫에 걸려 옴짝달싹 못하고, 무너지고야 말 때가 올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순간이 와도 삶에 휘둘리지 않고, 넘어질지언정 무너지지 않았던 사임당의 모습을 떠올려보면 어떨까. 삶은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는 것이라고, 어떤 순간에도 희망을 놓지 않았던 그 모습이 아마도 당신에게도 다시 일어설 힘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