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는 글쓰기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차윤진 옮김 / 북뱅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작가는 인생을 두 배로 살아가는 사람이라고 한다. 길에서 만나는 여느 사람들처럼, 건널목을 건너고 아침에 출근하는 그런 일상생활이 첫 번째 인생이고, 글을 쓰기 위해 자리에 앉아 모든 것을 곱씹는 두 번째 인생이라는 것이다.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우산을 펴거나 비옷을 꺼내 입거나, 신문으로 머리를 가린 채 걸음을 서두른다. 하지만 작가라면 노트와 펜을 들고 빗속으로 걸어 들어가 웅덩이를 바라보며 물방울을 관찰한다. 나탈리 골드버그는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에서 '작가는 비를 맞는 바보'라고 한 적이 있다. 글을 쓰고 싶은 사람은 조금 어수룩한 바보가 되어도 괜찮다고 말이다. 사람들은 글쓰기가 육체적인 노동이라는 사실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글쓰기란 생각하는 행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라, 반드시 손을 계속 움직여 써 내려가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머리 속에서 떠오르는 생각만으로는 아무런 결과물도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글쓰기 훈련이 필요한 것이고, 나탈리 골드버그가 쓴 여러 권의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된 거라고 생각한다. 평범한 삶 속에서 아름다운 순간들을 추억하고 글로 옮기는 법을 찾고자 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책을 읽고 실제 자유로운 글쓰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그녀의 신작 <버리는 글쓰기>에서는 '왜 작가들은 늘 불행한가? 행복한 글쓰기란 과연 불가능한 일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글쓰기 분야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의 성공 이후 10, 극심한 슬럼프를 맞이한 저자가 처절한 내적 고통을 겪으며 정립한 자신만의 글쓰기 훈련 법을 진솔한 경험담과 함께 풀어낸 것이다.

글쓰기는 한 개인이 자신의 내면과 외면, 영혼과 육체를 통합하고 실천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운동선수들이 근육을 훈련하며 단련한 몸으로 최상의 기량을 발휘하듯, 글쓰기 훈련 법을 통해 글을 쓸수록 우리는 점차 삶의 핵심에 다가가게 된다. 따라서 자기 자신의 인생에 대해 완전히 솔직하지 못하면, 독자를 납득시킬 만한 글을 쓸 수가 없다. 그래서 그녀는 이번 작품에서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때로는 고통스럽지만, 그만큼의 희열과 보람을 주는 주체적인 삶의 방식으로써의 글쓰기를 다시금 제안한다.

 

첫 번째 소설은 초등학교 교사를 하면서 학교 도서관에 있는 조그만 책상 위에서 썼어. 하루에 점심시간 35분 정도를 할애해서 매일같이 썼지. 여름 방학 때는 9시부터 12시까지 주 4회 보모를 고용해서 애를 맡기고 그 시간에 소설을 썼어. 요즘은 자꾸 이 시기를 떠올리려고 노력해. 왜냐하면 그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정규직 교사로 근무하는 데다가 이제는 세 아들을 키우는 싱글 맘이기 때문에 글을 쓸 시간이 없다며 내 자신을 딱하게 여길 때도 있거든. 여기서 한 시간, 저기서 삼십 분. 글을 쓸 시간은 딱 그 정도면 돼. , 시작해. 펜을 움직여. 그게 다야. 나머지는 다 헛소리라는 걸 알면서도 변명만 늘어놓고 글은 쓰지도 않으면서 괴로워하기도 해. 글을 쓰는 것 자체는 사실 간단해. 그냥 쓰면 되는 거거든.

 

첫 소설을 마치고 플롯 짜는 것에 대한 필요성으로 공부를 했던 케이트의 경우는 나탈리 골드버그의 의견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것저것 따지지 말고, 재지 말고, 조절하지 말고, 그저 쓰기만 하라는 것 말이다. 아이들이 빈 시리얼 상자를 흔들어대고, 당신 지갑 속에 단돈 1달러만 남아 있고, 개는 바깥으로 나가자고 성화이고, 저녁 준비도 해야 하고, 사촌에게 전화도 걸어야 하고, 수술을 받은 어머니도 걱정스러울 수 있다. 제일 아끼던 만년필은 갑자기 보이지 않고, 고양이가 최근에 쓴 습작노트를 발기발기 찢고 있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노트를 꺼내, 다른 만년필을 꺼내어 잡고 그저 쓰고, 또 써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이 바로 그녀가 전작부터 주장했던 '뼛속까지 내려가서 내면의 본질적인 외침을 쓰는' 방법이다. 이번 작품에서는 특히나 구조 짜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녀가 터득한 특별한 글쓰기 훈련 법을 제안하고 있다. 글에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자신에게 솔직한 작가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캐릭터를 만들 수 있는 그런 방법 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도 바쁜 일상 속에서 애당초 글 쓸 시간을 어떻게 마련하냐고 반문하기 일쑤라고 한다. 힘든 정규직 직장에 간신히 다니고 있고, 부양해야 할 가족도 있고, 자신을 필요로 하는 아이도 있으며, 매일같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해야 할 일들 속에서 대체 언제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이 생기겠냐고 말이다. 하지만 그렇게 불평하기 전에, 우선 시작부터 해야 한다는 말이다. 테니스에 입문한 첫 주부터 윔블던 경기에 나가라는 기대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 않나. 먼저 시작하고, 그것이 꾸준하게 이어져서 시간이 쌓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녀는 끊임없이 사람들에게 글쓰기 훈련을 시작하라고 선동하고 있다. 이제는 뭔가 본때를 보여주자고 말이다. 언제 시작하냐고? 헤밍웨이가 말했듯이 "너무 이르지도 않게, 그렇다고 너무 늦어 터지지도 않게."

글을 쓴다는 건 외로운 일이다. 나는 안다. 나와 당신이 유명한 작가가 되리라고는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다. 글쓰기는 시간이다. 멋진 글을 쓰고 싶으면 일단 엉덩이를 붙이는 방법부터 익혀야 한다. 이 책에서 철저히 내면의 목소리에 따르는 그녀의 훈련 법을 따라 하다 보면 누구라도 유혹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늦지 않았다. 시작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