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5분 엄마 목소리 - 태교 동화를 읽는 시간, 사랑을 배우는 아이 하루 5분 태교동화 시리즈
정홍 지음, 김승연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미국 소아과학회는 출생 후 3년 내에 뇌 발달의 중요한 부분이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해 '아이들이 태어난 직후부터 책을 읽어줘야 한다'는 새로운 권고안을 내놓았다고 한다. 그래서 소아과학회는 소속 의사들에게 부모와 어린이가 병원을 찾을 때마다 '책 읽기'를 강조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태어난 직후 신생아에게 습관적으로 소리 내 책을 읽어줄 경우 아이의 지적 능력이 좋아질 수 있다 하니 진정한 '조기' 교육이 아닌가 싶다. 또한 이는 출생 후 3년 내에 뇌 발달의 중요한 부분이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라고 하니 과학적으로도 입증된 것이고 말이다. 게다가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면 어휘 구사 능력은 물론 대화 능력까지 좋아진다는 점도 반영된 결과라고 하니, 갓 태어난 신생아뿐만 아니라 뱃속의 아기에게 태교를 할 때부터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교는 뱃속의 아기에게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고 끊임없는 사랑을 보여주는 중요한 교육이다. 이미자궁 내 환경이 지능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세계적인 과학 잡지에서 밝혀진 바 있으니 출생 전의 정성 어린 태교는 출생 후의 값비싼 조기교육보다 훨씬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태교를 통해 뱃속의 아이도 안정된 정서와 지능과 건강을 갖추고 태어날 준비를 하게 될 거라고 생각하면 정성 어린 마음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다. 태교의 종류가 참 다양한데, 음식태교, 태담태교, 음악태교, 학습태교, 독서태교, 운동태교, 여행태교까지... 그래서 요즘은 임산부들이 '태교여행'이라는 명목으로 해외여행도 많이 다니기도 하고 말이다. 엄마의 성격에 따라 태교의 종류가 달라지기도 할 것 같은데, 워낙 책과 친숙하고 책을 많이 읽었던 탓에 나는 무엇보다 책을 많이 읽어주는 엄마가 되고 싶었다. 임신 30주가 되니 아이도 어느 정도 뱃속에서 자라 태동도 활발해지고 해서, 더욱더 책을 읽어주며 아이와 교감하는 시간이 중요해졌다. 그래서 태교동화를 이것저것 많이 찾아보고, 읽어보기도 하고 했는데... 사실 태교동화로 출간된 책들이 다양한 종류에 비해 내용이 뻔해서 엄마 입장에서는 다소 지루한 것들이 사실이다. 아이는 엄마의 감정을 고스란히 느끼므로, 엄마한테 재미있는 것이 아이한테도 좋지 않을까 싶어서.. 그냥 평소에 내가 읽는 책의 한 대목씩을 읽어주기도 했다. 하지만 아무래도 아이 대상으로 쓰인 책이 아닐 경우에는 글자수가 너무 많고, 단어도 어려운 게 많아 소리 내어 읽기엔 다소 무리가 있긴 하다. 한 두 페이지만 읽어도 목이 아프다거나, 읽는 도중에도 이런 내용을 아이한테 들려줘도 되나 싶기도 했고 말이다.

 

그러던 중에 만나게 된 것이 바로 <하루5분 엄마 목소리>이다. 이 책이 여타의 다른 태교동화들과 차별 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엄마가 먼저 읽는 '엄마 동화'와 아이에게 들려주는 '태교 동화'라는 두 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엄마가 아이에게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엄마가 먼저 이야기 속에서 재미와 감동을 느끼고, 그 감정을 음성을 통해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라 정서적 교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매력적이다. 게다가 기존의 태교 동화들처럼 명작동화의 축소판이나 교훈적인 옛날 이야기들이 아니라 순수 창작 동화라는 점에서도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다. 특히 좋았던 것은 단순히 엄마를 위한 동화가 길고, 그걸 짧게 요약한 것이 아이를 위한 동화가 아니라, 엄마를 위한 동화가 일반적인 이야기라면 그 속에서 내용을 추려 다른 시각으로 아이에게 직접 '내가 아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간추려져 있다는 점이었다. 어릴 적 할머니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것처럼 말이다. 내가 잘 아는 이야기, 내가 재미있었고, 감동을 느꼈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과 단순히 이야기를 '읽어주는' 것은 천지차이이다. 내가 이야기 속에서 느꼈던 것들을 고스란히 뱃속의 아이에게 들려줄 수 있어서 태교 동화를 읽는 일이 매일같이 하는 일과가 아니라 행복하고 설레 이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

 

언젠가 EBS 다큐 프라임에서 아이의 정서지능에 관한 방송을 본 적기 있다. 정서지능이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 수용하고 자기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간단히 말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힘이라고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아이는 태어날 때부터 정서지능을 가지고 태어나기는 하지만,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은 미흡한 상태이기 때문에 그걸 어떻게 발달시키느냐는 엄마가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정서지능이 높은 아이의 엄마는 책을 읽으면서 '왜 울까? 왜 슬플까? '라며 이야기 속 주인공의 감정에 대해 아이와 대화를 하는 반면, 정서지능이 보통인 아이의 엄마는 그저 책의 줄거리만 읽어줄 뿐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아이가 울 때도 대처하는 방식이 확연하게 달랐는데, 전자의 경우는 아이가 울 때 빨리 알아차리고 화났니? 슬펐니? 라고 감정에 동조를 먼저 하는 반면, 후자는 왜 울어, 왜 그래. 라고 아이의 감정은 무시하고 다그치는 것부터 하게 되는 것이다. 왜 이 방송이 생각이 났느냐 하면 이 책의 구성에서 엄마동화, 태교동화 뒤에 항상 '엄마의 생각보따리'라는 항목이 있다. 이야기의 주제에 대해 다시 한번 짚어주면서, 아이와 실제 대화하는 것처럼 쓰여져 있어 무엇보다 아이의 정서지능을 높일 수 있는데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주인공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나라면 어떻게 할 수 있는지 '공감'하고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의 정서지능을 높여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내가 어떤 엄마가 될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에게 보여지는 나의 모습이 멀지 않은 미래에 태어날 우리 아이의 모습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제 아이를 만나려면 두 달 남짓 남았는데 남은 기간 동안 이 책을 통해서 아이와 더 많이 교감하면서 소중한 시간을 보내고 싶다. 뱃속의 아이뿐만 아니라 엄마까지 배려해주는 책을 만나게 되어 감사하고,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