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유산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221
찰스 디킨스 지음, 류경희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한 유산은 에단 호크와 기네스 펠트로 주연의 98년작 영화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았었다. 당시 이 영화는 찰스 디킨스의 원작에 충실하기보다는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서 고전과는 또 다른 섬세하고 감각적인 영상을 보여주었었다. 분수대의 키스 장면은 오랫동안 명 장면으로 사랑 받았으며, 두 배우 역시 이 작품으로 한동안 화제가 되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 작품은 원작을 그대로 살려서 만들어진 버전도 있으며, 그 또한 원작만큼이나 매우 흥미롭다

 

 

어린 핍은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성질 사나운 누나와 인정 많은 대장장이 매형과 함께 살고 있다. 어느 날 그는 마을 묘지를 찾아갔다가 탈옥수와 만나게 되고 그는 핍을 협박해서 줄칼과 음식을 가져오라고 시킨다. 다음날 핍은 누나와 매형 몰래 줄칼과 음식물을 그에게 가져다 주지만, 한동안 죄인을 도와주었다는 죄책감에 시달린다. 그리고 어느 날 조의 숙부를 통해 거대한 부자인 미스 해비셤의 저택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그녀의 양녀인 에스텔라를 만나게 된다. 은둔 생활을 하고 있는 미스 해비셤의 놀이 상대를 해주며 핍은 에스텔라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쌀쌀맞은 소녀는 그의 신분을 무시하며 조롱한다.

 

그날은 내게 기억할 만한 날이었다. 내게 큰 변화를 만들어 준 날이었던 까닭이다. 그러나 그건 어떤 인생에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인생에서 하루를 선택하여 삭제한다고 상상해 보고, 그러고 난 후 그 인생행로가 얼마나 달라졌을지 생각해 보라. 이 글을 읽는 독자여, 글 읽기를 멈추고 쇠로 만들어졌건 황금으로 만들어졌건 가시로 만들어졌건 꽃으로 만들어졌건 간에, 당신을 얽어 매고 있는 긴 사슬이 만약 그 제일 첫 번째 연결 고리가 어떤 기억할 만한 날 맨 처음 만들어지지 않았더라면 결코 당신을 꽁꽁 얽어 매지 못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잠시 생각해보라.

 

 

자연스레 대장간에서 자라면서 자신도 조처럼 대장장이가 될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핍은, 미스 해비셤과 에스텔라를 만나면서 현재 자신의 처지에 조금씩 불만을 가지게 된다. 멋진 도시 신사가 되어 에스텔라 앞에서 당당하기를 꿈꾸게 된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는 재산을 물려줄 부모도, 스스로 자립을 할만한 그 어떤 배경도 없었기에 그것은 말 그대로 꿈에 불과했다.

 

"나는 이 친구가 엄청난 재산을 물려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려 주라는 지시를 받았소".

재거스 씨가 손가락으로 삐딱하게 나를 지목하며 말했다.

"나아가 이 친구가 즉시 현재의 삶의 영역과 이 집을 떠나서 신사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 한마디로 말해서 엄청난 재산을 상속받게 된 젊은이로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현재 그 재산을 소유한 분의 바람이오."

 

그런데.. 그러던 어느 날 밤 런던의 유명한 변호사가 그를 찾아오고, 그의 꿈이 실현되는 말도 안 되는 일이 발생한다. 터무니없던 그의 공상이 오히려 한술 더 떠 생생한 현실로 실현된 것이다. 그는 새롭게 전개될 앞날에 대한 희망에 부풀어 고향을 떠나게 된다

 

                

그곳에서 신사 교육을 받고, 비슷한 수준의 이들과 어울리면서 핍은 점점 변해간다. 자신이 사랑하던 조를 사교적으로 미숙하고 어리숙하다는 이유로 불편해하고 창피하게 여기며, 고향의 대장간에도 거의 가보지 않는다. 이제는 에스텔라에게 걸 맞는 위치가 되었다는 자각에 미스 해비셤이 그의 짝으로 자신을 위해 이런 혜택을 베풀었다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그는 런던의 상류층 속물 청년 들과 어울리며 점점 겉멋이 들어가고 향락과 소비에 찌든 그들과 비슷한 생활을 하기에 이르른다. 아무런 노력 없이, 대가 없이 갑자기 얻은 부와 행운에 현명하게 대처하기에는 핍이 너무 어렸던 탓도 있었겠지만, 누군들 그와 같은 입장에 있었다면 달랐을까 싶기도 하다. 그렇게 스물세 살이 된 핍에게 어느 날 거칠고 험상궂게 생긴 인물이 찾아오고, 그는 바로 어린 핍이 줄칼과 음식을 가져다 주었던 그 탈옥수이다. 그리고 그가 바로, 핍에게 막대한 유산을 물려준 당사자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핍은 미스 해비셤이 아니라 탈옥수 매그위치가 자신의 모든 꿈을 실현시켜주었다는 것을 깨닫자 좌절하고, 낙담한다. 탈옥수의 고된 노동에서 비롯된 유산과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가지고 태어난 부자의 유산은 애초에 성격부터 다른 것이니 말이다. 거기다 그는 에스텔라의 결혼 소식까지 접하게 되어 더욱 비참해진다.

 

, 사랑하는 내 단짝. 인생이란 너무나도 많은 부분들이 하나로 용접되어 결합된 구성물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대장장이, 어떤 사람은 양철공, 어떤 사람은 금세공업자, 어떤 사람은 구리 세공업자인 거야. 그런 식의 구분은 반드시 있기 마련이고 그런 게 생기면 반드시 만족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거란다.

 

세련된 도시 청년이 보기엔 평생을 대장장이로 일해온 조가 바보 같고, 어리숙해보일 수도 있지만, 그의 이 대사를 보면 삶에 대한 진실을 깨달을 수 있다. 세상에 귀하지 않은 직업은 없으며, 인간은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모두 주인공이니 말이다. 막대한 재산을 통해서 허울뿐인 가짜 신사가 되고 싶었던 핍은, 자신의 지난 날을 반성하고 진정한 신사로 거듭나게 된다. 순진무구했던 어린 핍이 엄청난 재산을 통해 타락을 하다가, 고난을 겪으며 다시 순수한 영혼을 되찾는 일종의 성장 소설인 이 작품은, 찰스 디킨스 특유의 주제 의식과 결합해 깊이 있는 스토리로 감동을 준다. 단순히 위대한 유산이 돈이 아니라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우리의 삶도 자신의 의지대로가 아니라 주어진 살고 있는 건 아닌지, 혹은 부모들의 유산대로 그 의지대로 사는 것이 아닌 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