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옥계곡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35
안드레아스 빙켈만 지음, 전은경 옮김 / 비채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을 끝까지 읽고 나니 이중에 과연 누가 악인인지, 대체 이들 중에 누가 더 나쁜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요시다 슈이치의 <악인>에도 비슷한 경우가 있었다. 아주 예쁘거나 매력이 있는 것도 아닌 평범한 여자 주인공. 그녀가 좋아했던 남자는 그녀를 무시하고 조롱하고, 업신여겼다. 그런 그녀를 짝사랑했던 또 다른 남자.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남자의 차에서 버려지는 여자를 걱정하며 다가가지만, 자신의 부끄러운 모습을 보인 그에게 여자는 엉뚱하게 화를 낸다. 그녀가 토해내는 악담과 분노에 순간적 감정으로 남자는 순전히 우발적으로 여자를 죽이게 된다. 자, 여기서 과연 누가 악인일까? 여자를 우발적으로 죽이고 만 그녀를 짝사랑하던 남자일까? 아니면 자신을 좋아하는 여자를 업신여기고, 산길 도로 한 복판에서 내쫓은 남자일까? 자신의 창피한 모습을 보인 것이 수치스러워 마음에도 없는 화풀이를 하며 악담을 하고 만 그녀일까? 물론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가장 나쁘지 않냐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애초에 산길 도로에서 자신을 좋아하는 여자를 무참하게 내팽개치지 않았다면, 수치심에 있지도 않는 일을 떠벌리며 악담을 퍼붓지 않았다면, 그 남자도 우발적으로 그녀의 목을 조르지 않았을지 모른다. 요시다 슈이치는 약자들을 이용해 돈을 뜯는 양아치들, 특종을 얻기 위해 가해자의 가족을 쫓아다니는 매스컴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방치하는 사회. 그 모두가 악인일 수 있다고 작품을 통해 이야기했었다. 안드레아스 빙켈만은 요시다 슈이치와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 내면에 숨어있는 악에 대해서 말한다.
사진 속 젊은이들은 지쳤지만 행복해 보였다. 서로 신뢰하는 친구들. 이 신뢰가 얼마 지나지 않아 깨질 거라는 조짐은 사진에서 전혀 알아챌 수 없었다. 그늘도, 구름도 없고 이상한 눈길도 없었다.
심리 스릴러의 제왕이라 불리는 안드레아스 빙켈만의 신작 <지옥계곡>에서도 우리는 유사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모두 다 악인이 될 수도, 모두다 선인이 될 수도 있는 그런 상황에서, 과연 누가 더 나쁜가.에 대한 윤리적인 질문을 던지게 되는 것이다. 겉으로는 행복해 보이는 다섯 명의 친구가 있다. 남자 셋, 여자 둘, 거기 두 커플이 있고, 그들 중 한 여자를 남몰래 짝사랑하는 남자가 있다. 어느 날 그들 다섯은 등반을 하기로 한다. 마라는 하필 전날 저녁 먹은 것이 체해서 등반을 포기하고, 비도 억수같이 퍼붓는 날씨였지만 오래 전부터 세운 계획이라 남자들은 올라가겠다고 말한다. 라우라는 마라를 혼자 두는 것이 신경 쓰였으나, 남자친구인 리키와 함께 싶어하는 눈치였고, 마라는 혼자 괜찮으니 등반을 하라고 말한다. 날씨가 나쁠 때는 위험한 코스인 지옥계곡으로 넷은 올라갔고, 혼자 여자인 라우라는 가는 도중에 완전히 기진맥진 지치고 만다. 혼자 돌아가겠다고 하지만 여자 혼자 내려가기엔 위험한 길이었는데, 마친 누군가 산을 타고 내려온다. 리키는 전혀 모르는 남자인 그에게 자신의 여자친구인 라우라를 같이 데리고 가달라고 맡기고, 남자들만 나머지 등반을 한다. 그리고 그날 이후 모든 것이 바뀐다. 산에서 내려온 뒤 라우라는 친구들에게서 입을 닫아버린다. 내려오는 동안 낯선 그 남자와 어떤 일이 있었던 건지 일체 말을 꺼내지 않으면서, 친구들과의 사이에 벽을 쌓아버린다.
마라는 리키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리키에게 감정이입 능력이 없다는 사실이야 이미 알고 있었지만, 정말 이 정도로 무감각하고 죄책감이라고는 전혀 못 느끼는 걸까?
"우리에게 보내는 신호라고, 이 빌어먹을 개 자식아. 자기를 버린 우리 모두에게! 우리는 가장 좋은 친구를 돕지 않았고, 덕분에 그 친구는 죽었어."
그렇게 절친이었던 친구들간의 관계는 서서히 멀어지고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갑작스럽게 라우라의 자살 소식을 듣게 된다. 그녀가 지옥계곡에서 자살하려던 순간, 그곳을 순찰 중이던 산악구조대원 로만에게 발견이 되지만, 도움을 주려던 그의 손길을 뿌리치고 라우라는 계곡 아래로 투신한다. 이야기는 이렇게 의문의 자살이라는 참혹한 결말에서 시작해서, 친구들 사이에서 어떤 일이 있었던 건지에 대한 과정을 역순으로 추적할 수 있게 진행이 된다. 피해자와 가해자, 관찰자의 시점을 오가며 빠르게 진행되는 이야기는 매 장면마다 긴박하고 섬뜩한 공포를 느끼게 만들어준다. 라우라는 왜 스스로 방어벽을 치고는 자신의 고민을 그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걸까? 이들이 정말 그녀의 친구였다면, 그대로 놔두면 안 되는 거 아니었을까? 부잣집에서 어려울 것 없이 자란 오만하고 이기적인 리키는 산과 날씨에 지지 않으려고, 전혀 모르는 남자에게 완전히 지친 자기 여자친구를 데리고 내려가달라고 떠넘겼었다. 당시에 라우라가 얼마나 상처를 받았을지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게다가 그녀의 자살 소식을 듣고도, 여전히 다른 여자를 만나고 다닌다.
스포일러가 될 수 있는 부분을 배제하고 언급하자면, 나는 사실 범인, 즉 가해자보다 더 나쁜 놈이 이 작품에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 그녀에게 나쁜 행동을 했지만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것이 정당화 될 수는 없으므로) , 사실 그녀가 죽음에 이르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다른 데 있었기 때문이다. 범인 덕분에 라이라의 평범한 일상이 험난한 지옥처럼 변해버리고 말았지만, 하지만 그때 누군가 그녀의 손을 잡아주었다면 그녀는 결코 지옥 계곡 아래로 투신하지 않았을 것이다. 심리적으로 벼랑 끝에 몰린 그녀를 등 떠민 것은 결국 가장 가까운 곳에 있던 친구 중의 하나였는지도 모른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죽는 그 순간까지도 라이라는 그 끔찍한 배신에 대해 전혀 짐작조차 하지 못했을 테지만.
이 작품은 <사라진 소녀들>과 <창백한 죽음>에 이은 안드레아스 빙켈만의 세 번째 국내 출간 작이다. <사라진 소녀들>에서는 시각장애인 소녀의 실종사건을 통해 인간의 사악한 본능에 대해 그렸었고, <창백한 죽음>에서는 소시오 패스의 실체를 생생히 추적해서 수사하는 것을 보여주었었다. 두 작품 모두 겉으로는 평범하지만 그 가면 뒤에 숨어 있는 인간의 내면을 집중적으로 묘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아마도 그래서 그를 심리 스릴러의 제왕이라 칭할 것이다. 우리가 도덕성이라고 부르는 그것이 얼마나 나약한 토대 위에 세워진 모래성 같은 것인지,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일상 속의 지옥으로 당신을 초대한다.
자, 이제 스타트랙 다크니스의 '베네딕트 컴버배치' 톤으로 “shall we begin?” 이라고 당신에게 말을 건네보고 싶다. 한번 시작하면 다시는 전과 같아질 수 없다. 이 작품을 읽고 나면 당신 주변의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다는 걸 깨닫 될 테니 말이다 내 가장 가까이 있는 그 사람도 결국에는 타인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