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넛을 나누는 기분 (시절 시집 에디션)
김소형 외 지음 / 창비교육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한 권의 책이 입을 열어/열 개의 이야기를 듣게 되면/백 사람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다는 것//우리는 각자의 반에서 가장 말이 없지만/누구보다 빼곡한 문장이 머릿속에 출렁이고 있지/어디서든 생각에 잠겨 그 속을 유영할 수 있지//뒷자리의 누군가가 네 등을 두드리며/무슨 생각 해? 하고 물어 온다면//한 권의 근사한 책처럼/닫혀 있던 마음을 펼쳐/네가 가진 이야기를 들려줄 수도 있겠지
- 조온윤, '도서부의 즐거움' 중에서, p.42~43
황인찬, 박소란, 양안다, 박준, 유희경 등 자신만의 고유하고 개성 넘치는 시 세계를 구축한 20명의 젊은 시인들이 저마다의 10대 시절을 추억하며 쓴 창작 시 60편을 모은 시집이다. 스무 명의 시인들은 각각 세 편씩의 시와 시작 노트를 수록했다. 시작노트에는 작품을 쓰면서 어떤 고민을 했고 어떤 마음으로 접근했는지에 대해서, 그리고 자신의 청소년기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렇게 모인 예순 편의 시들은 시 초심자를 위한 일종의 초대장이기도 하다.
시가 뭔지 잘 모르겠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어 어렵게만 느껴졌었다면 이번 기회에 시의 매력을 조금씩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 책은 지난 10년간 출간되어온 ‘창비청소년시선’의 50번 시집 출간을 기념한 것이기도 하다. 시는 학창 시절에 자주 썼던 편지에서, 그 시절을 위로해주던 책과 만화로부터, 이곳 저곳에 붙였던 귀여운 스티커와 어느 소풍날의 기억으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커다란 일이 시작되고, 보이지 않는 것에 가 닿으려고 노력하는 것'에서 인생에 무늬가 생긴다. 볼 수 없는 것을 함께 돌아보자는 약속처럼 시를 써 왔다는 시인의 말이 선물처럼 느껴졌다.

잊은 음악을 듣는다/언제 잊었는지 모를 음악//유난히 머리가 가볍다 생각했더니/거리의 풍경이 텅 비어 있었다//여름의 과실이 굴러간다/어차피 다음 계절까지는 못 버텼을 살구들//진득하게 물러 버린 달콤함이/굴러간다//사라지고 치이고/조금씩 드러나는 불온한 감정들//아이들이 듣는 소리를/어른들은 못 듣는다 한다//... 음과 음 사이 솟은 돌멩이를/툭툭 차며//학교에 간다//속수무책/너를 믿고 싶은 풍경이 펼쳐진다 -김소형, '쉿, 비밀인데' 중에서, p.182~185
오랫동안 어린이는 ‘동시’로 시를 향유한 것에 반해, 청소년은 교과서에 실린 정전, 그것도 그들의 삶과 감각에 맞지 않은 어른의 시를 읽어야 했다. ‘창비청소년시선’은 청소년도 동시대의 좋은 시를 읽고 즐겨야 한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지난 10년간 ‘창비청소년시선’은 대부분의 시집이 올해의 청소년 도서, 문학나눔 등에 선정되었으며, 2025년부터는 중1 새 교과서에만 7편의 작품이 실리기도 했으니 엄청난 성과다. 다시 또 10년, 20년 이어지며 청소년들을 위한 좋은 시들을 만날 수 있따면 좋을 것 같다.
임경섭 시인은 이 책에 실린 시작 노트에서 이렇게 썼다. '초등학생 때의 나, 중학생 때의 나, 고등학생 때의 나. 각 학년마다, 각 학기마다, 그리고 각각의 계절마다, 심지어는 어떤 날들의 아침과 저녁마다... 전혀 다른 내가 거기마다 서 있다'고. 그때그때의 내가, 너무나 많은 내가 모여 지금의 나로 살아가고 있다'고 말이다. '나'라는 존재가 내가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는 말이 너무 와닿아서 밑줄을 긋고 여러번 읽어 보았다. 지금의 내가 겪은 시간들이 미래의 내 일부분이 되고, 내가 생각하고, 경험한 것들이 쌓여서 미래의 나를 만들어 간다면, 지금 현재를 더욱 소중히, 즐기며 살아야겠다고 생각해 본다. 도서 구매 시, '시절 시집 필사 노트'도 받을 수 있으니, 책에 수록된 시들을 직접 써보면서 천천히 느껴보면 좋을 것 같다. 시를 쓰고, 읽고, 나눈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해준 예쁜 책이었다. 아직은 시가 낯선 청소년들에게, 그리고 여전히 시가 어려운 어른들에게도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어둡고, 외롭고, 서글픈 나날에 이 책이 위로가 되어주길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