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오리배 - 우리의 긴 이야기
이주희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0/pimg_7694311454321700.jpeg)
매일 반복되는 하루, 수없이 마주하는 익숙한 풍경 속에서 벗어나고픈 마음이 들 때가 있다. 유난히 힘들고 지겹게 느껴지는 어느 날, 익숙한 길을 벗어나 마음이 이끄는 대로 가본 것이다. 그곳에서 '나'는 '너'를 만난다. 퇴근하는 버스 창 밖으로 스치는 풍경을 보다가,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가다 같은 풍경을 보고서 말이다. 한강, 오리배 타는 곳에서 그렇게 '나'와 '너'가 마주하게 된다.
세상에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 중에, 너와 내가 하필 그날 그곳에서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애초에 누군가 그랬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사랑하게 되는 일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라고. 이 작품은 바로 그 마법같은 순간을 사랑스럽고, 엉뚱한 상상 속 세계로 펼쳐 보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0/pimg_7694311454321701.jpeg)
우연히 만난 두 사람이 서로를 꼭 닮은 캐릭터로 변신해 나란히 오리배에 올라타면, 책 속의 책이 펼쳐진다. 두 사람은 매일매일 만나 함께 시간을 보낸다. 그럼에도 매일 서로를 생각한다. 아침에 머리를 감을 때나, 거리에서 상대가 좋아하는 노래가 흘러나올 때, 퇴근 길 지하철에서, 잠이 들 때까지 서로를 생각한다. 사랑에 빠지면 모든 순간에서 상대의 모습을 바라보게 되니 말이다. 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일도, 네가 좋아하니까 같이 하고 싶고, 이해하지 못하는 것도 공감하고 싶어지는 것이 바로 사랑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0/pimg_7694311454321702.jpeg)
물론 매일이 좋기만 할 수는 없다. 다투기도 하고, 서운해하기도 하며, 오해가 쌓이고, 외로워지는 순간도 분명 생긴다. 하지만 그 모든 순간조차 차곡차곡 쌓여서 각자의 이야기가 만들어 진다. 재미있는 것은 이 이야기가 꼭 연인들의 사랑에 한정되어 있는 건 아니라는 거다. 부모와 자식 사이의 사랑이 될 수도 있고, 친구 사이의 우정이 될 수도 있고, 그 밖에 우리가 사랑을 주는 그 어떤 대상과의 이야기도 될 수 있다.
책장 가득 놓여진 책들 사이에서 우리의 이야기는 어떤 이야기가 될지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오리의 탄생과 죽음>, <슈퍼히어로 오리봇>, <오리오와 줄리엣> 등 귀여운 제목들도 눈에 띈다. 알을 깨고 나오는 순간부터 시작되는 기나긴 일대기일수도, 사악한 악당이 등장하는 액션 활극일지도, 혹은 시간이 지나도 영원한 고전소설처럼 자꾸자꾸 읽고 싶은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10/pimg_7694311454321703.jpeg)
다양한 동화책 속 그림으로 만났던 이주희 작가는 매일을 그림 한 컷으로 남기는 작업을 10년 넘게 계속해 오고 있다고 한다. 그렇게 차곡차곡 그림으로 완성한 너와 나의 하루가 99장 모였을 때, 이 작품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오랜 시간 쌓아온 진심이 느껴지는 예쁜 작품이 만들어 진 것 같다. 나와 너는 선인장과 외계인이라는 캐릭터로 형상화하고, 둥글고 단단한 오리배는 그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세계의 모습을 상징한다. 사계절을 함께 보내고, 야구장에 가고, 바닷가로 여행을 떠나고, 낚시를 즐기고, 책방에서, 공원에서.. 그렇게 매일을 만난 두 사람. 함께라면 뭐든 될 수 있고, 어디로든 갈 수 있다고 생각했던 그 시간들이 아기자기하고, 귀엽게 그려져 있다. 이 책을 통해 연인, 가족, 친구, 반려동물 등 곁의 소중한 누군가를 떠올려 보면 어떨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