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
아이사카 토마 지음, 이소담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기까지 생각이 미친 세라피마의 등줄기에 오싹하게 차가운 기운이 내달렸다. 이리나가 말을 걸어 모아 온 소녀는 전부 고아들이다. 아무리 비슷한 처지의 아이가 많은 시절이라곤 해도 이게 우연일 리 없다. 죽어도 슬퍼할 자가 아무도 없는 고아를 저격병으로 키운다는 발상. 즉, 아무런 거리낌 없이 자신의 '사병死兵'을 키우겠다는 발상 아닌가. 세라피마는 머릿속에 떠오른 잔혹한 발상에 '설마 그럴 리가' 하는 마음을 품었다. 그러나 이리나에게서는 그런 인상을 씻어줄 구석을 찾을 수 없었다. 싸울 것인가, 죽을 것인가. 이리나의 가치 기준은 오로지 그것이다.                 p.84

 

1942년 2월, 초목이 움트는 향기와 물레방아가 돌아가고, 장작 패는 소리가 들리는 소소한 활기로 가득한 작은 농촌 마을. 이바노프스카야는 주민 수가 고작 마흔에 불과한 마을이다. 엄마와 단 둘이 사는 열여섯 소녀 세라피마는 단발식 소총을 거머쥐고 사슴을 사냥하는 중이다. 그녀는 고등교육 과정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가을이 되면 모스크바 대학에 입학할 예정이었다. 전쟁 중이었지만 마을이 위치가 중계 지점이었기에, 사람들은 멀리서 울리는 포성을 들으면서도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날, 엄마와 사냥을 마치고 마을로 향했을 때 그 모든 평화가 사라지고 만다. 마을을 급습한 독일군에 의해 엄마와 마을 사람들 전부가 사살되고, 뒤늦게 나타난 붉은 군대 덕분에 세라피마만 겨우 목숨을 건진다. 저격병 출신의 지휘관 아리나는 세라피마에게 '싸우고 싶은가, 죽고 싶은가.' 질문을 건네고, 자의반 타의반으로 그녀는 저격병이 되어 복수를 꿈꾸게 된다.

 

세라피마는 이리나가 교관으로 있는 여성 저격병 훈련학교에서 자신과 같은 처지의 소녀들과 만난다. 모두 적에 의해 가족을 잃었고, 고향을 잃었고, 이리나가 제시한 싸움과 죽음의 선택지 사이에서 싸우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 그들은 그곳에서 혹독하고, 엄격한 훈련을 받으며 점차 어엿한 저격병으로 거듭나게 된다. 매일 욕설을 듣고 철두철미한 훈련을 주입 받다 보니 적에 대한 결의만이 단단해졌고, 이탈할 생각할 여유 조차 전혀 없었다. 그 속에서 소녀들은 뜨거운 전우애를 나누며, 서로를 의지하고 마음을 다진다. 그리고 같은 소대가 될 학생들과 동료들, 능욕당하고 살해당하는 여성들이 더 이상 없도록 그들을 지키고 싶다는 감정을 느끼게 된다. 세라피마가 소속된 저격소대는 드디어 임무를 받고 스탈린그라드라는 도시로 향한다. 그곳은 소련 병사의 평균 생존시간이 24시간에, 7초마다 한 명의 독일 병사가 죽어나간다는 격전지였다. 세라피마는 저격병으로서 전쟁의 끔찍함을 어떻게 이겨내고, 겪어 낼 것인가. 저격병이 되기로 결의했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을까.

 

 

 

나는 붉은 군대 병사다. 나는 나치에게 복수하기 위해 싸웠다. 나는 무엇을 위해 여기에 왔는가.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 대답해라.
저는 여성을 지키기 위해 싸웁니다.
그래, 나는 여성을 지키기 위해 여기까지 왔다. 야나는 모르는 독일인 소년을 지켜냈다.
여성을 지키기 위해 싸워라, 세라피마 동지. 망설이지 말고 적을 죽여라.
하지만 나는 너처럼은 되지 않아. 너처럼 비겁하게 행동하지 않아. 나는, 내가 옳다고 믿는 사람의 도리를 행할 거야.              p.497

 

지금 일본 문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신인 아이사카 토마의 데뷔작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땅에서 80년 전에 벌어졌던 독소전쟁을 소재로 하는 전쟁소설이자 반전소설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 3개월 전에 출간되었다. 아마추어로 소설을 쓰던 작가가 현실에서 벌어질 참혹한 전쟁을 예상했던 것은 아니었지만, 공교롭게도 그로 인해 시의성 있게 주목받게 된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과거를 돌아보고, 현실의 전쟁을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전쟁은 소박하고 평범한 일상 속 풍경들을 산산이 부순다. 공원에서 순진무구하게 노는 아이들, 아무런 격식 없이 다정하게 웃는 연인들의 모습이 사라지고, 도시 전체가 불타 무너지고 파괴되는 것이다. 아이들은 천진난만하게 노는 모습 그대로 죽어서 절대로 어른이 되지 못한다. 그렇게 폐허에 둘러싸여 꿈도 희망도 사라지게 만드는 것이 전쟁의 참상이다.

 

'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국가 중 소련만이 그 많은 여군을 전투병으로 동원하였는가'라는 의문을 오래 전부터 가졌던 작가는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읽고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전쟁을 그린 이 작품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이 작품 속 여성들은 저격병으로 교육받으면서, 전장에 나가 싸우면서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묻는다.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 무엇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지. 바로 그 점이 여타의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과의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핑계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어떤 상황이 닥쳐도 신념을 굽히지 않는, 절대로 해선 안 되는 일을 지키며 어긋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는 것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는 한해 전쟁으로 24만 명이 죽어나가는 폭력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 우리가 이 작품을 읽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