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증언 - 미제 사건부터 의문사까지, 참사부터 사형까지 세계적 법의인류학자가 밝혀낸 뼈가 말하는 죽음들
수 블랙 지음, 조진경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의인류학자는 뼈의 주인을 평가하고, 배제하며, 확인하는 엄격한 과정을 따라야 한다. 경험과 진솔한 학문적 토론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아하! 내 생각이 틀리지 않다면 말이네, 왓슨, 이것은 다리를 저는 23세 여성의 제3등뼈의 왼쪽 상판 관절면 조각일세!' 슬프게도 뼛조각을 들고 이렇게 외치는 셜록 홈즈를 항상 불러낼 수는 없다. 이것은 1000피스 직소 퍼즐 중 한 조각을 갖고 있는 것과 같다. 해부학적으로 똑같은 퍼즐 조각이 두 개는 없기 때문이다. 가장자리의 조각인가? 패턴이 보이는가? 그 패턴이 있는 위치가 한 곳 이상인가?       p.47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교외의 숲속 빈터에서 사이클을 타던 사람이 잠시 쉬던 중에 무심코 자신의 발을 내려다보다 땅에서 자신을 올려다보는 얼굴을 보게 된다. 놀라서 뒷걸음쳤다가 자신이 본 것이 얼굴이 아니라 그냥 나무뿌리일 것이라고 생각하며 다시 봤지만 역시 얼굴이 맞았다. 그렇게 그는 우연히 목과 손발이 잘린 여성의 시신이 숨겨진 얕은 무덤을 발견하게 된다. 유해 분석을 통해 피해자의 나이, 성별, 키, 둔기에 의한 외상, 목 졸림이 확인되었고, 신원 확인을 위해 컴퓨터를 이용해 초상화를 제작했다. 두개골 CT 영상 위에 근육과 연조직을 하나씩 겹쳤고, 뼈대 위에 피부를 덧씌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사실적이고 인상적인 초상화를 제작했다.

 

그 이미지는 아일랜드 전역에 배포되었고, 실제로 피해자의 가족이 뉴스를 통해 복원된 얼굴을 보고 스코틀랜드 경찰에 연락했다. 피해자는 아들을 보러 에든버러에 왔다가 살해되었고, 아들이 모친 살해 혐의로 체포된다. 이는 뼈를 통해 얼굴을 복원해 내는 기술로 사건을 해결했던 많은 사례 중 하나이다. 어떻게 두개골 만으로 얼굴을 복원해낼 수 있는 것인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이 책은 법의학 선진국인 영국에서도 최고로 손꼽히는 세계적인 법의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 수 블랙이 밝혀낸 뼈에 기록된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법의인류학이란 의료법적 목적을 위해 인간 또는 인간의 유골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고학, 인류학, 법의학 등 다양한 지식을 응용해서 뼈를 분석한다. 법의학자가 주로 시체에서 사망 원인을 찾는다면 법의인류학자는 뼈를 분석해 유골의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고, 사망의 종류와 원인을 관찰해낸다. 이 책에서 저자는 현실에서 적용되는 해부학과 법의인류학의 렌즈를 통해 인체를 크게 머리, 몸통, 사지로 나뉘고, 세분화해 뇌, 얼굴, 척추, 가슴, 목, 손, 발 등으로 구분해 살펴본다.

 

 

 

법의인류학은 그런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을 주어 범죄자를 재판에 회부할 수 있다. 나는 우리가 하는 일 때문에 범죄자들이 더 용의주도해지지 않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데, 내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인체 해부학에서 피해자의 신원확인이나 범죄자 기소, 결백한 사람의 면죄를 위해 가치 없는 부분은 없다고 굳게 믿고 있다. 우리의 일은 뼈에서 알아낼 수 있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법과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우리 몸에서 밝혀낼 수 있는 증거도 증가할 것이다.            p.327

 

자신의 집에서 태아나 신생아의 유해가 발견된다면 큰 충격일 수 있다. 스코틀랜드 섬의 외딴 지역에서 어느 부부가 작은 농장이 딸린 오래된 농가를 구입했다. 이 부부는 집을 대대적으로 개조하면서 마룻바닥을 뜯었는데, 흙으로 된 토대 아래에서 뼈를 발견한다. 이 섬에는 오래된 매장지와 유물이 풍부한 유적지가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근처 유적지에서 일하는 고고학자들에게 조사를 부탁한다. 아주 작은 그 뼈들은 동물의 것도 있었지만, 불행히도 사람의 뼈도 있었다. 그래서 경찰을 부르게 된다. 조사 결과 그 뼈들은 최소 세 명의 아기의 유골이었다. 신생아의 뼈는 300개가 넘는데, 발견된 것은 그 중 2퍼센트 정도에 불과했다. 뼈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으로 아주 오래되었을 것으로 보였고, 그에 얽힌 이야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갔다. 이렇듯 뼈는 살아 있을 때와 세상을 떠난 뒤에 겪은 일을 모두 담고 있다. 그러니 뼈는 망자의 세계와 현실 세계를 잇는 다리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 책에는 수많은 범죄 사례들이 수록되어 있다. 언제 사망했는지도 모르는 채 발견된 시신을 비롯해서 대규모 참사나 테러로 인한 시신 등 실제 사례들을 바탕으로 쓰인 그만큼 놀랍고 생생하다. 저자는 범죄소설 작가들에게 이런 말을 자주한다고 한다. 우리가 현실에서 접하는 사건들을 글로 쓴다면 아무도 믿지 않을 것이고, 그 내용은 터무니없고 말도 안 되는 것으로 치부될 것이라고 말이다. 현실이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일이 비일비재한 하다는 뜻이다. 법의인류학자들은 억울하게 잊히는 죽음이 없도록 지금도 사건 현장에서 묵묵히 진상을 밝혀나가고 있다. 뼈, 근육, 피부, 힘줄, 섬유 조직에 상세히 기록된 이야기를 찾아서 이해하고, 슬픈 사건으로 최후를 맞이한 시신들을 가족들에게 돌려보내 시신과 그의 이야기가 영면하도록 연결시키는 다리가 되어 준다. 뼈를 통해 사건을 하나씩 해결해나가는 범죄과학 수사의 세계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만나 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