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가 일 잘하는 법 - 선배도, 상사도, 회사도 알려주지 않은
피터(Peter) 지음 / 와이즈베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고의 프레임은 커뮤니케이션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기간에 자신의 생각대로 조직의 아젠다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내게 유리한 판으로 동료들의 동의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기획자가 좋은 성과를 내는 주요 방법인 회사의 판을 읽는 것, 시장을 분석하는 것, 숫자로 말하는 것, 피드백을 잘하는 것 모두 커뮤니케이션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밑바탕에는 사고의 프레임이 깔려 있습니다. 사고의 프레임은 바로 경영 이론들입니다.         p.26~27

 

직장 생활을 오래할 수록 누구나 체감하는 것이 있다. 열심히 일하는 것보다 잘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일을 열심히만 하는 사람과 승진을 잘하는 사람이 다르다는 말과도 같다. 예를 들어 팀의 구성원으로 일을 할 때와 팀을 이끄는 팀장으로 일을 할 때 확연히 느낄 수 있는데, 일을 마냥 성실히 하는 게 아니라 어느 판 위에서 하는지에 따라서 그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가.

 

이 책은 '적게 일하고도 탁월한 성과를 만드는 비결'에 대해 알려 준다. 저자는 13년째 소비재 기업에서 전략기획을 담당하고 있다.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며 깨달은 점과 직장생활의 현실에 대한 내용을 6년 동안 카카오 브런치에 연재하며, 누적 250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수많은 직장인의 랜선 멘토가 되었다. 그 동안 받은 질문들을 바탕으로 실제 기획 일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을 이 책에 담았다. 단번에 통과하는 보고서 쓰는 법, 빠르게 일을 추진하는 법, 데이터 활용법, 기획자의 공부법 등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가득해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

 

 

 

당신은 오늘 새 회사에 입사했습니다. 처음으로 책상에 앉아 심호흡을 하고 많은 자료를 둘러봅니다. 회사의 비전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정리되어 있다면 그것부터 고민하겠지만 없다면 당장의 계획을 보는 게 순서일 겁니다. 하지만 그마저도 문서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어떻게 회사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까요? 회사의 팩트를 보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숫자'를 보는 것입니다. 전략기획이든 경영기획이든 상품기획이든 영업기획이든 출발은 방금 지나간 시간에 발생한 실적의 흐름입니다.      p.187

 

'기획'이란 무엇일가. 경영기획, 전략기획, 마케팅기획, 영업기획, 상품기획, 서비스기획 등등.. 기획이라는 단어가 붙는 직무명도 꽤 많다. 기업에서 기획은 조직관리에 쓰는 용어로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총괄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니 어느 직무를 '기획' 앞에 갖다 붙여도 말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기획스럽게' 일하는 방식에 대해서 말한다. 어떤 부서에서 일하든 기획스럽게 일하는 것이 조직에서 인정받는 일을 잘하는 방법이라고 말이다. 탁월한 기획자는 회사가 돌아가는 판을 잘 읽고, 논리적인 사고로 시장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숫자로 말하고, 정확한 피드백을 통해 다음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주변에서 일을 잘한다는 평가를 받는 사람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무에서 유를 만드는 기획은 신입뿐 아니라 연차가 쌓인 기획자도 부담감을 느끼는 업무다. ‘어떻게, 어디서부터 시작하지?’ 하는 막막함에 하염없이 시간과 씨름하는 일이 잦을 수밖에 없다. 이 책은 일 잘하는 사람만 아는 '사고의 프레임'을 제시한다. 회사의 판을 읽는 눈, 논리적 사고, 시장을 분석하는 기술, 그리고 숫자로 말하는 프로세스가 4가지 전략기획 프레임이다. 기획자의 첫 번째 타깃은 고객 이전에 상사와 회사이고, 무에서 유를 만드는 것은 과거의 유를 보는 것에서 출발해야 하며, 고객 조사부터 자료 해석까지 시장을 읽는 사람이 리더가 된다는 것, 마지막으로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도 숫자가 없으면 팥 없는 붕어빵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어떤 프레임을 갖고 일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행동과 숫자의 결과가 달라진다면,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적게 일하고도 탁월한 성과를 만드는 비결이 궁금하다면, 시간과 아이디어는 비례하지 않고, 모든 노력 역시 성과로 변환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좌절한 적이 있다면, 이 책을 만나 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