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차별 살인법
저우둥 지음, 이연희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묻겠어. 왜 아이를 죽였지?"
"별거 없어요. 감옥에 갇히고 싶었어요, 평생."
천원칭이 가볍게 대답했다. 하지만 다이화는 여전히 믿을 수 없어 계속해서 물었다.
"교도소에 들어가고 싶어서... 아이를 죽였다고? 그런 거야?"
"네."
"왜 교도소에 갇히고 싶은데?"
"공짜 콩밥을 먹으려고요, 평생."          p.53

 

초등학교 5학년 남자아이가 오락실에서 살해된 채 발견된다. 어지간한 원한이 없이는 어린아이를 이렇게 잔인하게 살해할 리 없다고 판단한 경찰의 예상과는 달리, 검거된 범인의 입에서 흘러나온 말은 당황스럽다. 자신이 죽인 아이의 이름도 몰랐고, 그저 감옥에 갇히고 싶어 아무나 죽였다는 거였다. 범인은 일자리를 찾아도 금방 잘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하도 돈을 빌려서 이제 더 이상 빌릴 데도 없고, 그래서 평생 공짜 콩밥이나 먹겠다고 덤덤하고 단조로운 말투로 대답한다. 만약 아무나 죽여도 상관없었다면, 화장실에서 비참하게 죽은 아이의 미래는 누가 보상할 수 있는가. 이런 살인범의 동기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피해자 부모는 자식이 죽어야 했던 이유를, 그 슬픔을 감내할 수 있을까?

 

 

이유도 없고, 동기도 없는 무차별 살인, 묻지마 범죄는 이해할 수 없음으로 인해 피해자를 더 고통스럽게 만든다. 왜 그런 일을 당해야 했는지, 왜 헤어나올 수 없는 아픔을 겪어야 했는지 그 이유를 알수 없기 때문에 마음속 응어리가 되어 사라지지 않는다. 실제 현실에서도 불특정 다수를 향한 묻지마 범죄는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 강남역 부근에서 일어난 살인사건, 서울역 근처에서 발생한 폭행사건 모두 묻지마 범죄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정말 두려운 것은 바로 이런 납득할 수 없는 죽음일 것이다. 누가 대상이 되어도 상관없는, 아무런 이유 없이 벌어질 수 있는 일이니 말이다. 이 작품은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사회에서 배척당한 실직 남성이 일면식도 없는 어린아이를 살해하는 사건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작가인 저우둥은 질문을 던진다. 피해자의 억울함을 씻어줄 방법은 과연 사형 뿐인가. 범인이 사라지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정의가 구현되는 것인가.

 

 

다이화는 리팡의 죽음과 관련해 살인범 주젠쭝 씨에게 분명 범죄 동기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사람은 아무 이유 없이 사람을 죽일 리 없다. 복수를 위해서 혹은 돈이나 치정 때문이다. 범인은 구치소에서 목을 매고 죽었다. 이제 아무도 그가 리팡을 플랫폼 아래로 민 이유를 알 수 없게 됐다. 다이화는 이해할 수 없었고, 심지어 분노했다. 윈즈는 왜 그런 인간을 변호하는 걸까? 리팡이 어떻게 죽었는지 벌써 잊었단 말인가?    p..320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타이완의 작가 저우둥은 이 작품을 쓰기 위해 타이완에서 발생한 역대 무차별 살인 사건 관련 보도를 조사하고 전문가들의 해석을 분석했다. 그래서인지 단순히 스릴이나 재미적인 요소보다는 묻지 마 범죄의 동기와 배경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엿보이는 작품이었다. 특히나 묻지마 범죄의 살인자를 변호하게 된 윈즈라는 인물이, 과거 무차별 살인 사건으로 사랑하는 아내를 잃었던 적이 있는 피해자의 가족이라는 점이 아이러니하면서도 인상적이었다. 윈즈는 그 일을 어렵게 맡기로 하면서 결심한다. 그의 죗값을 조금도 줄여 줄 마음이 없다고, 그의 곁에서 살인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 묻지 마 살인의 발생 원인과 재발 방지 방법을 연구해 보겠다고. 한 인간이 살인범이 되고, 알 수 없는 이유로 어린아이를 죽이고, 그걸로 콩밥을 먹겠다고 마음먹은 것에는 분명 어떤 배경이 있을 거라고 말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여론은 들끓고, 살인자의 정신 상태는 점점 이상해지고, 급기야 2심 때 법정에서 갑자기 진술을 바꿔 사형을 요구하기 시작한다.

 

이 작품이 흥미로웠던 지점은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가해자 가족, 피해자 가족 등 각자의 입장에서 그들의 심리를 그려내고 있다는 거였다. 물론 무차별 살인 사건의 피해자 가족이 또 다른 무차별 살인 사건의 범인을 변호한다는 설정이 쉽게 공감이 될 수는 없었지만, 바로 그 부분으로 인해 이 작품이 특별해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무차별 살인범의 심리를 연구해 또 다른 피해자의 발생을 막겠다는 주인공의 결심이 작가가 이 작품을 구상하고 그려내게 된 동기이기도 할 테니 말이다. 살인범을 교도소에 가두기만 하면, 사회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안전을 장담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이 무섭고, 슬프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이런 작품들이 현실에 던지는 질문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