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부작 - 잠 못 드는 사람들 / 올라브의 꿈 / 해질 무렵
욘 포세 지음, 홍재웅 옮김 / 새움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운명이 어디에서 오는가 하면, 나는 슬픔이라고, 무언가에 대한 슬픔이거나 아니면 그냥 슬픔이라고 답할 게다, 음악 속에서 그 슬픔은 가벼워질 수 있고 떠오를 수 있게 되는 거고 그 떠오름은 행복과 기쁨이 될 수 있어, 그래서 음악이 필요한 것이고, 그래서 나는 연주를 해야만 하는 거지,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겐 이 슬픔의 무언가가 남아 있는데 그게 수많은 사람들이 연주를 듣는 걸 즐기는 이유야, 음악이 그들의 삶을 들어 올리고 고양시켜 주거든,     p.49

이야기는 17세 두 연인이 머물 곳을 찾아 헤매는 것으로 시작한다. 연주자인 아슬레와 현재 임신한 상태인 알리다는 몇 시간이나 거리들을 돌아다니고 있지만, 그 어디서도 방을 빌린다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들이 아직 결혼을 치를 요건이 되지 않는 어린 나이 아직은 떳떳하지 못한 관계로 보여서 일수도, 혹은 알리다가 만삭이라 언제 출산을 하게 될지 알 수 없어서 일지도 모른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이미 날이 저물고 있었다. 늦가을이고, 어둡고, 춥고, 곧 비도 내리기 시작할 것 같았다. 그들은 우여곡절 끝에 겨우 어느 집에 들어가게 되고, 알리다는 그곳에서 아기 시그발을 낳는다. 1 <잠 못 드는 사람들>은 그렇게 아기의 탄생에 이르는 과정으로 끝이 나고, 2 <올라브의 꿈>이 시작된다.

아슬레는 이제 올라브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살고 있었고, 반지를 사기 위해 도시를 헤맨다. 그러다 자신을 아슬레라고 부르는 어딘가 낯설지 않은 노인을 만나게 된다. 노인은 한 남자와 어떤 여인이 죽은 채 발견되었고, 그 후로 딸이 자취를 감추고, 한 늙은 산파 여인이 사라졌다는 이야기를 꺼낸다. 그렇게 과거는 결코 사라지지 않고 올라브의 발목을 잡는다. 누구나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책임을 져야 하는 법, 모든 것은 결국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3 <해질 무렵>에서는 시간이 꽤 흘러 아슬레가 곁에 없는 알리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알리다와 아이는 여전히 살 곳이 없어 거리에서 지내는 중이었고, 제대로 먹지 못해 무척 야윈 상태였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을 알아보는 오래전 동네 어른을 만나 아슬레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전해 듣는다. 그러나 알리다는 자신과 아슬레가 여전히 서로 함께 한다고, 자신은 그 안에 있고, 그는 자신 안에 있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존재하고 있어, 앞으로도 늘 그럴 거야, 그럼에도 그녀는 아이와 함께 살아 가야만 한다.

너 거기 있구나, 우리 착한 아기, 넌 세상에서 가장 착한 아기야, 너 거기 있고, 나 여기 있지, 여기 반짝, 저기 반짝, 겁내지 말렴, 우리 아기, 우리 소중한 아기, 그러자 아슬레는 푸르게 반짝이는 피오르 위로 떠오른다 그리고 알리다가 잘 자라 우리 아기, 너는 그저 떠오르고, 너는 그저 살아가고, 너는 그저 연주하렴, 우리 착한 아기, 라고 말하자 그는 푸르게 반짝이는 피오르를 넘어 높이 푸른 하늘로 떠오른다, 그리고 알리다가 아슬레의 손을 잡고 그는 일어서서 알리다의 손을 잡는다    p.187

욘 포세의 작품을 처음 만난 건 얼마 전 출간되었던 <아침 그리고 저녁>이었다. 고독하고 황량한 피오르를 배경으로 평범한 어부가 태어나고 또 죽음을 향해 다가가는 과정을 꾸밈없이 담담하게 이야기했던 그 작품이 너무도 인상적이었다. 별다른 사건이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등장 인물이 많은 것도 아니며, 화려한 미사여구로 치장한 이야기도 아닌데 이상하게 시종일관 눈을 뗄 수가 없는 마법 같은 작품이었으니 말이다. 이번에 만난 작품은 전작에 비해 최근에 발표된 이야기들이다. 「잠 못 드는 사람들Andvake(2007)과 「올라브의 꿈Olavs draumar(2012) 그리고 「해질 무렵Kveldsvævd(2014) 세 편의 중편 연작을 한 권의 책으로 묶은 것으로 2015년 북유럽 문학 최고의 영예인 북유럽 이사회 문학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3부작>은 세상에 머물 자리가 없는 연인과 그들 사이에 태어난 한 아이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세 작품 모두 줄거리 자체는 간단하고, 분량도 길지 않지만 사실 읽기는 만만치 않다. 마침표와 구두점 없이 쉼표로만 이어진 텍스트는 작품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덩어리로 보이게 하고, 반복되어 사용되는 어휘와 구절은 소설을 자유시나 음악처럼 읽히게 만들고 있으니 말이다. 이는 작가의 독특한 글쓰기 방식에서 비롯되는 것인데, 욘 포세는 일찍이 음악 활동을 했었고, 음악을 그만두고 글쓰기를 시작하면서 음악의 형식을 글쓰기에 적용했다고 한다. 그로 인해 고유한 구조와 수많은 반복을 지니게 되었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구를 반복하고 그 리듬을 살리는 수사법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번 작품에서도 역시나 최소한의 인물과 최소한의 대사로 구현되는 이야기이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여러 번 읽고, 의미를 곱씹게 만드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