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역사를 알리는 사람으로서 일연
스님과 같은 역할을 하고 싶어요. 일연 스님은 휴지 조각처럼 버려진 이야기들을 주워 잘 펴서 우리에게 남겨준 분이잖아요. 저도 사람들이 쓸데없다고 생각하는
역사, 잘 모르고 관심도 없는
역사를 재미있게 전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끊임없이 생명력을 불어 넣고,
이 시대에 맞는 의미를 찾아내서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것이지요. "짠! 이것 봐! 휴지 조각인 줄 알았는데 보물
지도지? 역사가 그런
거야!" 이렇게 보여주려
합니다.
p.27
학창 시절에 내가 가장 지루해했던
과목은 바로 국사와 역사였다. 단순한 사실의 기록을 그저 외워야 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체 수백 년 전, 혹은 수천 년 전의 문화와 삶을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지금의 우리에게 무슨 커다란 의미가
있는지도 모르겠다고 느끼기도 했다. 당시의 교육 방식이 주입식, 암기 위주로 진행되어서 그랬을 수도 있고,
내가 역사라는 것에 대해 잘못 이해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요즘은 나도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역사는
사람을 만나는 인문학'이라는
생각에 나 역시 동의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말한다. '역사는 나보다 앞서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보면서 나는 어떻게 살 것인지를 고민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존재'라고
말이다.
이 책은 누적 수강생이 500만 명에 달하는 손꼽히는 역사 강사
최태성, 그가 역사에서 찾은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을 담고 있다. 수백 년 전 이야기로 오늘의 고민을 해결하는 세상에서 가장 실용적인 역사 사용법이라 그런지,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고 역사를 굉장히 대중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어 쉽게 읽힌다. 그는 역사를 배워서 어디에 쓰냐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반박이라도 하듯, 오직
‘역사를 공부하면 무엇이 좋은가’에 답하는 것으로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 삶을 바로잡고 싶을 때마다 역사 속으로 시간
여행을 떠났다고 말하는 그의 이야기를 만나 보자.
100년 전,
1000년 전에 살았던 사람도 지금의 우리와 같은 고민을 하고 비슷한 위기를
겪고, 또 극복해낸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큰 책이다.
여기 집안도 별 볼 일
없고, 돈도
없고, 심지어 직장에서도
쫓겨난 남자가 있습니다. 그래도 뭔가 해보겠다고 일을 벌이는데 족족 망합니다.
성격은 또 얼마나 깐깐한지 타협이라곤 모릅니다. 그러면서 세상을 탓합니다. 세상이 잘못돼서 자기가 이렇게 산다는
거죠. 세상뿐 아니라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은 죄다 욕합니다. 딱 사회 부적응자의 모습이죠. 그런데 잘못된 세상이라고 욕만 하는 게 아니라 아예 잘못된 세상을 뒤집어엎겠다고 나섭니다. 그의 이름은 정도전. 자신의 이름처럼 '도전'의 연속인 삶을 살다 간
인물입니다.
p.170~171
우리는 참 재미없게 역사를
배워왔다. 연도별로 일어난
사건을 외우고, 그 사건을
일으킨 사람을 외우고.. 그러니 성인이 되어서 기억에 남는 것도 없고 말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쓸데없다고 생각하는 역사, 잘 모르고 관심도 없는 역사를 재미있게 들려 준다면 어떨까. 게다가 역사를 과거의 박제처럼 바라볼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명력을 불어 넣어 동시대성을 찾아내어 알려 준다면 말이다.
역사를 연도나 사건,
사람 이름을 외워야 하는 학문이 아니라 그 시대의 사람을 만나는 일로 생각해 본다면 역사도 참
재미있게 느껴지지 않을까.
책을 읽고 나니 이 책이 역사를 재미있게 풀어주는 책이
아니라, 오히려 수백 년 전
이야기로 오늘의 고민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역사 사용 설명서에 가깝다라는 문구가 확 와 닿았다. 이제 더 이상 역사가 외울 것이 많은 골치 아프고
지루한 암기 과목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구텐베르크가 개발한 대량 인쇄 기술과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스티브 잡스가 만든
아이폰과 엮어 세상을 바꾸는 생각의 조건을 알아보고,
대제국 몽골에 항복하면서도 고려의 전통을 지킬 수 있도록 끝까지 협상한 고려 원종의 사례로
하나를 내어주고 둘을 얻는 협상의 기술을 배우는 등 한국사와 세계사를 넘나들며 펼쳐지는 이야기 자체가 너무 재미있기도 했다. 현장에서 직접 강의를 듣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저자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 있는 책이라
500만 명의 가슴을 울린 인문학 명강의를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는 점도 너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