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쎄. 아마 망자들도 살아 있는 사람과 마찬가지일 것
같아. 철도와 기적 소리
때문에 점점 좁아진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을 찾은 망자도 있을 테고,
못 찾은 경우도 있겠지."
"그런데 그렇게 살아남아서 잘 사는 경우도 있을까?"
나를 놀라게 하는 염의 재주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니까 내 말은, 넌 지금 행복해? 너 스스로도 톱니바퀴가 된 것처럼 온종일 증기기관을 돌리면서 사는 삶이
행복하냐고. 넌 꿈이
뭐야?" -'즐거운 사냥을 하길' 중에서,
p.99~100
어린 시절, 엄마는 특별한 장난감을 만들어 주곤 했다.
엄마가 포장지를 식탁에 펼쳐 놓고, 이리 저리 접기 시작하면, 아무리 달래도 그치지 않던 울음을 그치고 나도 모르게 호기심 어린 눈으로 가만히
지켜보게 되었다. 잠시 후
엄마는 꼬깃꼬깃 접은 종이 덩어리를 입에 대고 풍선처럼 숨을 불어넣었다.
식탁 위에는 주먹 두 개를 합친 크기의 조그마한 종이 호랑이가 서 있었다. 내가 손을 뻗으면, 그것은 꼬리를 움찍거리다가 내 손가락을 향해
신나게 덤벼들었다. 그때는
몰랐지만, 엄마의 종이 접기는
특별했다. 엄마가 숨을
불어넣으면 종이는 엄마의 숨을 나누어 받았고,
엄마의 생명을 얻어서 움직였다. 그건 엄마의 마법이었다. 이렇게 시작하는, 짧은 소설
<종이 동물원>은 그야말로 놀라운 이야기였다. 표제작인 이 작품은 휴고 상, 네뷸러 상, 세계환상문학상을 모조리 석권했다고
한다. 이는 당시 전대미문의
사건이었다. 세 가지 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건 40년
동안 최초의 일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오래된 신예였던 켄 리우는 세계 SF
판타지 문학계에서 가장 주목 받는 작가가 된다.
전체 열네 편의 중단편 소설로
구성된 이 책에는 판타지, 하드보일드, 대체
역사, 스팀
펑크, 중국 전기 소설 등
다양한 장르와 형식을 넘나드는 이야기들이 실려 있다.
보통 단편집의 경우,
아무리 뛰어난 작가라고 하더라도 각각의 완성도가 모두 훌륭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독자 입장에서도
읽을 때, 대충 읽게 되는
이야기가 있고, 공감하고
감탄하면서 읽게 되는 이야기가 있을 것이고 말이다.
사실 열 몇 편 중에 한 두 편만 마음에 남아도, 그 책은 좋은 작품이었다고 인상에 남기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켄
리우의 이 책은 한 편, 한
편 모두다 너무도 뛰어나고, 놀랍고, 대단했다. 각기
다른 장르만큼이나 어디로 튈 지 모르는 상상력도 기발했고,
그 속에 담고 있는 정서도 감동적이었고, 탄탄한 문장과 적확한 표현들로 완성도도 뛰어 났으며, 그야말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게 만드는 장르적
재미 또한 기가 막혔다. 특히나 장르 문학에 대한 편견이 있는 독자들에게 SF
환상문학에서도 순문학 만큼의 완성도와 감동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 아닐까
싶다. ‘일상과 환상이 만나는
지점을 황홀하게 드러내는 놀라운 이야기들’ 이라는 워싱턴 포스트의 평이 절대 과장이 아님을 열 네 편의 작품으로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은 삼라만상을 집어삼킨다.
그러나 모든 생물종은 대를
이어의 지혜를 전수하는 나름의 독특한 방법이 있다.
사유를 눈에 보이는 것,
만질 수 있는 것,
거스르지 못할 시간의 파도에 맞서는 방파제처럼 잠시나마 동결된 것으로 만드는 방법
말이다.
모두가 책을
만든다. -'고급 지적 생물종의 책 만들기 습성' 중에서, p.195
사실 ‘글쓰기가
보람 있는 노고인 것은 오로지 우리 정신이 서로에게 닿을 수 있다는 가능성 덕분’ 이라는 저자의 머리말을 읽을 때부터 예감했다. 이 책과 사랑에 빠지게 될 것 같다는
것을. 그리고 표제작이자 첫
번째 수록 작품인 <종이
동물원> 을 읽고
나서는, 우선 책을 덮고
인터넷 서점으로 가서 켄 리우라는 작가에 대한 신간 알림을 신청했다.
단편 소설 한 편을 읽었을 뿐인데, 앞으로 무조건 챙겨보고 싶은 작가가 되어 버린 것이다. 대체 왜 이런 작가의 작품이 이제야 국내에 출간된
것인지 의문이 들 정도로, 나는 켄 리우라는 작가와 사랑에 빠져 버렸다.
한 작품,
한 작품 정말 천천히 아껴서 읽고 싶은 기분이 들게 하는 주옥 같은
이야기들이었다. 개인의 모든
결정을 인공지능이 대신해주는 디스토피아, 인격을 가상현실로 복제해서 체험하는 기계가 등장하는 이야기,
그리고 문화 대혁명,
대만 2.28
사건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
일본군
731부대의 잔학성을 다큐 형식을 그리고 있는 이야기 등 SF 환상문학의 카테고리로 포함되어
있지만, 판타지가 줄 수 있는
허구보다는 현실이라는 드라마처럼 느껴지는 이야기들이다.
SF 환상문학이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은 독특한 세계관이나 어려운 용어들로 인해
접근하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쉽게 말해 이들 장르소설들은
'재미'를 느끼기 위해서 지루한 초반의 진입 장벽을 깨야 하고, 딱딱하고 어렵다는 통념이
있다. 그런데 켄 리우의
작품은 그 모든 통념과 편견을 모두 깨고 있다.
물론 다루고 있는 소재들과 이야기의 장치들은 절대 평범하지 않다.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을 법한 독특한 소재도
있고, 누구나 실생활에서 쉽게
생각해 볼 만한 소재들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이 아닐까 싶다.
독특한 소재도 어렵지 않게,
평범한 소재도 진부하지 않게 그려내고 있으며, 장르적 재미를 추구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고 깊이 있는 사유와 자신만의 철학을 그
속에 녹여내고 있다. 무엇보다
이야기들이 모두 감동적이고, 우아하고, 아름답다.
우리가 누구인지 정의하는 것은 타인들의 삶으로 이루어진 그물 속에서 차지하는
자리이다.
왜 우리는 소설을 읽는 것일까.
왜 바쁜 일상 속에서 굳이 시간을 내고 돈을 들여 머리를 써가며 허구의 이야기를 읽는
것일까. 그에 대한 완벽한
답이 바로 이 책이다. 나는
이런 이야기를 만나고 싶어서 소설을 읽는다.
이 책은 내가 왜 소설을 사랑하는지, 왜 이야기에 매혹되는지에 대한 탁월한 사례이기도 하다. 내 책장에는 매주 신간들이 엄청난 속도로
쌓여간다. 어떤 작품들은 이미
완벽한 망각 속에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고,
그나마 관심 있는 책들만 읽는다 해도 책들이 출간되는 속도를 따라잡기 버거운
상황이지만, 나는 켄 리우의
책을 한 번 더 읽고 싶어 졌다. 나는 되풀이해 거듭 읽고 싶어지는 소설들을 사랑한다.
물론 내게 주어진 한정된 시간으로는 훌륭한 문학작품들을 모두 읽어볼 만한 기회가 없을
것이다. 인간의 평균적인
수명으로 우리가 매일 같이 책을 읽어도 죽을 때까지 세상의 모든 책들을 읽을 수 없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켄 리우의 작품은 또 읽고
싶다. 더 이상 무슨 찬사가
필요하겠는가. 그저
읽고, 읽고, 또 읽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