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떡하죠, 마흔입니다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마음철학 수업
키어런 세티야 지음, 김광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미래는 유리 터널과 같고, 나머지 삶은 어디가 되었든 여러 방면으로 흘러갈 것이다.
아들은 어른이 되고,
아내와 나는 늙어 갈 것이다.
내 몸은 삐걱거리고 처진다.
허리 통증은 이따금 찾아오는 방문자가 아니라 확실한 동반자이다...더 나빠질 수도 있다. 내 일이 싫어지거나
해고당하거나, 아니면 둘 다일
수도 있다.... 나는 내가
겪는 중년의 위기라는 호사를, 일말의 죄의식과 수치심과 더불어 인지하고 있다.
왜 가진 것에 더 많이 감사할 줄 모를까? 하지만 이것이 나의 삶이다.
p.40
나이 40세를
이르는 말로 '불혹'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는
공자가 40세에 이르러 직접
체험한 것으로 '논어'에 언급된
내용이다. 불혹이란 세상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었음을 뜻한다고 한다.
반면 어느 학자는 이를 공자의 역설적인 표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40대가 가장 흔들리고 미혹되는 시기이므로
경계하라는 뜻에서 불혹이라는 말을 썼다는 것이다.
과연
40대란 무엇인가.
40대는 이른바 중년이다.
겉으로 볼 때는 별 문제없이 균형 잡힌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분노, 혹은 듯한 느낌, 탐욕 같은 유치한 감정을 지닌 양면성의 시기이기도
하다. 게다가 40대는
어느 세대보다 과로와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몸의 기능도 떨어지고,
심장병,
암 등의 발병도 높아진다.
아무래도
40대가 삶의 성공 여부가 결정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게 되는 것도 을
것이다.
이 책은 성인기와 중년기에 불가피하게
맞닥뜨리는 문제들을 소개하면서 철학이 개인의 성공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여준다. 철학을 가르치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저자는 서른다섯이라는 비교적 덜 성숙한 나이
때부터 중년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대학교 인기 학과의 종신교수였고,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가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미래의 예정된 사건들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퇴직과 노년의 삶, 그리고 언젠가 다가올 죽음에 대해 생각이 미치면 왠지 모를 공허감이 엄습했고, 그러한 과정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와 후회, 연민, 공포감 등이 뒤섞이는 느낌이었던
것이다. 그러니 상실과
후회, 성공과
실패, 원했던 삶과 실제의
삶에 대한 의문들, 나아가
피할 수 없는 죽음과 삶의 유한성 등 이러한 의문을 가져본 적이 있다면,
저자의 이야기가 흥미로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삶의 중간쯤에 놓여 있는 당신에게,
뒤로
40여 년과 순조롭다면 앞으로도 비슷한 시간을 남겨 둔 당신에게 이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죽음이 출생
전 부재의 거울이라고 말하는 시간적 중립성 입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삶이 경과함에 따라
"앞으로 내다볼 것은 점점 줄어들고 뒤로 돌아볼 것은 점점 늘어난다." 어덯든 좋다. 시간공포증에 빠지지 않고서도 삶을 관리할 수
있다면, 당신은 철학적 도움
없이도 '피할 수 없는
죽음'을 받아들일 만큼 성장한
것이다. p.185
존 윌리엄스의 <스토너>에서
주인공은 마흔둘에 결혼생활이 파경에 이르고 일도 망가진다.
알베르 카뮈의
<시시포스 신화>에 등장하는 남자 역시 자신이 서른임을 깨달았을 때 실존적 위기를
느낀다. 뿐만 아니라
예술가들의 실제 삶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다.
로시니는 성공한 오페라의 대부분을 37세 무렵까지 완성했으며, 그 후로도
40년을 더 살았지만 새로 작곡한 곡은 거의 없었다. 미켈란젤로 역시 40세에서 45세 사이에는 작품이 거의
없었고, <메디치가의
무덤>과 <최후의
심판>은 그 후에
만들어졌다. 저자는
이렇게 '중년의
위기'에 대한 간략한 역사를
짚어 가면서 이 책을 시작하고 있다. 이후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쇼펜하우어,
존 스튜어트 밀에서 버지니아 울프, 시몬 드 보부아르에 이르기까지, 중년의 위기를 다루면서 쉽게 연관되어 떠오르지
않는 다양한 인물들의 철학과 삶을 가져와 풍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철학적인 위안이라는 것이 사실 좀 뜬구름 잡는 이야기처럼 느껴졌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씩 그것을 현재에
적용하고, 삶에 투영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 듯한 느낌이었다.
대다수 사람들에게
중년이란, 흔히들 느끼는 것과
달리, 새로운 무언가를
시작하기에 그렇게 늦은 때는 아니다. 중년은 늘 시간에 쪼들린다는 말에 현혹되어서도 안 된다.
시간은 생각보다 많으니 말이다. 이 책은 일반적인 자기계발서와는 다르게, 직업을 바꾸거나 이혼을 하는 등을 주제로 현실적인
조언을 하고 있지 않다. 저자가 말하려는 것은 철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중년의 삶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들이다. 하지만 전문용어를 최대한
줄이고, 완결성보다는 간결성을
추구하며 쉽게 쓰여 있기 때문에 어렵지는 않다.
저자는 말한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니라 그 동안 무엇을 했고 무엇을 못
했는지,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있다고. 나름 열심히 살아온 것 같은데,
그런데 이게 다인가 싶었던 적이 있다면, 이 책을 통해서 중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면 어떨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