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믿음의 글들 9
엔도 슈사쿠 지음, 공문혜 옮김 / 홍성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북플님들의 추천으로 읽게 된 책 워낙 좋은 리뷰가 많아서 역사적으로든 뭐든 공부가 많이 됐다 *^^*)

이 책은 이렇게 묻는다.
“누구를 위한 순교인가.”

죽어가는 이들, 신앙을 가졌다는 이유로 박해받는 이들 앞에, 그들이 믿는 신은 침묵한다. 신음소리와 고문과 고통, 그 속에서 세바스티앙 로드리고 신부는 신의 소리를 듣는다.
“밟아라, 밟히기 위해 존재하느니라.”
목숨을 걸고 지킨 종교적 순교가 있다.
그리고 숱한 신도들의 고문속 신음앞에 유다처럼 신을 모른다고 말한 배교자도 있다. 배교자였던 로드리고 신부를 통해, 신의 존재를 묻는다. 신도들을 살리기 위해, 그의 얼굴을 그린 그림을 밟는다고 하여, 침을 뱉는다고 해서 우리는 신을 버린 것 인가.



(다블뤼신부 이야기가 생각났다. 조선에서 21년 포교활동을 했고, 병인박해 시기에 끌려가 오랜 고문 끝에 처형을 당하신 분이다.
다블뤼 신부님은 고향인 프랑스에 많은 편지를 보냈다. 조선에 대해 애정을 가졌고, 조선말에도 유창했다. 그가 보낸 편지엔 조선인들이 서로 상부상조하는 삶에 대해, 나눠먹는 모습 등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조선인의 계급제도에 대한 분노도 담겨있다. 고기가 먹고 싶어 아픈척 까지 하는 조선인들의 모습, 그리고 철종에 대한 안타까움까지. 판소리의 아름다움도 소개되어있다. 조선말에 능통했던 그는, 마지막까지도 종교를 설파하며 모진 고문 끝에 순교했다.
다블뤼신부님이 생각난 이유는 책 속 주인공 로드리고 신부와 비교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편지형식으로 쓰인 책을 보며, 다블뤼신부님이 쓰신 편지들이 생각났다. 또한 책 속에 나오는, 일본의 모습에 대해 미개하고 이해하려 하지 않았던 까칠한 신부들에 대한 부분을 읽었기 때문이다. 조선인들과 함께 먹고 살아가며, 조선말을 익히고, 선입견 없이 조선이란 곳을 사랑했던 다블뤼신부님이 새삼 대단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1-09-13 19:25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1등~! 저도 이책 보관중인데 실눈 뜨고 리뷰 읽어야 겠어요 😑

mini74 2021-09-13 19:38   좋아요 5 | URL
전 ㅠㅠ 보관중인 책이 너무 많아서 ㅠㅠ 재미있게 읽었어요 새파랑님 *^^*

붕붕툐툐 2021-09-13 19:52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도 넘 감명 깊게 읽은 책이에요~ 진정한 신잉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 많이 했던 거 같아요~

mini74 2021-09-13 19:54   좋아요 5 | URL
북플님 추천대로 이제 사무라이로 ㅎㅎ 전 작가님 깊은 강도 너무 감명깊게 읽었어요

붕붕툐툐 2021-09-13 21:52   좋아요 2 | URL
오~ 그럼 저는 사무라이 받고, 깊은 강으로 가야겠네용~

미미 2021-09-13 20:1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사무라이>도 기대되는데 이 작품도 읽어봐야겠어요! 보관이 많이 되서 다행이죠?ㅋㅋㅋㅋ
다블뤼신부님도 찾아볼래요. 몇년씩 국내서 살아도 우리말 전혀 모르는 외국인 많은데 고문에 순교라니ㅠㅠ

mini74 2021-09-13 20:19   좋아요 3 | URL
이 분 조선인의 식탐에 대해 경악?ㅎㅎ 하며 쓰신 편지 재미있었어요 ~

페넬로페 2021-09-13 20:1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종교, 믿음, 생각하며 할수록 어려운 것 같아요. 종교가 먼저인지 아님 사는것이 먼저인지도 그렇구요^^

mini74 2021-09-13 20:24   좋아요 4 | URL
그런 물음들을 던져주는 책이라 더 좋았어요 *^^*

막시무스 2021-09-13 20:33   좋아요 7 | 댓글달기 | URL
“누구를 위한 순교인가.” 이 주제에서 이 책의 모든 에너지가 다 들어있는 것 같네요! 정말 기대됩니다. 먼저 본 영화가 잘 생각이 나지 않는게 다행인것 같아요!ㅎ

mini74 2021-09-13 20:51   좋아요 5 | URL
막시무스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좋은 독서가 되시길 *^^*

scott 2021-09-13 20:42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역쉬 미니님의 따스한 품성이 느껴집니다
저도 다블뤼 신부님의 조선인과 언어 문화를 이해하려고 했던 그 말씀에 울컥,,,

한국에서 번역된 침묵은 저자의 침묵을 완역 한 책이 아니라 원작에 있는‘기리시단 주거지 관리인의 일기‘가 쏙 빠져서 (왜 누락 했는지 모름 ㅎㅎ)
로드리고의 신부의 속마음이 빠져 있습니다.

영화도 원작과 비슷하면서도 달랐지만 이책은 매번 읽을때마다 여러 상황(믿음과 신앙)이 다르게 느껴져요.

mini74 2021-09-13 20:50   좋아요 5 | URL
헉!! 왜 빠졌을까요. 그 부분이 너무 궁금해요. 저도 이 책은 읽을때마다 상황이나 맘에 따라 느낌이 달라질거 같아요. 스콧님 일본문학에도👍 많이 배울수 있어서 좋아요 고맙습니다 *^^*

막시무스 2021-09-13 21:00   좋아요 4 | URL
그러게요! 왜 빠졌데요?ㅠ

막시무스 2021-09-13 21:04   좋아요 5 | URL
스캇님의 침묵 관련 번역누락사건 불꽃추적단 출동후기를 기다립니다!

han22598 2021-09-17 06:15   좋아요 1 | URL
아껴놓고 아직 읽지 않고 있는데,,,누락된 부분이 있다니...너무 슬프네요.
일본어는 한개도 모르니..원서로 읽을 수도 없고..이런 안타까운 일이.
홍성사에 문의한번 해 볼게요 ㅋㅋ (답장이 오려나..)